측만증의 분류 및 치료: 선천성, 신경근육성, 신경섬유종
본 내용은
"
측만증(선천성,신경근육성,마비성,신경섬유종) Scoliosis A+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5
문서 내 토픽
-
1. 선천성 측만증(Congenital Scoliosis)척추의 선천적 발육 이상으로 편골화와 골화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입니다. 분절되지 않은 척추봉이나 반척추의 위치에 따라 만곡 진행 정도가 결정됩니다. 치료는 조기에 시작해야 하며, 보존적 치료로 Milwaukee 보조기를 사용하지만 대부분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시 금속 내고정물 사용에 주의해야 하며, 10세 이전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2. 신경근육성 및 마비성 측만증(Neuromuscular/Paralytic Scoliosis)체간 근육의 마비나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특히 소아마비로 인한 경우가 문제됩니다. 일단 발생하면 진행이 빠르고 만곡 변형이 심하여 심폐기능 장애를 초래합니다. Milwaukee 보조기로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지만 호흡근육 마비, 감각신경 마비 등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수술이 필요합니다.
-
3. 신경섬유종 측만증(Neurofibromatous Scoliosis)여러 뼈 질환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가장 흔한 증상이 측만증입니다. 특징적으로 짧고 각도가 큰 우측 흉부 만곡의 형태를 보이며, 신경섬유종과 밀크커피색 반점이 동반됩니다. 보존적 치료로 Milwaukee 보조기를 착용하나 효과가 없으면 수술을 시행합니다.
-
4. 측만증의 치료 및 간호선천성 측만증은 특발성 측만증보다 훨씬 일찍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보존적 치료로 Milwaukee 보조기를 사용하지만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대부분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만곡도 증가를 관찰하고 골성장이 끝날 때까지 보조기를 착용하며, 마비성 측만증 환자는 조기 이상이 바람직합니다.
-
1. 주제1 선천성 측만증(Congenital Scoliosis)선천성 측만증은 척추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이상으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질환은 척추체의 불완전한 분절화나 좌우 비대칭적 발달로 인해 발생하며, 환자의 나이와 곡률의 정도에 따라 예후가 결정됩니다. 특히 어린 나이에 발견될수록 보존적 치료의 성공률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영상 검사와 임상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수술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에도 척추의 성장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며,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2 신경근육성 및 마비성 측만증(Neuromuscular/Paralytic Scoliosis)신경근육성 측만증은 근육의 약화나 신경계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측만증으로, 진행 속도가 빠르고 예후가 불량한 특징이 있습니다. 뇌성마비, 척수 손상, 근이영양증 등 다양한 기저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호흡 기능 저하와 심장 기능 악화의 위험이 높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가 중요하며, 필요시 수술적 교정을 통해 폐 기능을 보존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다학제적 접근과 장기적인 재활 치료가 환자의 기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3. 주제3 신경섬유종 측만증(Neurofibromatous Scoliosis)신경섬유종증 제1형(NF1)에 동반되는 측만증은 일반 특발성 측만증과 달리 진행이 빠르고 심한 변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경섬유종의 척추 침범으로 인한 골 파괴와 불안정성이 측만증의 주요 원인이며, 이는 신경학적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정기적인 영상 검사를 통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진행하는 곡률에 대해서는 조기 수술적 개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경섬유종의 특성상 수술 후 재발률이 높으므로, 신중한 수술 계획과 충분한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
4. 주제4 측만증의 치료 및 간호측만증의 치료는 환자의 나이, 곡률의 정도, 성장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경미한 곡률은 정기적인 관찰로 충분하며, 중등도 곡률은 보조기 착용을 통해 진행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곡률이나 진행하는 경우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며, 수술 후 재활 치료와 간호가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 교육, 심리 지원, 통증 관리 등 포괄적인 간호 접근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성인간호 - Scoliosis 척추측만증 간호과정 7페이지
Scoliosis 척추측만증1. 문헌고찰1. 정의: 척추가 옆으로 만곡된 상태(lateralcurvature)로 흔히 흉추가 오른쪽으로 볼록해지고 경추와 요추가 왼쪽으로 볼록해짐측만증의 유형으로는A. 비구조성 척추측만증: 심한 허리디스크, 다리길이의 차이B. 구조성 척추측만증 (진정한 의미의 측만증)① 특발성 : 원인을 밝히지 못하는 측만증② 선천성 : 태어날때 척추병에 기형이 있어 생기는 측만증③ 신경근육성 : 신경 질환이나 근육 질환에 의하여 생기는 측만증④ 기타질환 : Marfan(말판)증후군, 신경성유종증, 골형성부전증 등에...2019.05.05· 7페이지 -
척추측만증 간호과정 34페이지
척 추 측 만 증척추 측만증이란 무엇인가?① 앞이나 뒤에서 봤을 때 일직선을 이뤄야 하는 척추가 중앙의 축으로부터 벗어나 한쪽 옆으로 구부러지면서 C자 혹은 S자로 변형된 상태임 ② 척추의 각도가 10도 이상 휘어진 경우 척추 측만증에 해당됨2. 척추 측만증의 분류- 원인에 따른 분류: 비구조적 측만증, 구조적 측만증비구조적 측만증 ① 측만각이 가역적이며 추체의 회전이나 비대칭적인 변화없음 ② 대개 요부의 통증이나 일시적인 자세불량 또는 양하지 길이의 차이에 따른 골반 경사등으로 발생함2. 척추 측만증의 분류- 원인에 따른 분류: ...2014.02.22· 34페이지 -
척추측만증, 요추전만증 정의,분류,치료등 5페이지
1.척추측만증척추측만증은 크게 비구조성 측만증과 구조성 측만증으로 분류할수 있다.(1) 비구조성 측만증비구조성 측만증은 척추의 구조적변형은 없는 것으로 평소의 자세가 불량한 사람들에게 多발생한다.임상적 양상으로 다음과 같은특징을 나타낸다.-.환자를 전방굴곡시키면 늑골 돌출이 없어진다..엎드려 누운 자세를 취하면 측만이 없어진다..스스로 노력에 의해 척추를 바르게 할수있다..대부분 대상성 만곡이 없다..방사선 소견상 척추의 회선이 나타나지 않는다.-비구조성측만증의 치료는 근력강화 운동과 신장운동으로 구성되는데 철측은주로 운동프로그램을...2012.09.13· 5페이지 -
척추측만증 간호과정 케이스 21페이지
Case Study< Idiopathic Scoliosis(king type3,Lenke 1BN)-Scoliosis,unspecified >*담당교수:*학번/반:*이 름 :*제출일:< CONTENTS >Ⅰ.서론◈ 문헌고찰1. 정의1) Scoliosis 정의2. 임상증상1) Scoliosis 임상증상3. 원인1) Scoliosis 원인4. 진단&검사1) Scoliosis 진단2) Scoliosis 검사5. 경과/합병증1) Scoliosis경과 및 합병증6. 치료1) Scoliosis 치료Ⅱ본론◈ 간호과정1. 간호사정1) 간호정보조사2...2012.07.20· 21페이지 -
척추측만증 8페이지
◆ 척추측만증1. 병인/역학척추측만증은 구조적 측만증과 비구조적 측만증으로 분류된다. 비구조적 측만증(불량한 자세나 다리 길이의 차이)은 체위성 측만증 또는 기능적 측만증이라고도 한다. 이 측만증은 운동이나 관련 원인을 제거하면 쉽게 교정된다. 치료하지 않은 비구조적 측만증은 구조적 측만증이 될 수 있다. 구조적 측만증은 척추의 회전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세가지 범주로 구분된다.▶선천성; 태생기 때 발생한 척추기형의 결과로 구조적 측만증의 15% 정도를 차지한다.▶신경근육성; 여러 가지 질환(뇌성마비, 회백수염, 척수수막류, 근위축...2010.03.13·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