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네 징후 아동의 간호사례 연구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case study _ 팔로네 징후 (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7
문서 내 토픽
-
1.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팔로네 징후는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폐동맥 협착, 심실중격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우측편위의 4가지 특징을 가진다. 생후 6개월 된 환아가 진단받았으며, 빠르고 헐떡이는 호흡, 청색증, 저산소혈증 등의 증상을 보였다. 무산소 발작이 특징적이며, 수술 전 산소 공급과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하고 Blalock-Taussig shunt 수술을 계획한다.
-
2. 가스교환장애 및 호흡관리환아는 폐동맥 협착으로 인한 가스교환장애를 보였으며, 산소포화도 71-81.3%, 호흡수 70회/min, 청색증이 관찰되었다. ABGA 결과 pH 7.247, PCO₂ 60.3mmHg, PO₂ 51.3mmHg로 호흡성 산증과 저산소혈증을 나타냈다. O₂ hood를 통해 3L/min 산소를 공급하고, 무산소 발작 시 슬흉위를 취하며 모르핀과 sodium bicarbonate를 투여하여 관리한다.
-
3. 무산소 발작(Hypercyanotic Spell) 관리무산소 발작은 팔로네 징후의 급성 악화로 심한 청색증, 의식 소실,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한다. 환아는 수유 중 심하게 파래지며 의식을 잃는 발작을 경험했다. 치료는 슬흉위 자세, 산소 공급, 모르핀 투여, sodium bicarbonate 정맥 투여, propranolol 투여 등으로 구성된다. 조용한 환경과 minimal handling으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산소요구량 증가를 방지한다.
-
4. 영아 영양 및 성장관리호흡기능 저하로 인한 수유곤란이 있는 환아는 입원 시 키 62cm, 체중 5.8kg이었다. 수유 중 무산소 발작 위험이 있어 소량씩 자주 수유하도록 교육한다. 수술 후 두 달 이내 체중이 정상 범위로 증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일 아침 키와 체중을 측정하여 성장 정도를 파악한다.
-
1.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팔로네 징후는 선천성 심장질환 중 가장 흔한 청색증성 심질환으로, 네 가지 해부학적 이상(우심실 유출로 협착, 심실중격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우측편위)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이 질환의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 개입입니다. 신생아 시기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검사가 필수적이며,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현대의 수술 기법과 마취 관리의 발전으로 예후가 크게 개선되었으나, 수술 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과 합병증 관리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
2. 가스교환장애 및 호흡관리팔로네 징후 환자에서 가스교환장애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단락으로 인한 저산소혈증이 주요 특징입니다. 효과적인 호흡관리는 산소포화도 유지, 적절한 환기, 그리고 폐혈관저항 감소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산소 요법, 기계환기, 그리고 필요시 일산화질소 흡입 등의 다양한 전략이 활용됩니다. 특히 수술 전후 기간에 호흡관리는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숙련된 중환자 의료진의 세심한 모니터링과 적절한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
3. 무산소 발작(Hypercyanotic Spell) 관리무산소 발작은 팔로네 징후 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생명 위협적 상황으로, 갑작스러운 청색증 심화와 의식 변화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우심실 유출로 협착의 악화로 인한 우좌단락 증가로 발생합니다. 응급 관리에서는 산소 투여, 무릎-가슴 자세, 진정제 투여, 그리고 필요시 베타차단제나 혈관수축제 사용이 포함됩니다. 무산소 발작의 예방과 조기 인식이 중요하며, 반복적인 발작은 수술적 개입의 시급성을 높입니다.
-
4. 영아 영양 및 성장관리팔로네 징후 영아는 저산소혈증으로 인한 대사 요구량 증가와 심부전으로 인한 영양 흡수 장애로 성장 부진을 겪을 수 있습니다. 고칼로리 영양 공급, 적절한 단백질 섭취, 그리고 미량원소 보충이 필요합니다. 모유 수유가 가능한 경우 권장되지만, 필요시 고칼로리 분유나 경관 영양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 전후 영양 상태의 최적화는 회복과 예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영양사와의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영양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아동간호학 전공책 시나리오 참고] 팔로네징후 팔로사징 팔로사징후 Tetralogy of Fallot(TOF)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1개 - 비효과적 호흡양상) 36페이지
Tetralogy of Fallot(TOF)대상자에 대한 간호사례연구< 목 차 >Ⅰ. 문헌고찰 3Ⅱ. 자료수집 13Ⅲ.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18Ⅳ. 대표적 약물 24Ⅴ.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26Ⅴ. 간호과정 ? 폐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6부록 1. 교육 책자 구성 및 내용 33부록 2. 무산소 발작 교육 책자 35참고 문헌 36Ⅰ. 문헌고찰1. 정의심실 중격을 이루고 있는 두꺼운 근육이 폐동맥부위로 옮겨가면서 심실 중격 결손을 만들고 폐동맥협착을 초래하는 병을 말한다. 이 결과로 ...2024.03.14· 36페이지 -
폐렴 Case 보고서 23페이지
■ 사례연구 보고서I. Case 상황 요약대상자는 4세 여아로 4일 전부터 콧물, 기침, 열(39.0℃)이 있어 본 병원 외래를 방문한 후 치료를 위해 2022년 9월 12일 18시경 입원하였다.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으로 2021.09.23일에 본원 외래를 방문한 적 있으며 가족관계는 부모님, 남동생으로 4인 가정이다.대상자의 키는 90.4cm, 체중은 12.8kg이며 내원 시 활력 징후는 90/50(BP)-135(PR)-26(RR)-38.8℃(BT)-96%(Spo2), 의식상태는 Alert였다. 주 증상으...2023.07.19· 23페이지 -
간호학과 아동 케이스 스터디 폐렴 16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 사례연구폐렴실습 과목담당 교수님실습 병동발표일성명학번? 목 차 ?Ⅰ. 선정이유 ---------------------------------- 3pⅡ. 질병소개 ---------------------------------- 3p(1) 정의(2) 원인 및 병태생리(3) 임상 증상(4) 진단 검사(5) 치료 및 간호Ⅲ. 사례연구 ---------------------------------- 5p(1) 대상자 사정1) 대상자의 간호문제 및 일반적 사항2) 진단 검사 소견3) 특수치료 및 검사4) 대상자에게 투여된 약물(2) ...2021.01.24· 16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사례연구보고서 식중독 케이스 간호진단 2개 18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 2사례연구 보고서< 목 차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본론1. 문헌고찰1) 질병의 정의 및 원인2) 질병의 병태생리3) 진단방법4) 증상5) 치료와 간호2. 간호과정1) 간호사정(1) 간호력(2) 신체사정(3)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2) 간호진단3) 간호계획,중재,평가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식중독은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질병으로 흔히 발병 될 수 있다. 식중독균은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등 여러 세균에 의해 흔하게 발병이 되며 특히 면역력이 성인보다 낮은 ...2023.08.14· 18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 급성 위장염(AGE) CASE STUDY (간호과정 2개 - 체액부족위험성, 지식부족) 19페이지
Case Study< AGE: Acute gastroenteritis >과 목 명실 습 기 관차 수담 당 교 수학 과 / 학 반학 번 / 이 름제 출 일<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1pⅡ. 문헌고찰 ----------------------------------------- 1p1. 정의 및 원인2. 증상3. 진단방법4. 합병증 및 예후5. 치료6. 간호중재Ⅲ. 간호과정----------------------------------------- 3p1. 간호사정2. 대상자 간호과정 기록Ⅳ....2021.12.30· 1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