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Digitizer를 이용한 기구 종단부 좌표 측정 실험
본 내용은
"
[단국대] 3D Digitizer 실험 레포트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7
문서 내 토픽
-
1. 3D Digitizer 측정원리3D Digitizer는 3차원 물체의 위치와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장비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3D Digitizer는 6개의 링크와 6개의 회전관절로 구성된 6자유도 기구이며, 각 회전관절에는 전위차계(Potentiometer)가 장착되어 있다. 전위차계의 측정범위는 340°±5°이고, 각 회전관절의 회전량이 측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관절마다 핀을 부착하여 물리적인 회전각을 제한한다. 이를 통해 기구의 종단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2. 좌표계 변환 및 회전행렬Global좌표계와 Local좌표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Global좌표계는 기준좌표계이고, Local좌표계는 물체에 임의로 설정한 좌표계이다. Local좌표계가 Global좌표계로부터 θ만큼 회전했을 때, 회전행렬(Rotation Matrix)을 사용하여 좌표 변환이 가능하다. 회전행렬 R은 [cosθ -sinθ; sinθ cosθ] 형태이며, 이를 통해 Local좌표계의 점을 Global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
3. 정기구식(Forward Kinematics)정기구식은 각 관절의 회전각을 알 때 기구의 종단부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Potentiometer로부터 측정한 각 관절의 회전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기구식을 세워 기구 종단부의 좌표를 계산한다. 전압값을 보간법을 사용하여 각도로 환산한 후, 회전행렬을 이용하여 종단부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
4. 실험 오차 분석본 실험에서 발생한 주요 오차는 세 가지이다. 첫째, 링크 길이 측정 시 정확도 부족으로 인한 오차이다. 둘째, 측정자가 Digitizer로 형상을 측정할 때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발생한 데이터 오차이다. 셋째, 계산 과정에서의 오류이다. 이러한 오차들이 누적되어 최종 결과인 칠판지우개 형상이 실제 형상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다.
-
1. 3D Digitizer 측정원리3D Digitizer는 물리적 대상을 디지털 3D 모델로 변환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광학식, 접촉식, 레이저 기반 등 다양한 측정 원리가 존재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광학식 방식은 비접촉 측정으로 빠른 속도를 제공하지만 표면 반사율에 영향을 받고, 접촉식은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지만 측정 속도가 느립니다. 현대 산업에서는 정밀도와 효율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여러 기술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추세입니다. 측정 원리의 이해는 적절한 기술 선택과 오차 최소화에 필수적입니다.
-
2. 좌표계 변환 및 회전행렬좌표계 변환과 회전행렬은 3D 공간에서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표현하는 수학적 기초입니다. 회전행렬은 직교성과 행렬식이 1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강력한 도구이지만, 짐벌락 문제와 계산 복잡도가 있습니다. 오일러 각, 쿼터니언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이 있으며, 각 방식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연쇄적인 변환에서 오차 누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치 안정성을 고려한 알고리즘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
3. 정기구식(Forward Kinematics)정기구식은 로봇의 관절 각도로부터 말단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을 계산하는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법입니다. Denavit-Hartenberg 파라미터를 이용한 체계적 접근은 복잡한 다관절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모델링합니다. 정기구식의 계산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빠르지만, 역기구식과 달리 유일한 해를 항상 제공합니다. 로봇 제어, 시뮬레이션, 경로 계획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기초가 되므로, 정확한 이해와 구현이 로봇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
4. 실험 오차 분석실험 오차 분석은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체계적 오차와 우연적 오차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방식으로 처리해야 하며, 오차의 전파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계적 방법을 통한 신뢰도 구간 설정, 민감도 분석, 불확도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3D 측정 및 로봇 시스템에서는 누적된 오차가 최종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인 오차 분석과 보정 전략 수립이 정확한 시스템 구축의 핵심입니다.
-
Digitizing 실험 보고서 14페이지
3D DigitizingREPORT과 목 명:기계공학실험 2담당교수:소소속속:학학번번:이이름름:실 험 조:실 험 일:제 출 일:1. 실험 요약1-1 실험 목적3D Digitizer의 측정 원리를 사용하여 각 측정데이터로 통하여 점의 좌표를 계산한 값을 3차원 좌표계 상에 표시할 수 있다.1-2 실험 이론- Global좌표계와 Local좌표계그림 1과 같이 2차원 평면에 위치한 물체의 경우에{bar{OB}}와theta 의 값을 알면, 물체 A에 해당하는 위치좌표와 자세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각 원점, X, Y로 구성된 좌표계를 ‘...2022.04.19· 14페이지 -
기계공학실험 3d digitizing A+자료입니다. 13페이지
REPORT3D-Digitizing과 목 명담당교수학 번이 름실 험 조실험날짜제 출 일실험요약실험 목적3차원 형상은 간단한 도구만으로는 측정의 한계가 있으며 많은 오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3차원 형상의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해야한다. 본 실험에서는 3차원 물체의 각 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의 원리를 이해하여 DATA를 도출한다.실험 결과여섯 개의 전위차계가 장착된 접촉식 3차원 위치측정기를 사용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와 정기구식의 이론을 바탕으로 코드를 작성하였고, 여기서 각 링크에 대한 위치는 절대좌표로 ...2015.09.20· 13페이지 -
[A+]기계공학실험2 3-D Digitizer 16페이지
REPORT제목 :< 3D-Digitizing >과목명 : 기계공학실험2교수명 :학 과 : 기계공학과학 번 :이 름 :실험일 : 2015-10-14제출일 : 2015-10-28목차1. 서론 2가. 실험목적 2나. 실험이론 21) 측정 원리 22) 신호처리 32. 본론 4가. 실험장치 4나. 실험방법 4다. 실험 시 유의 사항 53. 결론 5가. 실험결과 51) 링크 위치 측정결과(기준상태) 52) 관절 값 측정결과 63) 기구 종단부의 좌표 계산 94) 3D-digitizing Figure 105) 용어 정리 11나. 고찰 124....2016.08.25· 16페이지 -
기계공학실험2 #3D-Digitizing 14페이지
REPORT3D-Digitizing과목명기계공학실험2학번이름실험 조실험 날짜*실험요약-실험목적2차원의 물체는 간단한 도구(자, 각도기 등)만 있으면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한 반면, 3차원 형상은 위의 간단한 도구만으로는 측정의 한계가 있으며, 설사 측정을 했다 하더라도 많은 오차를 유발 한다. 그러므로 3차원 형상의 특정부분의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3차원 물체의 각 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여 DATA를 도출한다.목 차*실험요약 ???...2015.02.23· 14페이지 -
디지털 라이징 11페이지
[시험 요약]◎시험의 목적2차원의 물체는 간단한 도구(자, 각도기 등)만 있으면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한 반면, 3차원 형상은 위의 간단한 도구만으로는 측정의 한계가 있으며, 설사 측정을 했다 하더라도 많은 오차를 유발 한다. 그러므로 3차원 형상의 특정부분의 위치 파악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본 실험에서는 3차원 물체의 각 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용하여 DATA를 도출하고, 이를 CAD작업을 통해 형태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결과 개요matla...2011.06.13· 1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