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죽파류 가야금 산조 분석
본 내용은
"
김죽파류 산조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8
문서 내 토픽
-
1. 김죽파 명인의 생애김죽파(1911-1989)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예능보유자로, 본명은 김난초이며 가야금 산조의 틀을 짠 김창조의 손녀이다. 7세부터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조부 김창조와 한성기로부터 풍류, 산조, 병창을 학습했다. 1978년 67세에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1979년 국립국악원 공연을 통해 약 57년 만에 무대에 복귀했다. 1989년 79세의 나이로 타계하기 전까지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
2.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의 구성김죽파류 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세산조시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양조는 우조·평조·계면조로, 중모리는 경조·계면조로, 중중모리는 계면조·평조·강산제로 짜여졌다. 세산조시는 김죽파류 산조에만 있는 특별한 악장으로, 본래 풍물가락을 응용하여 빠른 속도와 기교적인 연주법이 돋보인다.
-
3. 김죽파류 산조의 특징김죽파류 산조는 한성기류라고도 불리며, 한성기의 가락을 전승하면서 세산조시를 첨가하여 독특한 형태를 만들었다. 산조 본바탕 연주 전에 다스름을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며, 중간음역의 가락을 낮은 음역으로 변주하여 진중한 맛을 더한다. 섬세한 농현 기법으로 무르익은 흥을 자아내어 '푸근하면서도 곰삭은 멋을 내는 산조'로 정의된다.
-
4. 김죽파류 산조의 전승김죽파는 1979년 약 55분에 이르는 김죽파산조를 완성시켰으며, 1979년 성음사에서 LP판을 출반했다. 1980년 한국문화재보호협회에서 가야금산조 음반을 출반했고, 1988년 일본 킹레코드사에서 CD를 출반했다. 김죽파 사후 양승희, 문재숙, 박현숙 등의 연주자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
1. 김죽파 명인의 생애김죽파는 19세기 후반 한국 가야금 음악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전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가야금 산조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그의 생애는 전통 음악의 계승과 혁신이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으며, 당시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전통 음악을 지켜낸 예술가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비록 기록이 많지 않지만, 그의 제자들을 통해 전승된 음악 유산은 현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한국 전통음악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입니다.
-
2.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의 구성김죽파류 산조는 전통적인 산조의 기본 구조를 따르면서도 독특한 음악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산조의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의 기본 구성에 충실하면서도, 각 장단 간의 전개와 음악적 표현에서 개성 있는 구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구성은 가야금의 음향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연주자의 기량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전통 산조의 예술성을 잘 대표합니다.
-
3. 김죽파류 산조의 특징김죽파류 산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섬세한 음정 표현과 유연한 리듬감입니다. 전주 지역의 음악적 전통을 반영하면서도 개인적인 음악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특징을 보이며, 특히 음의 굴곡과 장식음의 사용에서 독특한 미학을 추구합니다. 또한 빠른 장단에서의 정교한 기교와 느린 장단에서의 깊이 있는 표현이 조화를 이루어, 청자에게 풍부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4. 김죽파류 산조의 전승김죽파류 산조의 전승은 주로 제자 관계를 통해 이루어져 왔으며, 현대에도 여러 가야금 연주자들에 의해 계승되고 있습니다. 전통 음악의 구술 전승 방식을 따르면서도 현대 음악 교육 체계 속에서 기록과 영상을 통한 전승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층적인 전승 방식은 전통의 정통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세대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한국 전통음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국악의 이해 참관보고서 7페이지
국악의 이해 참관보고서-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고법 예능보유자 김청만 공개행사를 다녀와서-국립국악원에서의 국악공연을 알아보던 중요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인 김청만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국악 공연내용을 제공하는 일정이 있어 바로 예약 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관람하게 되었다. 일반 공연의 특성 상, 핸드폰 사용은 물론, 사진촬영이 엄격히 금지 되어 있어 공연 중간중간의 내용은 사진으로 담을 수 없다는 점은 아쉬운 마음도 있었지만, 그만큼 더욱 공연에 집중하게 되어 아쉬운 마음은 사라졌다.< 11월15일 중요주요문화재 제5호 판소리...2017.11.20· 7페이지 -
산조의 발달, 산조의 흐름, 가야금산조의 계보, 가야금산조의 다스름, 가야금산조의 진양조 선율 분석(산조, 가야금산조, 산조 발달, 산조 흐름, 가야금산조 계보, 가야금산조 다스름, 가야금산조 진양조 선율) 12페이지
산조의 발달, 산조의 흐름, 가야금산조의 계보, 가야금산조의 다스름, 가야금산조의 진양조 선율 분석Ⅰ. 산조의 발달과 흐름Ⅱ. 가야금산조의 계보1. 가야금 산조에는 여러 유파들이 있다2. 각 유파별로의 계보1) 한성기류2) 안기옥류3) 박상근류(1905~1949)4) 심상건류(1889~1965)5) 함동정월류6) 김죽파류7) 성금연류8) 지성자류9) 서공철류10) 김종기류11) 강태홍류12) 김병호류13) 김윤덕류14) 황병기류Ⅲ. 가야금산조의 다스름1. 최옥산류 다스름2. 김죽파류 다스름3. 강태홍류 다스름4. 안기옥류 다스름5....2010.10.12· 12페이지 -
[산조][가야금산조][거문고산조][대금산조][해금산조][아쟁산조][산조 구성][산조 특성]산조의 특성, 산조의 종류(가야금산조, 거문고산조, 대금산조, 해금산조, 아쟁산조), 산조의 구성,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분석 5페이지
산조의 특성, 산조의 종류(가야금산조, 거문고산조, 대금산조, 해금산조, 아쟁산조), 산조의 구성,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분석Ⅰ. 산조의 특성Ⅱ. 산조의 종류1. 가야금산조2. 거문고산조3. 대금산조4. 해금산조5. 아쟁산조Ⅲ. 산조의 구성Ⅳ. 가야금산조Ⅴ. 아쟁산조참고문헌Ⅰ. 산조의 특성산조는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선율악기를 장구 반주를 곁들여 연주자가 자유롭게 연주하는 기악독주곡의 한 형태이다. 무속음악인 시나위와 민간예술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여 민간에서 발전시킨 음악장르로서 매우 높은 경지의 예술...2010.10.11· 5페이지 -
[리포트,보고서] 북한전통음악 도서를 읽고 9페이지
도서 명 : 북한의 전통음악지은이 : 황준연 신대철권도희 성기련제출일 : 2010.10.13.수요일강의명 : 국악분석연구교수님 : 000 교수님학 번 : 0000000이 름 : 홍길동제1장 음악예술론제2장 전통음악 전승양상1. 산조1)가야금 2)해금2. 구전민요1)북한 노동민요의 전승양상3. 풍류 계 음악4. 창극과 남도소리5. 병창6. 풍물1) 채 굿 2) 태평소 가락7. 삼현육각 및 기타제3장 전통음악 연구1. 음악연구기관2. 음악사 연구1) 북한의 음악사 연구의 특징3. 음악이론연구1) 음계 2) 장단 3) 악기 4) 구전민요...2018.03.12· 9페이지 -
정악과 민속악, 문묘제례악(문묘제례악의 역사, 문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종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역사, 종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판소리와 민요, 잡가, 산조, 가곡, 시조 분석(정악, 민속악) 15페이지
정악과 민속악, 문묘제례악(문묘제례악의 역사, 문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종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역사, 종묘제례악 의식의 절차와 음악), 판소리와 민요, 잡가, 산조, 가곡, 시조 분석Ⅰ. 정악과 민속악1. 정악1) 도드리(환입:還入)2) 영산회상3) 천년만세4) 취타(만파정식지곡)6) 수제천7) 보허자, 낙양춘2. 민속악1) 시나위2) 산조Ⅱ.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1. 역사1) 문묘제례2) 팔음2. 음악적 특징3. 등가와 헌가1) 음려2) 양률4. 문무와 무무5. 의식의 절차와 음악Ⅲ.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1. 역사2)...2010.02.25·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