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사례연구보고서(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2개)
- 최초 등록일
- 2021.11.03
- 최종 저작일
- 2020.11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 사례연구보고서(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심근경색이란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Ⅲ. CASE STUDY
1. 간호정보조사
2. 진단적 검사
3. 약물
4. 병의 경과
5. 우선순위 결정
6. 간호과정
Ⅳ. 결론
1. 간호과정 적용 느낀 점
2. 병원 실습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만성질환 중 심뇌혈관질환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겨울철인 12월, 1월은 체온이 감소하면서 신체 내 혈관 수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계절이다. 그 중 심근경색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에 118,87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2015년에 비해 30% 이상 증가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심근경색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해 응급처치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골든타임인 2-3시간을 놓칠 경우 심각한 휴유증(심근괴사, 심근손상) 및 돌연사가 발생할 수 있다. 골든타임을 지켰음에도 불구하고 심근경색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7.7%가 사망하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더라도 6.5%가 사망한다. 그래서 현재 만성질환 및 고령화 사회와 겨울철임을 생각했을 때, 심근경색증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나는 병원 내 심근경색을 호소하고 있는 대상자에게 올바른 간호와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서 심근경색증의 문헌고찰을 조사해 심근경색 대상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예견할 것이다. 또한 심근경색 대상자에게 흉통 발생 시 어떠한 간호로 통증을 경감할 것인지, 통증과 함께 사정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무엇을 중심으로 관찰하고 치료해 효과를 증가시킬 것인지 연구해 볼 것이다.
Ⅱ 문헌고찰
1. 심근경색이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음.
2. 원인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작스럽게 발생함.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좌주관상동맥 중에서도 좌전하행동맥이 주로 경색됨).
참고 자료
유은자,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9
원종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손정태, 『기본간호학1』, 현문사, 2018
김양혁, “겨울철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증가...골든타임 중요.” 조선비즈(2020. 12. 12)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1/2020121102428.html
유지영,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찬바람 부는 겨울엔 급성심근경색 주의보.”, 코리아헬스로그(2020. 12. 02)
http://www.koreahealthlog.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7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https://opendata.hira.or.kr/home.do#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