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아동간호학: 신생아 건강문제 및 질환 정리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내용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3
문서 내 토픽
  • 1. 고위험신생아의 분류
    신생아의 건강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에 따라 분류합니다. 저체중출생아(2,500g 미만), 극소저체중출생아(1,500g 미만), 초극소저체중출생아(1,000g 미만)로 구분되며, 재태기간에 따라 미숙아(37주 미만), 후기조산아(34~36주), 만삭아(37~41주), 과숙아(42주 이상)로 분류됩니다. 또한 재태기간에 비한 출생체중으로 부당중량아, 적정체중아, 부당경량아로 구분되어 각각의 건강관리 전략이 수립됩니다.
  • 2. 미숙아의 주요 합병증
    미숙아는 모든 신체계통이 미성숙하여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호흡곤란증후군(RDS)은 폐표면활성제 부족으로 발생하며, 무호흡은 호흡이 20초 이상 중단되는 상태입니다. 뇌실내출혈은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출생아에게 흔하고, 미숙아망막병증은 망막혈관 손상으로 시각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고빌리루빈혈증도 미숙아에서 빠르게 축적되어 광선요법이 필요합니다.
  • 3. 선천기형과 선천대사장애
    구순열과 구개열은 특수 젖꼭지와 젖병으로 수유 관리가 필요합니다. 페닐케톤뇨(PKU)는 페닐알라닌 축적으로 지적장애를 유발하므로 저페닐알라닌 식이가 평생 필요합니다. 갈락토오스혈증은 갈락토오스 분해효소 결핍으로 발생하며 락토오스가 없는 분유 투여가 필수입니다. 생후 3~7일경 발뒤꿈치 채혈로 조기 진단이 가능합니다.
  • 4. 호흡곤란증후군(RDS)과 태변흡인증후군(MAS)
    RDS는 폐표면활성제 부족으로 무기폐를 초래하는 진행성 호흡부전입니다. 산모에게 스테로이드 투여 시 발생률과 중증도가 감소하며, 인공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과 기계적 환기요법이 시행됩니다. MAS는 태변에 착색된 양수를 흡인하여 발생하며, 태아곤란증상 발견 시 빠른 분만이 권장됩니다. 신생아가 호흡능력 감소, 근긴장도 저하, 심박수 100회/분 미만이면 기관내삽관으로 태변 제거가 필요합니다.
  • 5. 신증후군의 임상특징과 관리
    신증후군은 토리기저막 투과성 증가로 부종, 다량의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고지질혈증이 특징입니다. 아동은 눈주위 부종, 옷과 신발이 꽉 끼는 증상을 보이며 소변에 거품이 있습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프레드니손) 투여로 2~3주 내 소변단백질이 감소하며, 이뇨제 사용 시 전해질 농도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감염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예방교육이 중요합니다.
  • 6. 고빌리루빈혈증과 광선요법
    생후 1주 이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되는 흔한 질환입니다. 황달은 빌리루빈이 지방함유 조직에 축적되어 피부와 공막이 노랗게 변하는 것으로, 얼굴에서 시작하여 복부, 발까지 진행됩니다. 광선요법은 파란색 빛에 신생아를 노출시켜 혈청 빌리루빈을 낮추며, 안대 착용, 최소 2~3시간마다 수유 중단, 충분한 수분 제공이 필요합니다. 광선치료기와 아기 사이의 거리는 50~70cm 유지해야 합니다.
  • 7. 제1형 당뇨병의 병태생리와 치료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로 인슐린 결핍이 발생합니다. 고혈당, 다뇨, 다갈, 당뇨, 다식, 혈당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케톤산증 혼수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요법은 속효성과 중간형 인슐린을 혼합하여 하루 두 번 투여하며, 부위를 바꿔가며 투여해야 합니다. 혈당검사로 80~120mg/dl 유지, 균형잡힌 식이요법, 저혈당 대비 사탕 휴대가 필수입니다.
  • 8. 수두의 특징과 관리
    수두는 Varicella zoster virus로 인한 감염성 질환으로 늦겨울과 초봄에 호발합니다. 반점→구진→수포→농포→가피 형성 순서로 나타나며 구심성 발진으로 몸통에 집중됩니다. 심한 소양증이 특징이며 손톱을 짧게 하여 2차 세균감염을 방지합니다. 수포가 모두 마를 때까지 격리가 필요하고, 항바이러스제제(acyclovir)와 항히스타민제로 치료합니다. 아스피린은 Reye 증후군 유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한됩니다.
  • 9. 요로감염의 진단과 예방
    요로감염은 대장균이 주요 원인이며 요정체가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신생아는 비특이적 증상(설명할 수 없는 열, 저체온증, 성장장애)을 보이고, 2세 미만 원인 모를 열이 있는 아동은 검사가 필요합니다. 청결채취 중간뇨 배양에서 한 종류의 세균이 100,000개 이상의 집락형성단위를 보일 때 진단됩니다. 예방은 회음 부위 청결, 충분한 수분 섭취, 면 소재 속옷 착용, 자주 배뇨하기 등이 포함됩니다.
  • 10. 빌름스종양의 진단과 간호
    빌름스종양은 가장 흔한 소아 복부종양으로 일반적으로 무증상이며 부모가 목욕 중 발견합니다. 중앙선을 넘는 단단한 엽으로 이루어진 덩어리가 특징이고, 고혈압이 흔한 소견입니다. 복부초음파와 정맥신우조영사진으로 진단되며, 폐, 간, 비장, 뇌의 CT/MRI로 전이 여부를 확인합니다. 가장 중요한 간호는 복부를 절대로 촉진하지 않는 것입니다. 촉진으로 종양 조각이 벗어날 수 있으므로 침상과 차트에 '복부촉진금지' 표시를 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고위험신생아의 분류
    고위험신생아의 분류는 신생아 의료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 개념입니다. 출생 전 위험요인, 출생 시 위험요인, 출생 후 위험요인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의료진이 신생아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체 요인, 태아 요인, 신생아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분류 체계를 통해 고위험 신생아를 조기에 식별하면 합병증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모든 의료진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 2. 미숙아의 주요 합병증
    미숙아의 합병증은 신생아 사망률과 이환율의 주요 원인입니다. 호흡곤란증후군, 뇌실내출혈, 괴사성 장염, 미숙아망막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장기적인 신경발달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장기 미성숙으로 인한 이러한 합병증들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의료 개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극소미숙아의 경우 더욱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므로, 신생아중환자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선천기형과 선천대사장애
    선천기형과 선천대사장애는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선천기형은 구조적 이상으로 즉각적인 외과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선천대사장애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는 데 결정적입니다. 신생아 선별검사 프로그램의 확대로 많은 선천대사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검사 범위 밖의 질환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임상 증상에 대한 높은 의심도와 신속한 진단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 4. 호흡곤란증후군(RDS)과 태변흡인증후군(MAS)
    호흡곤란증후군과 태변흡인증후군은 신생아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각각 다른 병태생리와 관리 전략을 요구합니다. RDS는 폐표면활성물질 부족으로 인한 미숙아의 전형적인 질환이고, MAS는 태내 스트레스로 인한 태변 배출과 흡인으로 발생합니다. 두 질환 모두 산소 요법, 환기 지원, 약물 치료 등 적절한 중재가 필요하며, 특히 폐표면활성물질 대체 요법과 고주파 진동 환기 등의 발전으로 예후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 개시가 예후 결정에 중요합니다.
  • 5. 신증후군의 임상특징과 관리
    신증후군은 소아에서 흔한 신장 질환으로, 대량의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을 특징으로 합니다. 대부분의 소아 신증후군은 스테로이드에 반응하는 미변화 신증후군이므로, 초기 스테로이드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의존성이나 저항성 신증후군의 경우 추가적인 면역억제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감염 예방, 혈전증 예방, 영양 관리 등 포괄적인 관리가 중요하며,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신기능 보존과 재발 예방에 주력해야 합니다.
  • 6. 고빌리루빈혈증과 광선요법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흔한 신생아 질환이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핵황달로 진행하여 영구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광선요법은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빌리루빈의 광이성질화를 통해 배설을 촉진합니다. 그러나 광선요법의 적절한 적응증 판단을 위해서는 신생아의 나이, 위험 요인, 빌리루빈 수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 LED 광선요법의 도입으로 치료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교환수혈이 필요한 경우를 조기에 판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7. 제1형 당뇨병의 병태생리와 치료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기전으로 인한 인슐린 분비 세포의 파괴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아에서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입니다. 절대적인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인슐린 치료가 필수적이며, 강화 인슐린 요법과 혈당 자가 모니터링을 통한 엄격한 혈당 조절이 필요합니다. 최근 인슐린 펌프와 연속혈당측정기 등의 기술 발전으로 혈당 관리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저혈당 위험,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 심리사회적 지원 등 다각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환자와 가족의 교육이 성공적인 치료의 핵심입니다.
  • 8. 수두의 특징과 관리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높은 질환으로, 특징적인 구진-소포-딱지 병변이 단계적으로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가 제한적이지만, 면역저하 환자나 신생아에서는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 치료, 증상 관리, 감염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이차 세균 감염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수두 백신의 도입으로 질병 발생률이 크게 감소했으나, 백신 접종 후에도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주의가 필요합니다.
  • 9. 요로감염의 진단과 예방
    소아 요로감염은 흔한 세균 감염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신장 반흔 형성을 예방하는 데 중요합니다. 요검사와 요배양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특히 요배양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함께 요로 이상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영상 검사가 권장됩니다. 예방 측면에서는 적절한 배뇨 습관, 충분한 수분 섭취,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재발성 요로감염의 경우 예방적 항생제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10. 빌름스종양의 진단과 간호
    빌름스종양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신장 악성종양으로, 조기 진단이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복부 종괴, 혈뇨,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초음파와 CT를 통한 영상 진단이 중요합니다. 다학제 치료 접근으로 화학요법, 수술, 방사선 치료를 조합하여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간호 측면에서는 치료 부작용 관리, 심리사회적 지원,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이차 악성종양 발생 위험을 고려한 장기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