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감염병 환자의 잔반 및 식기 소독 관리
본 내용은
"
감염병 환자의 잔반 및 식기 소독 (조리장 배식, 퇴식, 식기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3
문서 내 토픽
  • 1.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
    감염병 환자에 대한 배식 및 퇴식 시 개인보호구 착용이 필수적입니다. 배식 전후로 손 위생을 실시하고, 병실 입실 전 보호구를 착용한 후 환자 확인 후 배식합니다. 퇴식 시에는 검은 비닐에 싸서 일반식과 섞이지 않도록 배선카 위에 얹어 운반하며, 세척실 내 소독식 처리장소로 옮깁니다. 모든 과정에서 개인보호구 탈의 순서를 준수해야 합니다.
  • 2. 소독식 잔반 처리
    감염병 환자의 잔반 처리는 일회용 위생장갑을 착용하고 지정된 소독처리 구역에서 실시합니다. 식기뚜껑을 열고 50배 희석한 락스(1,000ppm)를 잔반에 뿌린 후, 잔반과 수거용 검은 비닐, 위생장갑을 감염성 폐기물 전용 비닐봉지(주황색)에 넣어 밀봉합니다. 감염성 폐기물을 전용용기에 넣고 뚜껑을 닫아 처리합니다.
  • 3. 식기 세정 및 소독 기준
    감염병 환자의 식기는 전용 고무장갑을 끼고 지정된 구역에서 세정합니다. 잔반 제거 후 50배 희석한 락스(1,000ppm)로 애벌 세정하고, 희석한 락스에 20분 이상 침적합니다. 100℃ 끓는 물에 5분 이상 열탕 소독한 후 일반 식기와 분리하여 식기세척기에서 세정하고, 치료식 전용 식기보관고에 보관합니다.
  • 4. 소독 대상 감염병
    감염병 규칙에 의거 식기 및 잔반 소독이 필요한 질환은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 A형간염, 성홍열, 디프테리아, 수막구균성수막염입니다. 식기 소독만 필요한 질환은 페스트이며, 원내 규정에 의해 다제내성균 6종과 결핵도 식기 소독이 필요합니다. 인플루엔자는 식기 및 잔반 소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필수적인 위생 관리 체계입니다. 특히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나 격리 대상자에게 식사를 제공할 때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전담 인력 배치, 별도의 식기 사용, 일회용 용기 활용 등이 중요합니다. 배식 전 손 위생, 개인보호장비 착용, 식사 후 즉시 폐기물 처리 등의 절차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러한 절차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요양시설, 학교 등 집단생활 시설에서도 필수적이며, 정기적인 교육과 점검을 통해 실행력을 높여야 합니다.
  • 2. 소독식 잔반 처리
    소독식 잔반 처리는 감염병 전파 차단의 중요한 단계입니다. 감염 위험이 있는 환자의 잔반은 일반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하여 관리해야 하며, 고온 소독이나 화학 소독을 거친 후 처리해야 합니다. 잔반 수거 시 전용 용기 사용,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 수거 후 즉시 소독 처리 등의 절차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감염력이 높은 질병의 경우 소각 처리를 고려해야 하며,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용기에 담아 운반해야 합니다. 이러한 절차의 철저한 이행은 의료진과 환경미화원의 안전 보호에도 중요합니다.
  • 3. 식기 세정 및 소독 기준
    식기 세정 및 소독 기준은 식중독 및 감염병 예방의 핵심입니다. 감염 환자가 사용한 식기는 일반 식기와 분리하여 관리하고, 70°C 이상의 온수로 세정한 후 121°C 이상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 소독하거나 화학 소독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세정 과정에서 개인보호장비 착용, 적절한 세제 사용, 헹굼 단계의 철저한 실행이 필요합니다. 소독 후 식기는 청결한 환경에서 보관하고, 정기적인 미생물 검사를 통해 소독 효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의 준수는 환자 안전과 의료진 보호를 동시에 달성합니다.
  • 4. 소독 대상 감염병
    소독 대상 감염병은 법정 감염병 중 전파 위험이 높은 질병들입니다. 결핵, 홍역, 수두,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호흡기 및 소화기 감염병이 주요 대상이며, 각 질병의 특성에 따라 차등화된 소독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환자의 분비물, 배설물, 사용 물품에 대한 소독이 필수적이며, 소독 방법은 질병의 병원체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감염병 정보 업데이트와 의료진 교육을 통해 신종 감염병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하며, 소독 대상 감염병 목록의 지속적인 검토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