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감염병 환자의 잔반 및 식기 소독 관리
본 내용은
"
감염병 환자의 잔반 및 식기 소독(감염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30
문서 내 토픽
  • 1.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
    감염병 환자에 대한 배식 및 퇴식 시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 절차입니다. 배식 전후 손 위생 실시, 개인보호구 착용 및 탈의 순서 준수, 퇴식상을 검은 비닐에 싸서 배선카 위에 얹어 일반식과 분리하여 처리하며, 세척실 내 소독식 처리장소로 옮기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는 교차감염 방지와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 2. 잔반 처리 및 소독 방법
    감염병 환자의 잔반 처리는 일회용 위생장갑 착용 후 지정된 소독처리 구역에서 실시합니다. 식기뚜껑을 열고 50배 희석한 락스(1,000ppm)를 잔반에 뿌린 후, 잔반과 검은 비닐, 위생장갑을 감염성 폐기물 전용 주황색 비닐봉지에 넣어 밀봉하고 전용용기에 보관합니다. 이는 감염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를 보장합니다.
  • 3. 식기 세정 및 소독 기준
    감염병 환자의 식기 세정은 전용 고무장갑을 착용하여 지정된 구역에서 실시합니다. 잔반 제거 후 50배 희석한 락스(1,000ppm)로 애벌 세정하고, 동일 농도의 락스에 20분 이상 침적한 후 100℃ 끓는 물에서 5분 이상 열탕 소독합니다. 세정 완료 후 일반 식기와 분리하여 식기세척기에서 세정하고 전용 보관고에 보관합니다.
  • 4. 소독이 필요한 감염병 질환
    감염병 규칙에 따라 식기 및 잔반 소독이 필요한 질환은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 A형간염, 성홍열, 디프테리아, 수막구균성수막염입니다. 식기 소독만 필요한 질환은 페스트이며, 원내 규정에 따라 다제내성균 6종, 결핵, COVID-19도 식기 소독이 필요합니다. 인플루엔자는 식기 및 잔반 소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
    격리 배식 및 퇴식 절차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필수적인 위생 관리 체계입니다. 격리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식사는 별도의 공간에서 준비되어야 하며, 전담 인력이 배식 및 퇴식을 담당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보호장비의 착용, 손 위생, 식기 분리 등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배식 전후 손 소독, 일회용 장갑 교체, 식기의 즉시 분리 수거 등의 절차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절차의 철저한 준수는 의료진과 다른 입원 환자들을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감염병 관리의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입니다.
  • 2. 잔반 처리 및 소독 방법
    잔반 처리는 감염병 관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격리 환자의 잔반은 일반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하여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며, 감염성 폐기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잔반은 밀폐된 용기에 담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고온 소각 또는 멸균 처리를 거쳐야 합니다. 처리 과정에서 종사자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잔반 처리 후 사용된 용기와 도구는 즉시 세척 및 소독되어야 하며, 이러한 절차의 준수는 환경 오염 방지와 감염 확산 차단에 필수적입니다.
  • 3. 식기 세정 및 소독 기준
    식기 세정 및 소독은 식인성 감염병 예방의 핵심입니다. 격리 환자가 사용한 식기는 즉시 분리하여 뜨거운 물로 헹굼한 후 세제로 세척해야 합니다. 세척 후에는 80°C 이상의 고온에서 10분 이상 가열 소독하거나, 화학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해야 합니다. 식기 소독 시 모든 표면이 균등하게 처리되도록 주의해야 하며, 소독 후 식기는 청결한 환경에서 건조되어야 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이 사용하는 식기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정기적인 소독 효과 검증도 필요합니다.
  • 4. 소독이 필요한 감염병 질환
    소독이 필요한 감염병 질환은 전염성과 심각성에 따라 다양합니다. 코로나19, 인플루엔자, 결핵, 홍역, 수두 등의 호흡기 감염병과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의 장관 감염병은 특별한 소독 절차가 필요합니다. 각 질환별로 병원체의 특성에 맞는 소독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일부는 고온 소독이 효과적이고 일부는 화학 소독제가 필요합니다. 또한 감염병의 전파 경로에 따라 환경 소독의 범위와 방법이 결정되어야 합니다. 의료기관은 감염병 관리 지침에 따라 각 질환별 소독 기준을 명확히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