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질환별 항생제 적용 가이드
본 내용은
"
[프리셉터/신규간호사 교육]증상/질환별 항생제 적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2
문서 내 토픽
-
1. 발열(Fever) 관리발열 치료는 해열제 종류(Aspirin, NSAIDs, glucocorticoids)와 사용 시점이 중요하다. 고열(41.5℃ 이상)이나 발열에 수반된 전신증상(근육통, 오한, 두통)이 있을 때 해열제 사용이 권장된다. Hyperthermia 치료는 물리적 냉각(tepid massage, sponge massage), IV 수액 공급,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중요한 점은 발열=항생제 사용이 100% 정답이 아니며, 항생제는 일반세균감염이나 일부 바이러스 감염 시에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
2. 항생제 경구 전환 전략(Parenteral to Oral Step-down)항생제의 배설 경로에 따라 간과 신장을 통한 배설이 구분된다. 간 배설 항생제는 clindamycin, doxycycline, erythromycin, metronidazole 등이고, 신장 배설 항생제는 cephalosporins, imipenem, ciprofloxacin, penicillin, tetracyclines, vancomycin 등이다. Parenteral 제제에서 경구 제제로의 전환 시 cefazolin, cephalexin, amoxicillin/clavulanate, ofloxacin, TMP-SMX 등이 사용된다. 신부전 환자에서는 항생제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
3. 수술 전 항생제 사용(Pre-op Antibiotics)수술 부위 감염 예방을 위해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시행된다. Clean surgery(심장, 혈관, 신경/정형)에는 cefazolin을 사용하고, Clean-contaminated surgery(두경부, 고위험 내시경)에는 cefazolin, ampicillin-sulbactam, clindamycin을 사용한다. Contaminated surgery(내장 파열, 외상)에는 cefotetan, cefoxitin, cefazolin을 사용한다. 결장직장 수술 시 경구 neomycin과 EM을 병행하며, 비뇨기계 수술에는 Fluoroquinolone(ciprofloxacin)을 사용한다.
-
4. 호중구감소증 발열(Neutropenic Fever)ANC 1500 이하에서 감염 빈도가 증가하고, 500 이하에서 급증하며, 100 이하에서는 필연적 감염 발생과 중증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흔한 원인균은 환자의 상재균(GI tract, oropharynx)으로 G(-) 균(E.coli, Klebsiella, P.aeruginosa)과 G(+) 균(S.aureus, S.epidermidis)이다. 치료는 anti-pseudomonal b-lactams(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을 사용하고, b-lactam 알레르기 시 vancomycin + aztreonam을 사용한다. 항생제 사용 후 5~7일 이상 발열이 지속되면 항진균제 추가를 고려한다.
-
5.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요로감염 진단은 U/A에서 WBC 검출 확인 후 G/S(urine)로 원인균을 찾으며, 필요시 B/C도 시행한다. 치료는 ciprofloxacin 200mg q12h(저용량)를 사용한다. Pyelonephritis의 경우 발열이 소실되는 데 72시간이 필요하며, 이후에도 소실되지 않으면 CT 추적 검사로 농양을 의심해야 한다.
-
6. 수술 부위 감염(Surgical-site Infection, SSI)수술 부위 감염의 원인균은 S.aureus, Pseudomonas, Enterococcus이다. 치료는 경험적 항생제(가장 유력한 병원균 cover: cefazolin)를 사용하며, 수술 1시간 전부터 수술 후 1~2일까지 항생제를 투여한다.
-
7. 패혈증(Sepsis)패혈증은 주로 G(-) rods에 의해 발생하며, 전신염증반응(발열 또는 저체온, 오한, 빈맥, 백혈구증가증 또는 감소증)과 쇼크 유도 장기 부전(저혈압, 심근 억제, 유산 생성, ARDS, 급성신부전, 고빌리루빈혈증, 혈소판감소증, DIC, 의식변화)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는 경험적 항생제(면역 정상: ceftriaxone, tazocin; MRSA 의심시 vancomycin 추가; 호중구감소증: imipenem/cilastatin, piperacillin/tazobactam; AIDS: cefepime)와 쇼크 치료(ICU 모니터링, IV 수액, 혈관활성약물)를 포함한다.
-
8. 폐렴(Pneumonia)폐렴은 기침, 호흡 시 흉통, crackle sound, CXR상 염증 병변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도염이나 기관지염과 구분된다.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은 그람염색(+):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그람염색(-):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pneumophilla이다. 경험적 치료는 병원 획득 폐렴(carbapenem, piperacillin-tazobactam), 흡인 폐렴(clindamycin, amoxicillin-clavulanate, metronidazole), 비정형 폐렴(azithromycin), PcP(TMP-SMX, glucocorticoids)로 구분된다. 치료 기간은 전형적 세균성 CAP 7-10일, 비정형 폐렴 10-14일 이상이며, 경구 전환 시점은 기침/호흡곤란 호전, 해열, WBC 정상화, 충분한 경구 섭취 시이다.
-
1. 발열(Fever) 관리발열은 감염성 질환의 중요한 신호이며, 적절한 관리는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발열 관리에서는 원인 규명이 가장 중요하며, 무분별한 해열제 사용보다는 기저 질환의 치료에 집중해야 합니다. 특히 감염성 발열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투여 전에 혈액배양 등 미생물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발열의 지속 기간, 동반 증상, 환자의 면역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계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발열 자체가 면역 반응의 일부이므로, 과도한 해열 치료는 오히려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
2. 항생제 경구 전환 전략(Parenteral to Oral Step-down)경구 항생제로의 전환은 입원 기간 단축, 의료비 절감, 환자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전환은 치료 실패와 내성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전환 시점은 임상적 호전, 경구 섭취 가능성, 약물 흡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특히 생체이용률이 우수한 경구 항생제의 선택과 적절한 용량 설정이 중요합니다. 감염 부위, 원인 미생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바탕으로 한 개별화된 전환 전략이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수술 전 항생제 사용(Pre-op Antibiotics)수술 부위 감염 예방을 위한 수술 전 항생제 사용은 현대 외과의 필수 요소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항생제를 투여하면 감염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수술 전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마취 유도 시 또는 수술 시작 60분 전에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수술의 종류, 예상 소요 시간, 환자의 위험 인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과도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 발생과 부작용을 증가시키므로, 지침에 따른 합리적 사용이 중요합니다.
-
4. 호중구감소증 발열(Neutropenic Fever)호중구감소증 환자의 발열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호중구 수가 500/μL 이하인 환자에서 발열이 발생하면 즉시 광범위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혈액배양 등 미생물학적 검사를 먼저 시행한 후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개시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항생제 선택은 기관의 감염 패턴과 내성 현황을 반영해야 하며, 임상 반응에 따라 조정해야 합니다. 호중구 회복까지의 기간 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지지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입니다.
-
5.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요로감염은 흔한 감염성 질환이지만,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행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무증상 세균뇨는 일반적으로 치료하지 않는 것이 권장되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요배양을 통한 원인 미생물 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단순 방광염과 신우신염은 치료 기간과 항생제 선택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재발성 요로감염의 경우 기저 원인 규명과 예방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
6. 수술 부위 감염(Surgical-site Infection, SSI)수술 부위 감염은 수술 후 합병증 중 가장 흔하며,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SSI 예방은 수술 전 항생제 투여, 적절한 피부 소독, 무균 기법 준수 등 다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감염이 발생한 경우 배양 검사를 통한 원인 미생물 규명이 중요하며, 필요시 외과적 배농이 필수적입니다. 항생제 선택은 감수성 결과를 바탕으로 하되, 초기에는 광범위 항생제로 시작하여 결과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는 예방적 조치를 강화해야 합니다.
-
7. 패혈증(Sepsis)패혈증은 감염으로 인한 생명 위협적 장기 부전으로, 신속한 인식과 치료가 생존율을 크게 좌우합니다. 패혈증 진단 시 1시간 내에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고, 동시에 혈액배양 등 미생물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적절한 수액 소생, 혈관 활성제 사용, 장기 부전에 대한 지지 치료가 항생제 치료와 함께 중요합니다. 감염 부위의 제거 또는 배농 등 원인 제거도 필수적입니다. 항생제는 감수성 결과에 따라 조정하되, 과도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은 내성 발생을 초래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8. 폐렴(Pneumonia)폐렴은 감염성 질환 중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지역사회획득폐렴과 병원획득폐렴은 원인 미생물이 다르므로 항생제 선택이 달라야 합니다. 흉부 영상 검사와 객담 배양을 통한 원인 미생물 규명이 치료의 기초입니다. 초기 항생제는 경험적으로 선택하되, 배양 결과에 따라 조정해야 합니다.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면역 상태 등을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 전략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의 경구 항생제 전환도 치료 성공을 위해 중요합니다.
-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폐렴(Pneumonia) 간호, 간호과정, 간호진단,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5페이지 자료입니다.1.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2025.01.22 · 의학/약학
-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의 LAAO 수술 간호사례1. 심방세동(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은 심방 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로 인해 분당 300~600회의 빠른 불규칙한 맥박이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60세 이후 많이 발생하며 심방과 심실의 리듬 불일치로 심박출량 감소, 혈전 형성, 뇌졸중 위험이 증가한다. 원인은 고혈압, 판막질환, 심근병증, 당뇨병 등이며, 증상은 심계...2025.11.15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췌장염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3개 포함1. 췌장의 위치와 기능 췌장은 복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며, 소화기계의 일차적인 효소생산기관이자 외분비샘과 내분비의 기능을 가진 기관이다. 췌장의 외분비샘은 다양한 효소를 포함한 알칼리성 췌장액을 분비하고, 내분비샘은 혈액을 통해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여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급성 췌장염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증상 급성 췌장염은 담석, ...2025.01.27 · 의학/약학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위궤양(Gastric ulcer)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2페이지 자료입니다.1. 위궤양(Gastric ulcer) 위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보다 깊이 패이면서 점막근층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상태를 위궤양이라고 한다. 흔히 소화성 궤양과 동의어로 쓰이는데, 소화성 궤양은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의 균형이 깨지면서 ...2025.01.27 · 의학/약학
-
TLIF 측방요추체간유합술 수술과정1. 요추관 협착증 요추관 협착증은 허리관이 좁아짐으로 인해 신경근과 경막낭의 압박을 야기시키는 병이다. 디스크 퇴행성 변화, 후관절 및 황인대와 같은 연조직의 비후로 인하여 척추관의 공간이 좁아지면 척수와 신경에 압력이 가해져 척추관 협착이 생길 수 있다. 척추 협착증은 요추와 경추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주로 L3/4, L4/5에 발생하게 된다. 증상 초...2025.01.18 · 의학/약학
-
수술실 실습 AGC 위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A+(간호과정 3개)1. 위암 위암은 선암(adenocarcinoma)이 90%정도 차지하며 나머지 10% 정도는 림프종이다. 질병 초기에 발견되면 5년 생존율은 71%, 후기에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경우가 흔하다. 병변은 궤양성 분화구로 시작되어 진행되면 주변 장기인 간, 췌장, 횡행결장으로 퍼지며 뼈, 난소, 복막조직으로 전이된다. 위암의 원인으로는 H.pylori 감염...2025.05.01 · 의학/약학
-
아동 폐렴 간호과정 4페이지
진단 #1 부적절한 분비물 배출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목 표 계 획 장기 목표 - 퇴원 시까지 sputum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 호흡수를 유지할 것이다. 2. 보호자는 네뷸라이저 사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보호자는 효과적으로 가래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호흡 양상, 호흡수를 4시간 마다 사정한다. - 하나 이상의 활력징후가 비정상이면 4시간마다 측정한다.(출처: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호흡수 및 활력징후에 대한 사정은 기...2025.07.25· 4페이지 -
신우신염-성인간호 5페이지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성명 : 이00성별 : M연령 : 76정보제공자본인입원일자 : 23년 9 월 11 일입원경로 : 외래 □ 병동 □ 응급실진단명 :? 의식수준Alert □ Drowsy □ Stupor □ Semicoma □ coma? 활력징후체온 38.2 ℃ 측정부위 고막호흡 20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 유맥박 70 회/분 측정부위 요골혈압 130 /90mmHg 측정부위 상완정의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요도에 발생한 요로감염증은 요도염이라 하고...2024.03.11· 5페이지 -
Enteritis, Colitis 환자의 간호 11페이지
Enteritis, Colitis 환자의 간호목차1. 소장(Small intestine), 대장(Large intestine)1) 소장의 구성 및 기능2) 대장의 구성 및 기능2. 소장염(Enteritis), 대장염(Colitis)1) 정의 및 병태생리2) 원인3) 증상 및 검사4) 치료5) 간호3. 참고문헌1. 소장(Small intestine), 대장(Large intestine)1) 소장의 구성 및 기능소장(Small intestine)은 위와 대장 사이에 위치한 길이 약 6~7m의 긴 관 형태의 소화기관으로, 음식물의 소화와...2025.07.15· 11페이지 -
[통합시뮬레이션]A++_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대상자 간호_PBL 보고서 5페이지
? 시뮬레이션 실습 시 개별 업무분담번호조원 이름역할업무분담1OOO차지간호사조장, 차지간호사, noti, order2***간호사1환기증진, 기도개방성 유지를 위한 간호중재3***간호사2처방확인, 검사결과확인 및 해석, 환자사정 등4***간호사3투약◆ PBL 보고서- 시나리오 개요에 있는 흉통 호소 대상자에게 예상되는 간호문제와 중재에 대해 기술팀 이 름통실찢었조제출일2024.06.20.목팀원이름(학번)OOO*********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위의 대상자에게 사정해야 하는 자료는?#1.폐 손상으로 인한 환기-관류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2025.03.19· 5페이지 -
복강경 담낭절제술과 간호, 문헌고찰 포함, 참고문헌 최신자료 7가지 4페이지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은 담낭관 폐쇄로 인해 담즙의 정체 및 이차적 세균 감염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대부분 담석에 의해 유발되며, 담석은 서구 인구의 약 10%에서 관찰되는 흔한 질환이다. 이 중 70~80%는 증상이 없지만, 증상이 나타난 경우 약 13%에서 급성 담낭염으로 진행된다.급성 담낭염은 우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발열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며, 적절한 시점에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담낭 괴사, 천공, 복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악...2025.05.26· 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