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본 내용은
"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PPT 70장"고퀄자료" ( 대학병원 간호사 대상 교육 자료) 고퀄리티 사진 포함, 심장판막질환,심장질환 Q/A, 심폐소생술 포함 자료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2
문서 내 토픽
-
1. 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심장은 종격동에 위치한 근육기관으로 약 12cm 크기, 300g 무게이며 심내막, 심근, 심외막 3개 층으로 구성됩니다. 4개의 심장판막(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과 4개의 방(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동맥혈은 산소가 많이 포함된 선홍색 혈액으로 대동맥과 폐정맥을 통해 흐르며, 정맥혈은 산소가 적게 포함된 암적색 혈액으로 대정맥과 폐동맥을 통해 흐릅니다.
-
2. 울혈성 심부전의 병태생리와 간호울혈성 심부전은 심근부전으로 인해 조직이 필요로 하는 산소요구량에 부합되는 혈액량을 박출하지 못하여 발생합니다. 원인은 고혈압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만성 폐질환, 전신질환 등입니다. 간호중재는 심장 부담 감소, 적절한 환기 유지, 순환상태 유지, 체중 및 부종 관찰, 저염식이 및 수분제한, 이뇨제 투여 시 포타슘 보충 등을 포함합니다.
-
3.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치료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의 혈관 내에 급성으로 생긴 혈전으로 인해 혈관이 폐쇄되거나 혈관 수축성 물질이 혈관을 심하게 수축시켜 심장에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입니다. ST 분절상승 심근경색증(STEMI)은 경피관상동맥중재술 시행 또는 혈전용해제 투약으로 치료하며, 비 ST 분절상승 급성 관동맥 증후군(NSTMI)은 약물치료 후 고위험군은 12~24시간 이내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합니다.
-
4.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부정맥은 비정상적인 심장의 리듬으로 심장 전도계에 이상이 있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빠르거나 느린 상태입니다. 종류는 서맥(분당 60회 미만), 빈맥(분당 100회 이상), 심실 세동, 심방 세동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항부정맥제 투약,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 전기적 제세동, 인공 심장 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등이 있습니다.
-
5. 심폐소생술(CPR)의 절차와 기법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응급처치입니다. 주요 변경사항은 ABC에서 CAB 순서로 변경되어 흉부압박을 먼저 시행합니다. 절차는 의식 확인, 구조 요청, 분당 100-120회 속도의 가슴압박(성인 5-6cm), 기도 확보, 인공호흡(30:2 비율)을 포함합니다. 자동제세동기(AED)는 2분마다 심장리듬을 분석하며 119 구급대 도착까지 지속됩니다.
-
6. 심장 판막 질환의 진단과 치료심장 판막 질환은 판막의 열고 닫힘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하며 류마티스열, 퇴행성 변화, 균감염, 선천성 기형 등이 원인입니다. 승모판 협착증은 대부분 류마티스열로 발생하며 운동 시 피로,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치료는 이뇨제, 디곡신, 항응고제 등 약물치료, 예방적 페니실린 사용, 증상이 심할 경우 판막 교환술 또는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TAVR)을 시행합니다.
-
1. 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심장의 구조와 혈액순환은 인체 생리학의 기초를 이루는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4개의 심실과 판막들의 정교한 구조가 효율적인 혈액 펌프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한 체계적인 혈액순환은 모든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이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심장 질환 예방과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대동맥, 폐동맥, 대정맥, 폐정맥의 역할과 심장 주기의 수축기와 이완기 개념은 이후 모든 심장 질환 학습의 토대가 됩니다.
-
2. 울혈성 심부전의 병태생리와 간호울혈성 심부전은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는 만성 질환으로, 그 병태생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간호 제공의 핵심입니다.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한 혈액 정체와 조직 부종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면, 이뇨제, ACE 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체액 제한, 염분 제한, 운동 관리 등의 간호 중재를 과학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재입원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과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치료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환자의 생존과 예후를 결정합니다. 심근경색과 불안정 협심증의 차이를 이해하고, 심전도, 심근 표지자 검사 등의 진단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혈전용해제 투여 등의 재관류 치료의 시간 제약성을 고려하면, 응급 의료 체계의 효율성과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
4.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부정맥은 심장 박동의 리듬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군으로, 그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크게 달라집니다. 심방세동, 심실빈맥, 서맥 등 각 부정맥의 특성을 이해하면 약물 치료, 전기적 제세동, 심박동기 삽입 등의 적절한 치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심방세동은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항응고 치료의 중요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5. 심폐소생술(CPR)의 절차와 기법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응급 처치입니다. 정확한 가슴 압박의 깊이, 속도, 위치와 인공호흡의 기법을 숙지하는 것이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일반인도 쉽게 배울 수 있는 심폐소생술이 널리 보급된다면, 응급 상황에서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 귀중한 시간을 활용하여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심장 판막 질환의 진단과 치료심장 판막 질환은 판막의 협착이나 폐쇄부전으로 인해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청진을 통한 심잡음 청취, 심초음파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은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시기를 결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하거나 필요시 판막 수술이나 중재술을 시행하는데, 환자의 나이, 기능 상태, 동반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1. 폐의 울혈로 인한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숨쉬기가 편해졌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2일 이내로 자신의 호흡곤란 증상에 대해 먼저 이야기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 ABGA 정상범위에 이른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사정, 산소 투여, 호흡곤란 증상 사정, 상체 거상, 의사 보고, 약물 제공 등이 포함된다. 2. 심장기능저하...2024.12.31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III 자율학습보고서1. 순환기 건강문제와 간호 태아 순환의 특징, 출생 후 신생아 순환의 변화,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동맥관개존증, 심실중격 결손, 팔로네증후군, 감염성 심내막염, 혈액 건강문제와 간호(철결핍빈혈, 재생불량빈혈, 혈우병, 면역성 저혈소판 자색반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면역 건강문제와 간호 비특이 면역반응, 특이 면역반...2025.05.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3 순환기 질환 퀴즈 시험 문제 및 답1. 순환기 질환 순환기 질환은 심장과 혈관계통의 질환을 포함하는 의학 분야입니다. 성인간호학에서 다루는 주요 순환기 질환으로는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뇌졸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환자의 생리적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가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중요한 임상 지식입니다. 2.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2025.11.13 · 의학/약학
-
성인간호(순환과 간호) 케이스 스터디 / 간호과정 3개1. 순환과 간호 우리 몸의 순환 체계는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순환은 우심장에서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내고, 체순환은 좌심장에서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혈액을 보낸다. 말초혈관 조절 기전에는 혈관 수축과 혈관 이완이 있으며, 이상이 생기면 심부전, 혈관 장애, 죽상경화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죽상경화증은 혈관 내막에 지방성분이 침착...2025.01.20 · 의학/약학
-
[간호학과]기본간호학 산소화 요점요약정리1. 순환기계의 구조와 기능 순환기계는 심장, 혈관, 혈액으로 구성되며 심장의 박동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박출량, 심근허혈, 좌심부전, 우심부전, 저혈량증, 전도장애 등의 순환기계 기능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는 상부기도와 하부기도로 구성되며, 폐환기, 가스...2025.05.01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A+ 협심증(angina) (간호문제도출, 간호진단, 과정 2개-급성통증, 출혈위험성)1. 심장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온 몸에 혈액을 순환시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판막이 혈액의 역류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폐순환, 체순환, 관상순환을 통해 혈액을 순환시키며,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다발-푸르킨예 섬유로 이루어진 자극 전도계가 심장박동을 조절합니다. 2...2025.05.14 · 의학/약학
-
순환계건강문제와 간호 15페이지
성인간호학 III 9 장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9 장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1. 정상구조와 생리적 기능 1) structure of the heart ( 심장의 구조 ) 좌측 3-6 늑골 사이 종격동내에 있는 근육기관 크기 12Cm, 무게 300g 2) Cardiac layer epicardium ( 심외막 ) : 심장의 외측을 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장막 myocardium ( 심근 ) : 심장의 중간층 ,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특수한 횡문근으로 이루어짐 . 심장수축으로 혈액을 전신에 박출해 내는 좌심실벽은 우심실에 비하여...2023.03.02· 15페이지 -
20장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6페이지
67세 강씨는 1년전 심근경색증으로 CABG수술을 받았고 퇴원후 enalapril(Vasotec), digoxin, furosemide(Lasix), coumadin, potassium chloride를 복용해왔다. 현재 강씨는 호흡곤란, 객혈, 식욕저하 증상으로 흉부외과 병동에 입원 중이며 급성 심부전으로 진단되었다.강씨는 침상에 앉은 자세로 있어야만 숨을 쉴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으며 숨이 차서 다른 일을 하기 힘들다고 하였다. 담당간호사가 강씨를 면담한 결과 약물은 규칙적으로 복용해 왔으나 평소 중국음식을 즐겨 먹었으며 식사 ...2024.01.01· 6페이지 -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41페이지
REPORT대학교 간호학과과 목성인간호학(3)교수님제출일학 번이 름목차Chapter 20. 순환계 건강문제와 간호Ⅰ. 부정맥1. 원인 3p2. 병태생리 3p3. 증상과 징후 3p4. 부정맥의 종류 3p5. 협동적 관리 9p6. 심정지와 심폐소생술 10pⅡ. 후천성 판막질환1. 승모판질환 12p2. 대동맥판질환 12p3. 심장판막술과 체외순환 심장수술 12pChapter 21.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Ⅰ. 구조와 기능 17pⅡ. 건강사정 19pⅢ. 일반간호 20pⅣ. 고혈압 21pⅤ. 동맥질환 25pⅥ. 정맥질환 34pⅦ. 림프질환 4...2025.05.02· 41페이지 -
성인건강간호 순환계 혈액계 문제 레포트 10페이지
REPORT성인건강간호 순환계 혈액계과 목 :지 도 교 수 :제 출 일 :학 번 :이 름 :반 :[순환계 15](암기형)문제 1:다음 중 울혈성 심부전의 주요 증상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A. 체중 감소B. 호흡곤란C. 고혈압D. 식욕 증가E. 두통정답: B문항개발의도: 울혈성 심부전은 호흡곤란을 보인다.해설:A: 심부전은 체중 증가와 관련이 있다.B: 호흡곤란은 울혈성 심부전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맞다.C: 고혈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심부전 환자는 혈압이 저하될 수 있다.D: 심부전 환자는 식욕 저하를 겪는 경우가 많다.E: ...2025.03.28· 10페이지 -
[아동간호] 시험대비-가스교환,호흡기,소화기,순환기 건강문제가 있는 아동 간호 정리 21페이지
29. 가스교환 장애 아동Ⅰ호흡기의 구조와 기능1.-작은 기도직경: 점막 부종이나 분비물 증가 시 기도 폐쇄나 허탈-넓지 않은 폐표 표면적: 호흡기 질병 시 가스교환 능력 감소-부드럽고 유연한 흉막: 호흡곤란 발생 시 흉골하와 늑간이 쉽게 함몰-짧고 곧고 넓은 유스타키오관: 상기도 감염 시 중이로 쉽게 이동-미성숙한 면역체계: 감염기회 증가-체표면적이 넓어 열손실 많고, 대사율 높아서 산소소모량이 많다-비강호흡, 5세까지 횡격막-복식 호흡이 지속-신생아 영아 초기는 정상적으로 호흡양상이 불규칙-기도저항은 기도직경의 4²에 반비례 (...2022.12.14· 2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