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건강사정: 머리, 얼굴, 목, 눈과 귀
본 내용은
"
(A+) 간호학과 건강사정 머리, 얼굴, 목, 눈과 귀 사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2
문서 내 토픽
-
1. 머리와 얼굴 신체검진47세 여성 대상자의 머리, 얼굴 검진 결과를 기록한 내용입니다. 머리의 기형, 덩어리, 압통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측두동맥 맥박은 82회/분으로 규칙적입니다. 턱관절은 입을 벌릴 때 딱 소리가 나지만 부드럽게 잘 움직이며 운동범위 제한이나 압통이 없습니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오른쪽 구조물이 왼쪽보다 크며, 안구돌출증이나 비정상적인 부종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피부색은 유전적 피부색에 균일하며 약간 건조한 편입니다.
-
2. 목의 신체검진 및 림프절 촉진목의 관절운동범위는 모든 방향에서 정상적이며 유연합니다. 목 근육의 강도는 양호하고 비정상적인 박동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기관은 중심선 위치에 있으며 갑상선 비대는 없습니다. 림프절은 완두콩 형태로 약 1cm 정도이며 압통이 없고 심부조직에 유착되지 않았습니다. 갑상선 협부는 물을 삼킬 때 미세하게 움직이며 결절, 부종, 비대는 촉진되지 않았습니다.
-
3. 눈의 시력 및 외안근 검진대상자는 32년 전부터 안경을 착용하고 있으며 교정 시력은 양쪽 모두 0.7입니다. 교정 전 시력은 양쪽 모두 0.1로 측정되었습니다. 시야는 정상 범위이며 각막반사, 차폐검사, 외안근 움직임 모두 정상입니다. 2021년 2월에 안과 검진을 받았으며 녹내장 검사도 시행했습니다. 현재 감기약을 복용 중입니다.
-
4. 귀의 외이 및 청력검사귀의 크기는 왼쪽 6.5cm, 오른쪽 7cm로 측정되었습니다. 양쪽 귀 모두 눌려져 있는 편이며 부종이나 비후는 없습니다. 오른쪽 귓바퀴에서 귀지가 관찰되고 귓불에 여드름이 있습니다. 고막은 천공이 없으며 정상입니다. 청력검사 결과 Whispered voice test, Weber test, Rinne test 모두 정상입니다. 대상자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
1. 머리와 얼굴 신체검진머리와 얼굴 신체검진은 임상 진찰의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두피의 상태, 모발의 질감, 얼굴의 대칭성, 피부 상태 등을 체계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전신 질환의 신호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황달, 창백함, 홍조 등의 피부 색상 변화는 간질환, 빈혈,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면 부종, 비대칭성, 신경학적 이상 징후 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촉진과 관찰을 통해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추가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목의 신체검진 및 림프절 촉진목의 신체검진과 림프절 촉진은 감염성 질환, 악성종양, 내분비 질환 등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갑상선의 크기, 질감, 결절 유무를 평가하고, 경부 림프절의 크기, 경도, 고정성 등을 체계적으로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림프절의 비정상적 종대는 감염, 림프종, 전이암 등 다양한 질환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촉진 기법과 해부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평가는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장기간 지속되는 림프절 종대는 반드시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3. 눈의 시력 및 외안근 검진눈의 시력 및 외안근 검진은 신경학적 이상, 안과 질환, 전신 질환을 발견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시력 검사를 통해 굴절이상, 백내장, 망막질환 등을 평가하고, 외안근 검진으로 안구 운동의 정상성과 복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공의 크기, 반응성, 대칭성 평가는 신경계 질환의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또한 안저 검사를 통해 당뇨병성 망막병증, 고혈압성 망막병증 등 전신 질환의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안과 검진은 환자의 시각 건강 유지와 전신 질환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
4. 귀의 외이 및 청력검사귀의 외이 검진과 청력검사는 청각 기능 평가와 이비인후과 질환 진단의 기초입니다. 외이도의 이물질, 염증, 종양 등을 관찰하고, 고막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력검사는 음성 언어 검사, 튜닝포크 검사 등을 통해 전음성 난청과 감음신경성 난청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 청력 손실은 노화, 소음 노출, 감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조기 발견과 중재는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합니다. 특히 노인 인구에서 청력 감소는 인지 기능 저하와도 연관되므로, 정기적인 청력 검사가 권장됩니다.
-
NICU(신생아중환자실) case study 10페이지
NICU(신생아 중환자실)사례보고서제출일학과간호학과과목아동간호학학번담당교수님이름▣ 건강사정I. 전반적 사정[ 1 ] 출생력1. 출생 일시 : 2016. 09. 14. 3 : 59 P.M. 2. 성별 : M3. 재태 기간 : 38+5wks3432604. 출생 시 신체 계측52몸무게(g 및 percentile) : 3260g ? 50~75% 키(cm 및 percentile) : 52cm ? 90%두위(cm 및 percentile) : 34cm ? 50~75%5. 조기양막파열(PROM) : NO__________ 24hr 미만 V(12시...2023.04.14· 10페이지 -
[아동실습 A+]장 감염을 가진 아동 대상자의 간호과정(intestinal infection, 장염) 30페이지
장 감염을 가진 아동대상자의 간호과정 (Intestinal infection) 실습기관 / 실습기간 교과목명 아동간호학 실습 담당 교수님 전공 / 분반 / 조 간호학과 / / 학번 / 이름 제출일 1 목차 Ⅰ . 서론 1 . 간호사례연구 : 입원아동간호사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방법 2. 장 감염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진단방법 4) 임상증상 5) 치료 6) 간호 Ⅱ . 본론 1. 대상자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전반적인 건강상태 5) 가족사항 6) 질환 및 입...2025.09.24· 30페이지 -
아동간호학임상실습_정상 신생아의 생리적 변화 10페이지
사례 보고서부제 : 정상 신생아의 생리적 변화프로그램 학습성과 1다양한 교양 및 전공지식을 간호에 적용한다.순서평가목록매우우수우수보통부족매우부족1주제의 내용이 정확한가?543212내용이 체계적으로 전개 되었는가?543213내용이 논리적인가?543214내용이 충실한가?543215과제의 완성도가 있는가?54321합계/ 25점학과명간호학과교과목명/학점아동간호학임상실습학번이름지도교수제출일자1. 정상 신생아의 출생 직후 생리적 변화1)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 신생아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흡입 기구로 입, 코, 및 목에서...2024.04.08· 10페이지 -
신생아 급성 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 19페이지
신생아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unspecified)대학로고실습명아동간호학Ⅰ학과간호학과실습기관학년/반임상실습현장지도자학번담당교수이름목차1. 간호사정1) 출생력012) 건강력013) 신체사정024) 검사결과065) 투여 약물072. 간호과정#1 기도 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09#2 감염 위험성12#3 위장관 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율적 조직관류14#4 익숙하지 않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수면 장애16IV. 참고문헌171. 신생아 및 고위험 신생아 사례보고서A. 간호사정이름 : 장○○ 성별 : ...2025.01.06· 19페이지 -
A받은 아동간호학 풍진 자료조사+사례+간호과정 2개 11페이지
아동간호학풍진 (Rubella)제출일전공간호학과과목아동간호학조명교수님조원감염병 자료조사 : 풍진Ⅰ 정의풍진은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귀 뒤, 목 뒤의 림프절 비대와 통증으로 시작되고 이어 얼굴과 몸에 발진(연분홍색의 홍반성 구진)이 나타난다. 발진이 있는 동안 미열이 동반되며 전염력이 높은 감염성 질환이다. 2군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환자 및 의사는 해당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임신 초기에 임부가 감염되면 태아에게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나타나 눈, 귀, 심장, 신경계의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Ⅱ 원...2024.07.07· 1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