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습 포트폴리오: 급성호흡부전 환자 간호
본 내용은
"
A+ 임상실습 포트폴리오, clinical portfoli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9
문서 내 토픽
-
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ARDS)급성호흡부전은 심각한 폐 질환으로 인해 폐나 다른 부위가 심하게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체액이 폐의 작은 혈관에서 폐포로 흘러 들어가 산소 전달량이 줄어들고 폐가 충분히 펴지지 않는다. 폐의 기능이 수일 내에 저하되어 동맥혈 내 산소분압이 떨어지거나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저산소혈증성 호흡부전과 과탄산혈증성 호흡부전으로 분류되며, 폐렴, 구토물 흡인, 패혈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은 흉부 X-ray와 동맥혈 가스분석으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주로 인공호흡기 치료와 산소 보충으로 진행된다.
-
2. 기계적 환기(Ventilator)기계적 환기는 적절한 산소화 유지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음압 인공호흡기와 양압 인공호흡기로 분류되며, 환기 양식은 CMV, ACMV, IMV, SIMV, CPAP 등이 있다. 주요 설정 항목은 1회 환기량(Tidal volume), 호흡수, FiO2, 흡기시 최고유량, PEEP 등이다. 환자 간호는 인공호흡기 설정 확인, 연결 상태 유지, 경보 모니터링, 분비물 흡인, 호흡상태 관찰, 합병증 예방 등을 포함한다.
-
3. 환자안전간호환자안전간호는 낙상 예방, 욕창 예방, 억제대 관리, 통증관리 등을 포함한다. 낙상 고위험군 환자는 침상난간 올리기, 낙상예방법 교육, 호출벨 사용 교육을 시행한다. 욕창 사정은 Braden scale을 사용하며, 결과에 따라 Air mattress 적용 및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통증은 NRS 점수로 사정하고, 억제대가 필요한 경우 신체보호대를 적용한다.
-
4. 호흡기 간호 및 기도유지호흡기 간호는 기도개방 유지, 산소 공급, 호흡상태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기침을 격려하고 필요시 흡인하며, 산소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비강 캐뉼라나 안면 마스크로 공급한다. 호흡곤란 시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고, 심호흡과 침상안정을 격려한다. EKG monitor로 호흡수, 심박수, SpO2를 지속적으로 사정하며, 기계환기 환자는 구강간호, 자세변경, 피부사정, 흉부물리요법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
1. 급성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ARDS)급성호흡부전은 중환자실에서 가장 심각한 상태 중 하나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ARDS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폐 보호 전략을 통한 저용량 환기와 적절한 산소 치료가 중요합니다. 다양한 원인(감염, 외상, 흡인 등)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접근이 필요하며, 멀티모달 치료 전략의 적용이 예후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간호사의 세심한 모니터링과 환자 상태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
2. 기계적 환기(Ventilator)기계적 환기는 호흡부전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치료 수단입니다. 다양한 환기 모드와 설정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전략 선택이 중요합니다. 장시간 기계적 환기는 호흡근 약화, 기관지염, 폐렴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의 이탈이 필수적입니다. 기계적 환기 관련 폐렴(VAP) 예방을 위한 감염 관리와 정기적인 환기 설정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환자 중심의 동기화된 환기 모드 적용으로 환자 편안함과 치료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
3. 환자안전간호환자안전간호는 의료 질의 핵심 요소로, 모든 간호 활동의 기초가 되어야 합니다. 중환자실 환자들은 여러 침습적 장치와 약물 치료를 받고 있어 의료오류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체계적인 안전 문화 구축, 정확한 환자 확인, 약물 관리 프로토콜 준수, 감염 예방 등이 필수적입니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와 상황 인식 능력 향상을 통해 잠재적 위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팀 기반의 의사소통과 보고 문화 활성화로 안전한 의료 환경 조성이 가능합니다.
-
4. 호흡기 간호 및 기도유지호흡기 간호는 호흡부전 환자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기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기관내관 관리, 정기적인 기도 흡인, 구강 위생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기관지염이나 폐렴 예방을 위해 반좌위 유지, 분비물 배출 촉진, 호흡 운동 교육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고려한 기도 관리 기술의 숙련도 향상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기도 평가와 기관내관 이탈 준비 과정에서의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환자의 자발적 호흡 회복을 촉진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및 중환자실 Nursing Narrative, 강점과 약점 분석 및 학습입니다! 7페이지
4. 임상포트폴리오(1) Nursing Narratives응급실 실습 중 만난 대상자 김OO(F/55)는 오전 8시 00분경 구급차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나는 대상자의 팔다리를 들어 병원 침대로 이동하는 것을 도왔으며 간호사와 담당의가 구급대원에게 인수인계를 받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대상자는 병원에 내원하기 전부터 심한 두통을 호소하고 손과 팔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또한 제대로 서 있지 못해 벽에 계속 몸을 기대고 있고 중심을 잡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응급실 확인 ? 응급실의 환자 현황)나는 알게 ...2022.04.25· 7페이지 -
아동간호학 case study (급성위염, 간호진단 , 평가 3개), 포토폴리오 포함. 12페이지
1. 사례보고서(학습성과6)1) 사례보고서 표지아동간호학사례보고서교 과 목 명:아동간호학실습Ⅱ학 번:성 명:실 습 기 관:** 병원 응급실 병동실 습 기 간:2014년 11월 10일 - 11월14일제 출 일:2014년 11월 14일실습지도교수:2) 사례보고서 양식Ⅰ. 문헌고찰1. 질병의 정의급성위염:위점막의 급성 염증성 질환-위산의 증가와 위점막 혈류의 감소, 점막에 부착된 점액층의 파괴 및 상피세포 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흔히 아스피린이나 진통제, 알코올과 같이 위점막에 손상을 주는 각종 약물이나 물질에 노출되거나 위점막으로의 혈...2023.06.25· 12페이지 -
COPD임상포트폴리오 9페이지
임상포트폴리오제출일자 : 년 월 일 제출자 : 이름 ( ) 학번 ( )◆ 임상 에피소드이ㅇㅇ(남/74)님은 2018년 11월 본원에서 COPD 진단받아 본원 PIM OPD f/u하면서 PO midication하셨던 분으로 4월 4일 새벽부터 dyspnea, chest discomport 발현하여 119통해 본원 ER통해 내원하셨다. ER 내원시 HR 감소되는 증상 및 의식 쳐지는 증상이 있었고, 내원후 EKG상 HR 회복되고 HR보다는 COPD 동반된 호흡기 감염 및 호흡곤란의 원인으로 판단되어 PIM 병동으로 입원하였다.하루 3번...2023.11.02· 9페이지 -
통합임상실습 사례 보고서 비호지킨 림프종 (SBAR, PICO, 간호진단 및 사정, 평가 포함) 31페이지
2022-2학기 통합임상실습사례 보고서진단명: Lymphoma NOS (Non-Hodgkin’s)성별: M 나이: 57입원 일자: 2022.09.11.(입원 13일째)과목명: 통합임상실습교수명:실습병원 및 병동:실습 기간:학번 및 반:이름:최종 제출 일자:목차Ⅰ. 서론 ....................................................................................................................... p.3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Ⅱ. 문헌고찰 .......2023.12.05· 31페이지 -
ASD 널싱내러티브&SOAPIE(낙상위험성) 8페이지
2023학년도 1학기임상포트폴리오1주제: ASD1주차 - Nursing narrative 1.염OO (W/55)환자는 과거력으로 2016년 Ovary Ca로 본원 OB에서 Salpingo-oophorectomy을 진행했었고 본원 IMH CTx 후 종료한 상태이다. 2021년 10월 본원 TS chemport ins를 진행하였고, 2021년 4월 HBV 진단을 받고, 본원 IMG에서 처방 받은 PO medi 복용 중이다. 2021년 6월 ASD를 진단받고 본원 IMG에서 f/u 하면서 PO 진행 중이었다. 금일 Known Ovary ...2023.09.14·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