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를 위한 상황별 환자 간호
문서 내 토픽
-
1. 격리간호격리환자 간호에는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공기주의는 활동성 결핵, 홍역, 수두 등의 환자에게 적용되며 음압실에서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환자 이동을 제한합니다. 비말주의는 인플루엔자, 뇌수막구균 등의 환자에게 적용되며 가능한 1인실 격리를 하고 일반 외과용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접촉주의는 항균제 내성균 환자에게 적용되며 비닐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손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면역저하 환자는 역격리가 필요합니다.
-
2. 응급간호종양 응급환자 간호에는 상대정맥증후군, 종양용해증후군, 척수압박골절 등이 포함됩니다. 상대정맥증후군은 상체 부종을 유발하며 기도폐쇄, 뇌압상승 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종양용해증후군은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키므로 예방법으로 allopurinol, hydration, urine alkalization이 필요합니다. 척수압박골절은 사지마비 등의 영구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방사선치료, 수술요법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임종간호임종환자 간호 시 EKG 확인 후 경동맥 촉지로 사망을 확인하고 주치의에게 알립니다. 사후처치로 line, EKG, O2, drain bag 제거, 환의 교환, 시트 덮기 등을 합니다. 퇴원 시 정규 시간에 심사과에 알리고 원무과에서 사망진단서를 발급받습니다. 장례식장 이동 시 병원명을 기입합니다.
-
1. 격리간호격리간호는 감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를 다른 환자들로부터 격리시켜 질병의 전파를 방지하는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격리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격리간호에는 환자의 격리 공간 관리, 개인보호장비 착용, 손 위생 실천, 격리 지침 준수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사는 격리간호 과정에서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격리의 필요성과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격리간호는 감염병 예방과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간호 활동이며, 간호사의 전문성과 헌신이 요구됩니다.
-
2. 응급간호응급간호는 생명이 위험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응급간호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사정하고, 기도 유지, 호흡 보조, 순환 지원 등의 생명 유지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신속한 의료 처치를 이루어내야 합니다. 응급간호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신속한 판단력, 그리고 침착성이 요구되는 매우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간호사는 응급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응급실 등 응급 의료 현장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
3. 임종간호임종간호는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매우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임종간호에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 안위를 도모하고, 가족들의 슬픔과 고통을 지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간호사는 임종 환자의 증상을 관리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며, 환자와 가족의 의사소통을 돕습니다. 또한 임종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족들의 애도 과정을 지지합니다. 임종간호는 환자와 가족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삶의 마지막 순간을 의미 있게 보내도록 돕는 것입니다
[신규간호사를 위한 상황별 환자 간호]격리간호, 응급간호, 임종간호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4
-
간호관리학- 협력과 조정이 필요한 갈등상황 제시 및 분석 + 해결방안1.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간의 협력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간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 제시되었습니다. 간호사는 검사 결과를 통해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간호 목표 및 진단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임상병리사는 검사물 분석 및 실험, 질병 유무 및 원인 파악 등의 역할을 합니다. 효율적인 협력은 환자 안전을 위해 필요하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2025.05.0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소아병동 간호사 72시간 다큐멘터리 사례분석 보고서1. 신규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 신규 간호사가 담당 환자에 대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처방이 변경된 이유를 물어보지 않고 그냥 적혀있는 대로만 하고 있었다. 이 상황에서 신규 간호사로서 해야 할 역할은 처방이 달라진 이유를 먼저 이해하고, 그에 따른 환자 상황을 파악하여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혼자 이해가 되지 않으면 선배 간호사...2025.01.14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실습 문제해결 및 간호현장사례1. 간호관리학실습 간호관리학실습 과제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례는 환자와의 비효과적인 의사소통으로 인한 문제 상황이었고, 두 번째 사례는 신규 간호사에 대한 선배 간호사의 괴롭힘과 과중한 업무로 인한 문제 상황이었습니다. 각 사례에 대해 문제 확인, 대안 도출, 대안 선택 및 실시, 결과 등의 문제해...2025.05.08 · 의학/약학
-
신규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과 간호전달체계1. 간호전달체계 의료기관들은 고객의 요구와 외부기관의 평가, 의료기관 간 경쟁 상황 속에서 병원경영의 효율화를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조직도 환자 중심 간호를 강조하며 간호전달체계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팀 간호방법과 기능적 분담방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팀 간호방법은 환자 중심의 총체적 간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2025.01.09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 의사결정 사례 및 해결방안1. 신규간호사 교육 및 관리 실습 중 신규간호사의 능숙하지 못한 업무 수행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상황을 다룸. 신규간호사에 대한 프리셉터 체계 부족, 수간호사와 기존 간호사들의 협력 부족 등이 문제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간호사 1명당 프리셉터 배정, 프리셉터 기간 연장, 수간호사의 관리 강화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2. 간호 인력...2025.01.12 · 의학/약학
-
내분비내과 병동 간호관리자 리더십 함양 사례 보고서1. 신규간호사의 돌발상황 대처 수간호사는 당뇨병성케톤산증(DKA)이 온 환자의 상태를 가장 먼저 파악하여 자신의 지식과 실무적 기술을 바탕으로 간호사에게 지시를 내려야 한다. 이는 수간호사 선생님의 지시로 인해 환자의 위급한 건강 상태를 다시 회복시키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그 후에 상황이 정리되면 인간 관계적 기술을 사용하여 당황했을 신규간호사를 격...2025.05.05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의 업무 적응을 위한 방안 4페이지
1. 신규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2018년 전체 신규간호사 21,629명 중 9,842명이 1년 이내에 병원을 떠나고 있어 신규간호사의 1년 이내 이직률은 45.5%에 이르고 있으며, 2017년 42.7%에 비해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 신규간호사의 70%가 이직 의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고, 프리셉터와의 관계도중요한 이직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인력 부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음- 인력 부족은 신규간호사의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기도 하며, 인력 부족으로 인한 프리셉터의 업무부담은 신규간호사에게도 영향...2023.06.19· 4페이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환자 인수인계 6페이지
■ 환자인수인계□ 환자 인수인계○ 간호사 교대근무가 시작되는 시점에 전 근 무자가 다음 근무자에게 근무조별로 직접 간호업무와 간접간호업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간호업무 활동으로(Hwang et al., 2001)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성, 연속성을 유지하고, 보장해주는 중요한 정보교환과정이다(Benson,Rippin-Sisler, Jabusch, & Keast, 2007)○ 환자의 상태, 수액, 투약, 검사, 협진, 처방, 기타에 대한 사항을 환자 의무기록을 함께 검토하며 인수인계한다.□ 인수인계 방법○ 인수인계 방법 녹음해서 인수인계...2023.07.13· 6페이지 -
신규간호사 이직 2페이지
신규간호사의 이직간호사라는 직업이 힘든 직종으로 신규간호사 중 누구는 버티지 못하고 이직하고 누구는 버텨서 계속 일을 한다. 규칙 중 이직에는 여러 요인이 있는데 인간관계가 좋으면 버티고 인간관계가 좋지 못하면 버티지 못하고 이직한다. 가설은 인간관계가 이직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했다. (독립 변인 : 인간관계, 종속 변인 : 이직률 )김영미, 김상남(2016)의 연구는 ‘불확실성’, ‘불안감’, ‘대인관계 어려움’, ‘절망감’ 등이 이직의 주요인이라고 제시하였다. 그 외에도 선임간호사의 갈굼, 타지생활의 괴로움등이 있었다....2022.02.20· 2페이지 -
신규간호사 이직문제와 현장적응을 위한 방안 29페이지
- 신규간호사 이직문제와 현장적응을 위한 방안 - 6 조- 목차 - 간호사 이직률 실태와 비정규직 실태 간호사 이직 관련 사례 해결방안 토의사례 1 국립대병원 , 사립대병원 , 지방의료원 , 민간중소병원 , 보훈 병원 , 근로복지공단병원 등 보건의료노조 소속 93 개 지부 (102 개 의료기관 ) 를 대상으로 의료현장 실태조사 결과 최대 45.45% 로 절반에 가까운 간호사가 퇴사했다 . 간호사 이직률 실태와 비정규직 실태사례 1 간호사 이직률 실태와 비정규직 실태사례 1 간호사 이직률 실태와 비정규직 실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2023.04.02· 29페이지 -
간호관리학- 신규간호사의 이직 현황 및 해결방안 제시 6페이지
REPORT중간고사 대체 과제강 의 명간호 관리학주 제신규 간호사의 이직 현황 및 해결방안이 름학 번제출기한교 수 명목차Ⅰ. 신규 간호사 이직 현황Ⅱ. 신규 간호사의 이직 원인Ⅲ. 조직의 신규 간호사 이직률 감소 방안(3가지)Ⅳ. 관리자로서 신규 간호사 이직률 감소 방안(3가지)Ⅴ. 느낀 점Ⅰ. 신규 간호사 이직 현황보건의료노조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 조합, 위원장 나순자가 35개 병원에 대해간호사 이직률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18년 한 해 동안 36개 병원의 전체 간호사 1만 6296명 중 이직한 간호사는 총 2535명으로 이직률은...2021.03.10·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