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A+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본 내용은
"
[CASE STUDY] A+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8
문서 내 토픽
  • 1.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대상자분은 3/23에 유방암 수술을 한 뒤 4/7, 4/9일 극심한 통증으로 ER을 통해 내원하여 4/11에 재수술을 하니 main wound 바로 아래쪽에 Rt. IH subcutaneous fat 주변으로 active bleeding 확인하여 suture 진행하였다. 그런데 수술 이후에도 Hb 수치가 계속 떨어지고 우측 겨드랑이-latissimus dorsi 라인 따라 멍들어 있는 양상이 확인되어 출혈의 위험을 첫 번째 간호진단으로 잡았다.
  •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대상자분은 입원한 후 입맛이 없어 1/3정도씩밖에 식사를 안 하고 계시고, 영양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 영양제 투여를 원하여 현재 투여중이다. 올바른 영양섭취는 회복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두 번째 간호진단으로 잡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수술부위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수술 후 출혈은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수술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회복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후 출혈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의료진은 수술 전 환자의 출혈 위험 요인을 면밀히 파악하고,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후 출혈 징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환자 또한 수술 후 상처 관리와 활동 제한 등 의료진의 지시를 잘 따라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부위 출혈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한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식욕부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영양불균형은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식욕부진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영양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식욕부진의 경우 심리적 치료와 함께 고단백질, 고칼로리 식단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스스로도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충분한 휴식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영양불균형을 해소하고 환자의 건강한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