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질 에칭실험의 이해
본 내용은
"
재료공학기초실험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질 에칭실험의 이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8
문서 내 토픽
-
1. 에칭에칭은 재료 표면에 콘트라스트를 주는 방법으로, 광학적 에칭, 전기화학적 에칭, 물리적 에칭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에칭은 시편을 양극으로 하고 상대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전위를 가해 표면을 에칭하는 방법이다. 에칭 후 미세조직과 결정 배향에 따라 두께 차이가 발생하여 간섭색으로 관찰할 수 있다.
-
2. 에칭 용액저탄소강의 경우 Nital 용액(질산 1~10ml + 에탄올 100ml)을 사용하며, 10~20초 동안 부식시킨다. Al 및 Al 합금의 경우 Kellers Etch 용액(증류수 190ml + 질산 5ml + 염산 3ml + 불산 2ml)을 사용하며, 10~20초 동안 부식시킨다.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의 경우 Kroll's reagent 용액(증류수 92ml + 질산 6ml + 불산 2ml)을 사용하며, 15초 동안 부식시킨다.
-
3. 에칭 결과 분석에칭 후 관찰 시 상에 따라 부식 정도가 다르므로 높낮이에 따른 색깔 구별이 가능하다. 더 많이 부식된 부분은 어둡게, 덜 부식된 부분은 밝게 나타난다. 사진에서 흰색 부분이 가장 부식이 적은 부분으로 전위가 가장 높고, 검정색 부분이 가장 많이 부식된 secondary phase 부분이다.
-
1. 에칭에칭은 금속 표면에 원하는 패턴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에칭 기술은 반도체, 전자 부품, 인쇄 회로 기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에칭 공정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 금속 표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원하는 패턴을 만들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에칭 용액의 조성, 온도, 시간 등 다양한 공정 변수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칭 기술의 발전은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고집적화에 크게 기여해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을 통해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인 에칭 공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에칭 용액에칭 용액은 에칭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칭 용액의 조성, 농도, pH 등은 에칭 속도와 선택성, 표면 거칠기 등 에칭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산 용액이나 알칼리 용액이 에칭 용액으로 사용되며, 금속 종류에 따라 적절한 에칭 용액이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에칭에는 불산 용액이, 구리 에칭에는 염화철 용액이 사용됩니다. 에칭 용액의 조성과 농도를 최적화하여 균일하고 정밀한 에칭 패턴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에칭 부산물 처리와 환경 영향 등 에칭 용액 관련 안전 및 환경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
3. 에칭 결과 분석에칭 결과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에칭 공정 개선과 품질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에칭 후 표면 형상, 에칭 깊이, 선폭, 거칠기 등 다양한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기법이 활용됩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원자힘현미경(AFM), 프로파일러 등을 통해 에칭 패턴의 형상과 치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X선 회절분석, 오제전자분광법 등을 통해 에칭 표면의 화학적 조성과 결정 구조 변화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에칭 공정 변수를 최적화하고 에칭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에칭 결과 분석은 에칭 기술 발전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석출경화 실험 보고서 15페이지
실험 보고서목 차1. 서론1) 실험 주제(알루미늄 합금의 석출, 경화)2) 실험 목적3) 이론적 배경(석출, 경화에 대해서)2. 실험 방법1) 용체화 처리&시효처리2) 마운팅3) 폴리싱4) 경도 측정5) 에칭6) 석출, 경화 관찰3. 실험 결과1) 경도 측정2) 석출, 경화 관찰4. 결론5. 고찰1. 서론(Introduction)- 실험 주제알루미늄, 구리계 2000계열 합금의 석출, 경화에 대해서 관찰- 실험 목적180℃로 용체화 처리를 한 알루미늄 구리계 2000계열 합금의 석출과 경화가 어떻게 일어나는 지 관찰하기 위해서 실험...2022.12.05· 15페이지 -
[신소재기초실험]Wafer Wet Etching on lab 17페이지
Wafer cutting과 cutting이 끝난 Wafer를 BOE를 이용한 Etching 및 확인, SI Wafer의 P/N type 판정신소재기초실험1제출일: 2016-04-22-목차-1. 실험의 목적2. 이론적 배경2.1) 실리콘의 구별과 초크랄스키 법2.2) 리소그래피- 리소그래피 방법2.3) EtchingP-TYPE과 N-TYPESeebeck effect실험 방법실험 결과와 고찰Wafer cutting리소그래피Etching 여부 확인P/N type 확인웨이퍼 도핑 방법실리콘 웨이퍼가 반듯하게 잘리는 이유참고 문헌/ 참고 자...2022.01.07· 17페이지 -
기계공학 제조공학실습 레포트 마운팅프레스, 금속현미경 6페이지
제조 공학 실습 레포트마운팅프레스/금속현미경실험일자: 2019.06.07.1. 실험 목적금속의 성질을 이해하고 원리를 기술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금속의 조직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성질의 상호관계를 알아야 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 금속 조직을 관찰하는데 관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현미경이다. 이 실험에서는 마운팅 프레스를 이용하여 크기가 작은 시편을 관찰에 용이하게 만들고 연마를 하여 관찰이 용이하게 한다. 그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금속의 조직을 관찰한다.2. 실험 이론2.1 재료의 조직 검사법모든 재료는 각각의 조직...2021.08.26· 6페이지 -
Calcite, Vaterite의 FE-SEM 기기를 이용한 분석 8페이지
실험 #4. Calcite, Vaterite의 FE-SEM 기기를 이용한 분석날짜: 2021년 04월 29일 목요일학번:성명:Abstract본 연구는 탄산 칼슘(CaCO3)의 다형체(polymorph) Calcite와 Vaterite를 합성하고, FE-SEM을 통해 관찰하여 결정 구조를 해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을 통해 FE-SEM의 원리를 이해하고 고체 시료의 분말-구조 규명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Background TheoryFE-SEM이란?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2021.11.25· 8페이지 -
Auger electron spectroscopy 9페이지
Auger electron spectroscopy1. 표면의 정의고체 재료의 어느 부분을 표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 첫째로 고체재료의 가장 바깥부분에 존재하는 원자층인 최외각층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외부의 다른 기체, 액체, 그리고 고체상태의 원자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계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재료의 절대적 표면일 것이다. 하지만 최외각 원자층의 구조나 화학적 활성도는 그 아래층에 위치한 원자들에 의해 상당히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표면은 최외각 원자층에서 그 아래 약 2~10원자층에 해당하...2020.06.17·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