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석차 1등] 정신건강간호학1 레포트_DSM-5의 개념과 진단범주(참고문헌 꼼꼼, 읽기 편하게 작성)
본 내용은
"
[A+, 석차 1등] 정신건강간호학1 레포트_DSM-5의 개념과 진단범주(참고문헌 꼼꼼, 읽기 편하게 작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7
문서 내 토픽
-
1. DSM-5의 개념과 진단범주DSM은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DSM) 책자이다. 이 책자의 목적은 다양한 정신장애를 지닌 정신질환자들의 진단과 분류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연구자간의 합의된 의사소통은 물론 치료와 경과 및 예후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DSM-5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5판으로 2013년 5월 28일이 공식적으로 출판되었다. DSM-5는 범주적 진단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차원적 평가를 도입한 혼합모델을 적용했고 환자의 주된 증상과 다양한 공병증상을 심각도 차원에서 평가하도록 되어있는 장애들이 다수 도입되었다. 또한 DSM-5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영향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
1. DSM-5의 개념과 진단범주DSM-5는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의 5번째 개정판으로, 정신장애의 진단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DSM-5는 이전 버전인 DSM-IV-TR에 비해 진단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고, 새로운 장애 범주를 추가하는 등 정신장애 진단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고자 노력했습니다. 특히 DSM-5는 정신장애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다차원적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신장애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DSM-5는 기존 진단 범주의 경계를 완화하고 스펙트럼 접근을 도입하여, 정신장애의 연속성과 차원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신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보다 유연하고 개인화된 접근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다만 DSM-5의 새로운 진단 기준과 범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으며, 문화적 편향성, 병리화 경향 등의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DSM-5의 활용에 있어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인식하고 균형 잡힌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