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과 일상생활 예시
본 내용은
"
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대해 간략히 쓰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20개 이상(각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당 5개 이상) 그리고 이를 역기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바꾸어 표현한 것을 제시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6
문서 내 토픽
  • 1. 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Gottman)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호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거나 긍정적 감정을 약화시키고 부정적 감정을 강화시키는 의사소통 유형을 역기능적 의사소통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관계를 파괴하는 위험신호로 작용하며, 한 번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도 이전의 많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효과를 일소해 버릴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 2. 비난
    비난은 상대방의 성격이 전반적으로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너 때문에 그때부터 내 삶이 힘들었어", "말도 안 되는 소리 좀 그만해라", "너는 항상 너 생각만 하고 마음대로 결정하고, 나의 감정은 안중에도 없지?", "돈을 엄청 아끼더니 꼴좋다" 등이 있습니다. 이를 역기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바꾸면 "우리가 함께 겪었던 어려움들은 우리를 성장하게 했어", "너가 어떤 감정인지 알겠어. 우리 이 문제에 대해서 잘 풀어 나가보자", "우리 모두 이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고 싶잖아. 어떻게 해야 할지 이야기를 해볼까?", "우리 모두 부족함 없이 살기 위해 노력했잖아.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지 이야기를 해볼까?"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3. 경멸
    경멸은 자신이 상대방보다 더 우위에 있음을 말로 표현하거나 비언어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기본적인 것도 몰라?", "너는 언제나 이렇게 하는구나", "이건 이렇게 하는 거야. 아무래도 내가 더 잘 알지 않겠어?", "너보다는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더 많아", "으엑, 이게 뭐야. 맛도 없는 음식에 재료나 낭비하지 말고 나보다 요리 못하면 그냥 집에 가만히 있어" 등이 있습니다. 이를 역기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바꾸면 "생소한 부분이라 좀 어렵지? 내가 설명해줄게", "괜찮아. 큰일 아니야. 이건 이렇게 하면 금방 해결돼", "너의 의견은 그렇구나? 그럼 우리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조금 더 이야기를 해볼까?", "우와~ 대단하다. 노력하더니 좋은 결과가 있네", "어머, 너무 감동이다. 잘 먹을게"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4. 방어
    방어는 상대방이 공격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려 시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뭐? 내가 이걸 왜 못해. 얼마나 잘하는지 봐라", "어쩌라고, 이건 내 잘못이 아니야", "니가 뭘 알아? 이건 내가 더 잘 알아", "아니 내가 버는 돈이 얼만데 이것도 못 써?" 등이 있습니다. 이를 역기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바꾸면 "내가 다칠까봐 그렇게 말하는 거야? 나 이런 걸로 다치고 그러지 않아. 내가 얼마나 잘하는지 한 번 볼래?", "이건 내가 실수했어. 미안해", "언성을 높인다고 해결되지는 않아. 우리 이 문제에 대해서 조금만 이성적으로 대화를 해볼까?", "상의도 없이 큰 돈을 지출해서 미안해. 스트레스를 받아서 홧김에 결제를 했어. 다음부터는 꼭 상의를 할게"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5. 담쌓기
    담쌓기는 듣는 이가 상호작용으로부터 아예 철회함으로써 반응을 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가 백화점에 쇼핑을 가자고 이야기하는데 반응을 하지 않거나, 친구들과 약속을 간다고 하는데 반응을 하지 않거나, 요즘 재미있는 드라마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반응을 하지 않거나, 편의점에 가서 먹고 싶은 것이 있냐고 물어보는데 반응을 하지 않거나, 가족과 주말에 여행을 가자고 하는데 반응하지 않는 등의 행동이 있습니다. 이를 역기능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바꾸면 "그럴까? 가서 점심으로 맛있는 것도 먹을까?", "그래? 약속장소가 어디야?? 조심해서 잘 다녀와~", "어머? 요즘 그 드라마가 그렇게 재밌어??", "나 초코과자 먹고 싶어. 가서 초코과자 하나만 사와줘. 고마워~", "그래~ 안 그래도 여행가자고 하려 했는데 우리 통했네~"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은 부부 관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난, 경멸, 방어, 담쌓기 등의 행동은 상대방과의 신뢰와 친밀감을 파괴하고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패턴은 부부 간 상호작용을 악화시키고 결국 관계 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부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을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 건설적인 대화 기술, 감정 조절 등이 중요할 것입니다.
  • 2. 비난
    비난은 부부 관계에서 가장 해로운 의사소통 유형 중 하나입니다. 상대방의 행동이나 성격을 공격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상대방을 방어적으로 만들고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비난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훼손하고 관계에 대한 불신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건강한 부부 관계를 위해서는 비난 대신 상대방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경멸
    경멸은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부부 관계에 매우 해롭습니다.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비하하는 경멸적인 태도는 상대방의 자존감을 크게 훼손할 수 있으며, 관계에 대한 신뢰와 친밀감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경멸은 부부 간 갈등을 증폭시키고 결국 관계 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부 간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태도로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공감하고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 4. 방어
    방어적인 태도는 부부 관계에서 상대방과의 건설적인 대화를 어렵게 만듭니다. 상대방의 비판이나 지적에 대해 자신을 정당화하거나 반박하는 것은 상대방을 더욱 방어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갈등을 증폭시키고 상호 이해와 신뢰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부부 관계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 5. 담쌓기
    담쌓기는 부부 관계에서 상대방과의 소통을 차단하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매우 위험한 의사소통 유형입니다. 상대방과의 대화를 회피하고 감정을 숨기는 것은 갈등을 해결하기 어렵게 만들며, 결국 부부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한 부부 관계를 위해서는 상대방과의 소통을 단절하지 않고 서로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