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case study_제왕절개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case study_제왕절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4
문서 내 토픽
  • 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cesarean section)는 산모의 복벽과 자궁벽의 절개를 통해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으로,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 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모체질병, 중증감염,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자궁수술의 경험, 태아질식 등이 있다. 제왕절개술의 유형으로는 고전적 제왕절개와 자궁하부 제왕절개가 있으며, 수술 전/후 간호로는 수술 동의서 받기, 수술 전 교육, 마취 방법에 따른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 등이 포함된다. 제왕절개 분만의 합병증으로는 과다출혈, 자궁 퇴축 부전, 방광/장의 손상, 감염 등이 있다.
  • 2. 부당 중량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거대아(macrosomia)
    부당 중량아란 재태기간에 대한 출생 체중이 90 백분위수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거대아는 재태기간에 관계없이 출생시 체중이 4 Kg 이상인 아기를 말한다. 부모나 가족의 체구가 큰 경우, 산모가 비만이거나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 과체중아의 발생 빈도가 높다. 출생 시 생길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분만 손상과 동반될 수 있는 선천성 기형이나 증후군 등이 있으며, 산모의 경우 자궁이 완증, 자궁 및 질의 열상 등으로 인해 출산 후 출혈이 심할 수 있다.
  • 3.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아두골반 불균형이란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에 진입할 때 양두정골면(biparietal plane)이 골반 입구를 통과하는데 아두와 골반과의 사이에 크기에 불균형이 생긴 것을 의미한다. 선천적으로 산모의 골반이 좁은 경우,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으로는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으로 잘 내려오지 못하며, 자연 분만 진행 시 회음부가 외상을 받을 수 있고 제대 탈출의 위험이 높다. 진단은 산모의 골반 형태와 크기, 골반의 산도,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태아와 산모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술로 분만하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제왕절개 분만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왕절개 분만은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신생아에게 더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왕절개 분만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되어야 합니다. 산모와 의사는 제왕절개 분만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제왕절개 분만 후 산모의 건강관리와 회복을 위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 2. 부당 중량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거대아(macrosomia)
    부당 중량아와 거대아는 산모와 신생아에게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산모의 경우 분만 중 출혈, 산도 손상, 제왕절개 분만 등의 위험이 높아지며, 신생아의 경우 출산 시 어려움, 저혈당, 호흡곤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적절한 체중 관리와 산전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부당 중량아와 거대아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분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3.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아두골반 불균형은 태아의 머리 크기와 산모의 골반 크기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분만 중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분만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두골반 불균형은 산모의 체형, 태아의 크기, 임신 기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전 관리 과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 분만 등의 대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