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 미터를 이용한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및 식초 시료의 분석
본 내용은
"
[분석화학실험]pH 미터를 이용한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및 식초 시료의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4
문서 내 토픽
-
1. pH 미터의 원리pH 미터는 유리 전극과 기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로부터 전위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pH를 구해내는 기구로, 수용액 내 수소 이온 활동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유리 전극의 경우 측정 대상인 용액 내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감응하고 수소 이온의 활동도에 따라 유리 전극의 전위가 바뀐다. 이 원리로 두 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통하여 pH를 구하게 된다.
-
2. pH 미터 사용 시 오차pH 미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는 산 오차, 알칼리 오차, 탈수, 낮은 이온 세기 용액에서의 오차, 액간 접촉 전위의 변화, 표준 완충 용액의 pH 오차 등이 있다.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측정 환경과 방법을 주의깊게 관리해야 한다.
-
3. KHP를 이용한 NaOH 표정KHP를 이용하여 0.1 M NaOH 용액의 농도를 표정하였다. KHP 0.3007 g을 증류수에 녹인 후 0.1 M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종말점을 찾았다. 이를 통해 NaOH 용액의 농도를 0.08902 M로 계산할 수 있었다.
-
4.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분석식초 시료를 희석하여 0.1 M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아세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초 1의 경우 13.37%, 식초 2의 경우 6.518%의 아세트산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이론값과 각각 0.96%, 0.28%의 오차를 보였다.
-
5. 미지 시료 중 KHP 함량 분석미지 시료 0.5003 g을 증류수에 녹인 후 0.1 M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KHP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지 시료 중 KHP 함량은 24.9%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론값 20%와 24.5%의 오차를 보였다.
-
1. pH 미터의 원리pH 미터는 수용액 내 수소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전위차 측정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pH 전극과 기준 전극으로 구성되며, 수용액에 담그면 전극 간 전위차가 발생합니다. 이 전위차는 수소 이온 농도에 비례하므로, 이를 측정하여 pH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H 미터는 정확성과 편의성이 높아 화학, 생물학, 환경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전극 관리, 보정, 온도 보정 등의 주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2. pH 미터 사용 시 오차pH 미터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전극 상태에 따른 오차입니다. 전극이 오염되거나 노후화되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둘째, 온도에 따른 오차입니다. pH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온도 보정이 필요합니다. 셋째, 시료 자체의 특성에 따른 오차입니다. 복잡한 매질, 이온 강도, 착화합물 형성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넷째,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른 오차입니다. 전극 관리, 보정, 측정 방법 등을 숙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오차 요인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정확한 pH 측정이 가능합니다.
-
3. KHP를 이용한 NaOH 표정KHP(Potassium Hydrogen Phthalate)는 강산-강염기 적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차 표준물질입니다. KHP를 이용하여 NaOH 용액의 농도를 표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KHP를 정확히 달아 물에 녹여 표준 용액을 만듭니다. 이 용액을 적정하여 NaOH 용액의 농도를 결정합니다. 이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하여 중화점을 확인합니다. KHP는 순도가 높고 안정적이어서 정확한 표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NaOH 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화학 실험에서 필수적인 정량 분석 기법입니다.
-
4. 식초 중 아세트산 함량 분석식초는 주로 아세트산(CH3COOH)을 함유하고 있는 식
-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및 식초시료의 분석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중화반응에 의거한 적정으로,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알지 못할 때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염기나 산의 표준 용액으로 중화 반응을 진행시켜서 농도를 밝혀낼 수 있다. 중화 적정 곡선은 중화시키는 물질과 중화되는 물질의 산 또는 염기의 세기에 따라서 달라지며, 지시약의 종류는 중화적정곡선의 형태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적정...2025.01.05 · 자연과학
-
산-염기 적정1. 산-염기 적정 이 실험에서는 식용 식초와 아스피린 알약에 포함된 산성 물질의 농도를 산-염기 적정 방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식초에는 약 5%의 아세트산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스피린 알약에는 acetylsalicyl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산성 물질들은 수산화나트륨 용액과의 산-염기 반응을 통해 정량 분석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2025.01.14 · 자연과학
-
다양성자산의 특성을 이용한 인산의 정량 결과1. 분석화학실험 이 자료는 분석화학실험 실험 4에 대한 결과 보고서입니다. 실험의 목적은 다양성자산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산을 정량하는 것입니다. 실험 과정과 결과, 그리고 고찰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다양성자산 다양성자산은 한 개의 분자에서 2개 이상의 수소 이온(H+)이 해리되는 산으로, 물에 녹아 하나씩 차례로 해리됩니다. 인산(H3PO4)...2025.05.09 · 자연과학
-
[분석화학실험] 산-염기 적정(지시약 사용) 결과 결과보고서 A+1. 산-염기 적정 이번 실험에서는 hydrochloric aicd(HCl)와 sodium hydroxide(NaOH) 용액을 만들어서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여 식초에 산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결정해보았다. 또한, Na2CO3와 NaHCO3 혼합물에 녹아있는 염기의 전체 당량수를 구하고 Na2CO3와 NaHCO3의 당량수를 각각 구...2025.01.20 · 자연과학
-
물리분석실험 titration 결과 레포트1. 강염기-약산 반응과 EDTA 적정 강염기인 NaOH를 이용해 다양성자산을 적정하고 적정곡선을 그린다. Gran plot을 이용하여 당량점을 정확히 구하고 이를 이용해 Ka의 값을 구한다. EDTA를 이용해서 금속이온을 역적정하는 과정을 통해 미지 금속이온용액의 농도를 확인한다. 2. NaOH 표준화 일차표준물질인 KHP 수용액을 이용하여 NaOH 용액...2025.04.29 · 자연과학
-
[A+ 레포트] 분석화학실험 3. Preparation & standardization of free carbonated 0.1 M NaOH1. NaOH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NaOH 표준용액을 조제하고 몰농도를 구하기 위해 지시약(phenolphthalein) 첨가 또는 pH meter 전극을 사용하여 1차 표준물질인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또는 2차 표준물질인 HCl 표준용액으로 표준화하는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NaOH는 조해성이 있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2025.01.18 · 자연과학
-
[일반화학실험] 산-염기 적정 예비보고서 7페이지
일반화학실험(2)실험 예비보고서산-염기 적정실험일시학과조학번이름담당교수*** 작성 시 유의사항 ***- 폰트크기: 11- 글꼴 : 맑은 고딕- 줄 간격 : 130실험목표━━━━━━━━━━━━━━━━━━━━━━━━━━━━━━━━━━━━━━━━이번 실험에서는 물질에 대한 정량분석의 한 예로서,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용 식초와 아스피린을 분석해 볼 것이다. 아세트산과 acetylsalicylic acid는 모두 산이므로 염기인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이들 산의 농도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이론━━━━━━...2021.09.28· 7페이지 -
일반화학실험 산염기 적정 결과레포트 9페이지
실험18산-염기 적정최종수정일2015년 8월 22일배경━━━━━━━━━━━━━━━━━━━━━━━━━━━━━━━━━━━━━━화학분석(chemical analysis)은 크게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정량분 석(quantitative analysis)으로 나눌 수 있다. 정성분석은 시료(sample)에 어떠한 성분 들이 들어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고, 정량분석은 시료에 들어 있는 특정한 성분의 양(quantity)을 결정하는 것이다. 정량분석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적정법(titrat...2020.12.11· 9페이지 -
분석화학실험 중화반응 중화적정-pH미터를 이용한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및 식초 시료 분석(건국대) 5페이지
1. Subject : 중화반응 - 중화적정2. Date : 15. 03. 313. Purpose : pH미터를 이용한 Potossium hydrogen phthalte 및 식초 시료의 분석4. Paiaciple : 식초와 포도주의 산외 총 함유량은 표준염기로 적정하여 쉽게 측정할 수 있다.비록 다른 산들이 존재하지만 식초의 주요 산성분은 아세트산이다.마찬가지로 다른 산이 존재하지만 포도주의 산 함류량은 티타르산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대부분의 식초는 약 4%(w/u)의 아세트산을 함유한다.포도주는 일반적으로 약 1%(w/u)의 타타...2017.04.30·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