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산염기 적정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12.11
- 최종 저작일
- 2020.09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목차
1. 배경
2. 기구 및 시약
3. 안전 및 유의사항
4. 실험
5. 실험 후 처리
6. 실험 데이터 및 처리
7. 실험 보고서
8. 고찰
9.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배경
화학분석(chemical analysis)은 크게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정량분 석(quantitative analysis)으로 나눌 수 있다. 정성분석은 시료(sample)에 어떠한 성분 들이 들어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고, 정량분석은 시료에 들어 있는 특정한 성분의 양(quantity)을 결정하는 것이다. 정량분석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로 적정법(titration method)이 있다. 적정(titration)은 반응에서 두 물질이 동등한 양[이를 당량(equivalent)이라 함]만큼 존재할 때까지, 이미 알고 있는 양의 한 물질을 가하여 또 다른 물질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만약 적정의 반응이 산(acid)과 염기(base) 사이의 반응이면, 이때의 적정은 산-염기 적정(acid-base titration)이라 하고, 산화제와 환원제 사이의 반응이면, 산화-환원 적정
(oxidation-reduction titration)이라 한다.
<중 략>
8. 고찰
Part I: 0.1 M NaOH 용액의 표준화 실험은 KHP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NaOH의 농도를 알아내었다. NaOH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서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NaOH 용액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용액을 이용한다. 표준용액은 순도가 높고 용액을 만들었을 시 무게 오차가 적어 예상한 농도와 거의 동일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KHP는 표준용액의 예이다.
KHP(aq) + NaOH(aq) → KNaP(aq) + H2O(l) 반응을 이용하여 NaOH의 농도를 구한다. 이렇게 해서 구한 NaOH의 농도는 식초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트산과 아스피린 알약에 포함된 아스피린의 농도를 알아내기 위해 필요하다.
참고 자료
광용어사전, 2011. 1. 15., 광용어 사전 편찬회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