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 토론 (개인정보보호)
본 내용은
"
생명윤리 토론 (개인정보보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7
문서 내 토픽
  • 1. 범죄 현장 샘플과 국가 주도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범죄 현장 샘플과 국가 주도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개인 건강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응할 수 있다. 범죄 해결을 위해 필요하다면 순순히 응하겠지만, 필요 이상의 개인정보를 요구한다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가와 개인의 안전을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사용 시 개인정보 열람 상황을 알 수 있고 불필요한 사용을 막을 수 있도록 국가의 철저한 보안이 필요하다.
  • 2.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정보 공개
    코로나19 확진자의 이동경로와 감염경로 공개에 대해 찬성한다. 시민들이 이를 알고 있어야 위험을 피할 수 있고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개인정보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확진자의 이름, 나이 등은 공개하지 않고 동선과 장소만 공개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의적으로 감염을 전파시킨 사람들은 밝혀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범죄 현장 샘플과 국가 주도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범죄 예방과 수사를 위해 국가 주도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개인의 동의 절차,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한, 오남용 방지 등 다양한 보안 및 윤리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감독 체계가 필요할 것입니다. 범죄 예방과 수사를 위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개인정보 보호와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입니다.
  • 2.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정보 공개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 정보 공개는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선 정보 공개 시 개인의 동의 절차, 정보 공개 범위와 방식, 정보 보안 및 접근 제한 등 다양한 보안 및 윤리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정보 공개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감독 체계가 필요할 것입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