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
본 내용은
"
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전류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컬렉터 전류값이 β값에 의존성이 크고 베이스 저항으로 값이 정해지므로 보통 스위칭 회로로써 사용됩니다.
  • 2.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에 이미터 저항을 추가하여 안정도를 높인 회로입니다. 컬렉터 전류값에 이미터저항의 값이 크면 클수록 β값을 무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3.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컬렉터의 전류값이 컬렉터 저항에 의존성이 크므로 β값에 대한 영향이 적어 동작점이 안정됩니다.
  • 4. 전압분배기 바이어스 회로
    전압분배기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전압(VB)에 전압 분배로써 인가하면서 R1,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베이스에서 바라본 입력저항이 상당히 커야 베이스 전압이 알맞은 값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컬렉터 전류는 이미터 전류의 값과 유사하게 나오고 β값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직접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간단한 구조와 안정적인 동작 특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베이스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입력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나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와 같은 다른 바이어스 회로가 사용됩니다.
  • 2.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에 비해 입력 신호 왜곡이 적고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베이스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여전히 입력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와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에 비해 입력 신호 왜곡이 적고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낮은 전력 소모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컬렉터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여전히 입력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4. 전압분배기 바이어스 회로
    전압분배기 바이어스 회로는 두 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이미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 컬렉터 귀환 바이어스 회로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지만, 입력 신호 왜곡이 적고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저항 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저항 값 오차로 인한 바이어스 전압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