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모성간호학 간호과정(제왕절개, 통증, 감염의 위험)
본 내용은
"
A+모성간호학 간호과정(제왕절개, 통증, 감염의 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1
문서 내 토픽
-
1. 급성 통증 : 하복부(절개 부위)대상자는 퇴원 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1.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NPIS 점수를 3점 이하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24시간 동안 정상 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1)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대해 사정하고, 수술 부위에 열감, 발적, 팽만, 출혈 등의 특이사항이 있는지 관찰한다. 2) 대상자의 NPIS 통증 점수, 호흡수, 혈압과 맥박 등을 4시간마다 사정할 수 있도록 한다. 3) 처방에 알맞게 5 Right를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고, 그에 따른 약물부작용과 효과를 평가한다. 4) 대상자에게 심호흡, 기침, 이완 운동 등과 같은 비약물적 요법을 설명하고, 복대를 복부 절개 부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
2. 복합적 요인(절개 부위, 유치도뇨관, 침습적 처치)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발적, 부종, 발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1.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침습적 처치, 절개 부위, 유치도뇨관을 적용한 곳에 감염의 징후(부종 및 발적)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침습적 처치, 절개 부위, 유치도뇨관을 적용한 곳에 발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1) 대상자의 체온, 호흡수, 혈압과 맥박 등을 4시간마다 사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처방에 알맞게 5 Right를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고, 그에 따른 약물부작용과 효과를 평가한다. 3) WBC, Neutrophil, Lympho 및 Squamous epi. cell, Bacteria, Mucus 등의 수치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4)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3. 불충분한 신생아 돌봄 정보와 관련된 지식 부족대상자는 퇴원 시 신생아 돌봄과 모유 수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음을 표현할 수 있다. 1. 대상자는 설명 후, 모유 수유의 장점을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2. 대상자는 설명 후, 모유 수유에 도움이 되는 음식과 피해야 하는 음식을 각각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3. 대상자는 설명 후, 필요한 예방접종이 무엇인지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1. 배우자와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동기 및 의지의 정도를 판단한다. 2. 모유 수유를 했을 때, 모체와 아이에게 생길 수 있는 장점을 중심으로 교육한다. 3. 제작한 팜플렛을 이용해서, 모유 수유 시, 권장되는 음식과 그와 반대로 피해야 하는 음식 등에 대해 설명하고, 모유 수유 시, 활용할 수 있는 자세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신생아에게 필요한 예방접종의 종류가 무엇이 있는지, 그것을 언제까지 실시해야 하는지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수유 후, 트림시킬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 교육을 시행한다.
-
1. 급성 통증 : 하복부(절개 부위)수술 후 급성 통증은 환자의 회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입니다. 하복부 절개 부위의 통증은 환자의 움직임과 활동을 제한하여 조기 회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 통증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진통제 투여, 물리치료, 심리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수술 전 환자 교육을 통해 통증 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수술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신속한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복합적 요인(절개 부위, 유치도뇨관, 침습적 처치)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수술 후 감염은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절개 부위, 유치도뇨관, 침습적 처치 등 다양한 요인이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저한 감염 관리 프로토콜 수립과 이행, 의료진의 감염 예방 교육,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감염 징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불충분한 신생아 돌봄 정보와 관련된 지식 부족신생아 돌봄에 대한 정보 부족은 부모들의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높일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건강과 발달을 위해서는 적절한 돌봄이 필수적이므로, 의료진은 부모들에게 신생아 돌봄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들의 지식과 자신감을 높이고,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내 육아 지원 서비스와 정보 제공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모성간호학실습케이스 간호과정A+]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7페이지
1)간호진단/간호문제 기록지 (입원 시부터 기록)간호진단번호간호진단발생날짜해결 날짜#1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10/1510/16#2수술과 관련된 출혈위험성10/1510/16#3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10/1510/172)간호과정 기록지#1.진단명: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일시10/15HOD+1사정(A)주관적 자료“배가 아파요”“조금만 움직여도 아파요”“이거 누르면 진통제 들어가는 거 맞아요? 눌러도 아픈 거 같아요.”객관적 자료c/sec함(4:30pm)수술 후 통증 사정 시 NRS 척도 6점 (부위: 아랫배 수술부위,...2022.04.19· 7페이지 -
(A+) c/sec 제왕절개 모성간호학 CASE STUDY 간호과정 3개(지식부족,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16페이지
#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문헌고찰: 복부를 통해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분만 방법1) 적응증① 모체측 요인 : 아두골반불균형, 과거 C/S 경험, 자궁 기능 부전, 산도 폐쇄, 모체 질병(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자궁경부암), 35세 이상의 초산부② 태아측 요인 : 태아 질식, 둔위, 다태아,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2) 자궁 절개 유형① 전통적 절개 : 복벽과 자궁을 수직으로 절개한다. 다음 임신 때 흉터 파열과 소장 유착의 위험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② 하부 절개 : 횡절개가 선호되는데....2023.02.03· 16페이지 -
모성간호학 case (제왕절개, 아두골반불균형), [자료수집, 유도분만과정, 산모간호, 신생아 상태 포함, 간호진단 3개(급성통증, 불안, 감염위험성)], A+ 18페이지
Ⅰ. 간호정보조사지1) 일반 정보이름: OOO 나이: 39체중: 임신전 62 kg / 현재 77.2kg 키: 158cm직업: - 교육: - 종교: - 생활정도: 중결혼 기간: 8년 가족 형태: 배우자와 함께 생활 중 가2) 입원 관련 정보입원일: 2023/00/00 입원 경로: 분만실 입원 방법: stretcher car입원동기: 자궁 내 임신 40+2 wks된 primi 산모로, 유도분만을 위해 분만실로 입원함. 입원 진단명: [분만실] 자연두정태위 분만 (유도분만) [병동]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술입원 시 활력징후: 혈압 116...2023.12.18· 18페이지 -
모성간호학실습 제왕절개 케이스_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급성통증, 변비, 감염위험성) 20페이지
모성간호학실습제왕절개분만(C-sec)실습장소제 출 일담당교수학 번성 명제왕절개분만 건강사정? 일반적 산과적 사항이름: 김 0 0 나이: 35 직업: - 교육: -LMP: - EDC: 2023.11.26 임신주수: 39주 1일산과력: G3 P0 A1 L(M1 F0) 이슬(show): 유( ) 무( ? )양막 파막(MR): 유(?) 무( ) 파막시간: 2023.11.17양수색깔: 무색 양수냄새: 무취? 입원시 상태체온: 37.0°C 맥박: 84회/분 호흡: 18회/분 혈압: 120/70mmHg체중: 임신전: - 임신말기: 78.5kg ...2025.04.03· 20페이지 -
모성간호학 제왕절개 c/sec case study 간호과정 (급성통증, 비효과적 모유수유 2개) 12페이지
모성간호학case study- CPD C/sec -실습지실습기간학번/이름Ⅰ간호사정1. 일반적 특성대상자정**나이29y진단명 / 수술명CPD / CPD C/sec? 입원동기 : CPD C/sec 위해 입원? 입원경로 : 외래통해 내원? 입원 방법 : 도보 (+자차)? 주 보호자 : 남편? 결혼기간 : 2021년 결혼, 결혼 1년차? 현재 자녀 수 : 0명 (초산부)? 체중 : 임신전) 80kg -> 현재 100kg / 신장 : 171cm -> 임신 후 20kg 증가 (BMI 27.5)? V/S : 혈압 125/77mmHg, 맥박 76...2025.04.27·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