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패혈증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실습 일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6
문서 내 토픽
  • 1. 조기 패혈증(Early-onset sepsis, EOS)
    생후 7일 이내 대부분 3일 이내 발생한 신생아 패혈증으로, GBS, E.coli, viridans streptococol, Enterococous 및 다양한 Enterobacteraceae (Kebsela Haemophilus spp.), Listeria monocytogenes, 기타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다. 무증상 세균혈증, 패혈증, 폐렴, 뇌수막염 등으로 나타나며, 생후 수시간 내에 증상이 뚜렷해지고, 24시간에 90%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호흡기 증상인 경미한 빈호흡, 신음, 산소투여 필요, 호흡부전과 같은 증상이 가장 흔하며, 지속성폐고혈압이 패혈증과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다. 비특이적인 증상으로는 보챔, 기면, 온도 불안정, 관류장애,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자반증이나 점상출혈을 동반하는 파종혈관내응고가 심한 패혈성 쇼크에 동반될 수 있고, 소화계 증상으로 잘 먹지 못하고 구토, 장폐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뇌수막염으로 인해 경련, 무호흡, 감각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 2. 후기 패혈증(Late-onset sepsis, LOS)
    생후 7~ 90일 사이에 발생한 패혈증으로 건강한 만삭아에서 발생하거나 NICU미숙아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B군 사슬알균은 조기 패혈증보다 뇌막염이 더 잘 발생하며, 사망률은 조기 패혈증보다 낮지만 뇌막염으로 인한 청력소실, 전반적 뇌손상까지 심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그람음성균은 1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발생한 요로감염의 30%는 균혈증을 일으키지만 사망률이 낮고, 후유증도 낮다. Listeria monocytogenes는 흔하게 뇌막염을 동반하지만 빠르게 치료한다면 이환율, 장기 후유증은 드물다. 초기 발열, 수유 불내성, 기면 등이 발생하며, CBC, 요검사, CSF를 통해 진단하고 경험적 항생제 정맥주사로 치료한다. 미숙아의 후기 패혈증은 장관영양의 지연, 정맥영양의 지속, 기계환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3. 감염예방
    엄격한 손위생을 실시하고, 내성균 집락 환자를 식별하여 코호트 격리한다. 적절한 간호인력이 배치되어야 감염률 또한 낮아지며,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항생제 내성균주가 집락된 환자의 비율을 줄일 수 있다. 극소저체중출생아에게 조기장관영양을 시키면 정맥영양과 중심정맥도관의 사용이 감소하기에 후기패혈증의 빈도가 감소한다. NICU에 전신패혈증이 퍼질 경우 근무자와 환자의 손과 코털, 의료기기, 환경을 배양검사를 실시하여 집락성에 대해 감시해야하며, 손씻기를 더욱 강조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기 패혈증(Early-onset sepsis, EOS)
    조기 패혈증(EOS)은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심각한 감염 질환으로, 출생 후 72시간 이내에 발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EOS는 주로 산모의 감염, 조산, 조기 양막 파수 등의 위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생아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OS에 대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감염 징후가 있는 경우 신속하게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 차원에서 산모의 감염 관리와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감염 관리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EOS로 인한 신생아 사망률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2. 후기 패혈증(Late-onset sepsis, LOS)
    후기 패혈증(LOS)은 신생아 중환자실(NICU)에 입원 중인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감염 질환으로, 출생 후 72시간 이후에 발병합니다. LOS는 주로 의료 관련 감염, 중심정맥관 감염,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생아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LOS에 대한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NICU 내 감염 관리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중심정맥관 관리와 손 위생 등 기본적인 감염 예방 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초기 감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LOS로 인한 신생아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낮출 수 있을 것입니다.
  • 3. 감염예방
    감염 예방은 신생아 집중 치료실(NICU)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NICU 내에서는 다양한 감염 경로와 위험 요인이 존재하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감염 관리 노력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손 위생, 개인보호장비 착용, 의료기기 관리 등 기본적인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NICU 환경 관리, 의료진 교육, 감염 감시 체계 구축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신생아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보다 강화된 감염 예방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NICU 내 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고, 신생아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