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체계 국외사례 - NHI와 NHS 비교
본 내용은
"
(지역사회간호A+) 보건의료체계 국외사례 - NHI와 NHS 비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3
문서 내 토픽
  • 1. 영국의 건강보장체계
    영국은 사회보장제도에 있어 유럽대륙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전반적으로 유럽대륙은 비스마르크 모델이지만 영국은 '베버리지 모델'을 기반으로 더욱 보편적 성격의 보호를 제공한다. 베버리지 모델은 해당 나라에 거주하면 수급자격이 주어지며 급여수준과 소득과 상관없이 정률로 결정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에 따라 재원은 일반조세에 의해 구성된다. 영국 사회보장제도는 국가보건 의료서비스(NHS), 사회보장급여, 사회서비스의 3가지 축으로 이루어진다.
  • 2.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영국의 보건의료체계는 NHS(National Health Service, 국민건강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NHS는 세금에 의해 무상공공의료서비스로 운영되며, 통상적 거주자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NHS에 가입한 모든 사람들은 개인 주치의가 생기며, GP에게 무상으로 진료받을 수 있다. NHS는 1차 의료공급자, 2차 의료공급자, 응급 의료공급자, 정신 의료공급자, 지역 의료공급자로 구분된다. 영국의 공공부조제도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도 NHS와 연계되어 운영된다.
  • 3. 일본의 보건의료체계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사회보험방식(National Health Insurance, NHI)을 채택하고 있다. 의료전달체계는 1차, 2차, 3차 진료기관으로 구성된다. 건강보험제도는 직장보험과 지역보험으로 구분되며, 보험급여율은 70%이다. 노인보건제도와 장기요양보험제도도 운영되고 있다. 일본 NHI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건강불평등, 의료비 증가, 도덕적 해이, 역선택 등이 지적되고 있다.
  • 4. NHS와 NHI 비교
    NHS와 NHI는 각각 국민보건서비스방식과 사회보험방식을 대표하는 제도이다. NHS는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반면, NHI는 보험자 중심의 자율운영 방식이다. 재원 조달 방식도 다르며, NHS는 조세 기반, NHI는 보험료 기반이다. 의료기관 중심도 NHS는 공공의료기관, NHI는 민간의료기관이 중심이다. 전반적으로 NHS는 의료비 통제 효과가 크지만 의료의 질 저하 우려가 있고, NHI는 의료의 질은 높지만 의료비 억제가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영국의 건강보장체계
    영국의 건강보장체계는 국가건강서비스(NHS)로 알려져 있으며, 국민 모두에게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편적 의료보장 체계입니다. NHS는 1948년에 설립되었으며, 정부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국 국민들은 경제적 능력과 관계없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NHS 예산 부족, 긴 대기시간, 의료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영국의 건강보장체계는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지속가능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영국의 보건의료체계는 국가건강서비스(NHS)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NHS는 정부 예산으로 운영되며, 국민 누구나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영국은 보편적 의료보장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NHS 예산 부족, 긴 대기시간, 의료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NHS 개혁을 통한 효율성 제고와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영국은 민간 의료보험 시장도 발달해 있어, 국민들이 선택적으로 민간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영국의 보건의료체계는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일본의 보건의료체계
    일본의 보건의료체계는 국민건강보험(NHI)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NHI는 직장 건강보험과 지역 건강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 모두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일본은 보편적 의료보장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민간 의료보험 시장도 발달해 있어, 국민들이 선택적으로 민간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보건의료체계는 높은 의료 접근성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의 건강권 보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 의료인력 부족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NHS와 NHI 비교
    영국의 국가건강서비스(NHS)와 일본의 국민건강보험(NHI)은 모두 보편적 의료보장을 실현하고 있는 대표적인 공적 의료보장 체계입니다. NHS는 정부 예산으로 운영되는 단일 보험자 체계이며, 국민 누구나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NHI는 직장 건강보험과 지역 건강보험으로 구성된 다보험자 체계이며, 국민 모두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두 체계 모두 높은 의료 접근성과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최근 NHS는 예산 부족, 긴 대기시간, 의료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반면 NHI는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 의료인력 부족 등의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체계는 보편적 의료보장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운영 방식과 직면한 과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향후 두 체계 모두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