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심리학] 미신행동에 대한 행동주의심리학자 skinner의 미신실험에 대해 설명하고 미신행동의 사례를 소개하시오
본 내용은
"
[학습심리학] 미신행동에 대한 행동주의심리학자 skinner의 미신실험에 대해 설명하고 미신행동의 사례를 소개하시오. 또한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의 미신행동에 대해 탐색하고 기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5
문서 내 토픽
  • 1. Skinner의 미신실험
    행동 심리학자 스키너(Skinner)가 비둘기를 활용해 진행한 미신실험(superstition experiment)(1948)은 우연적 강화의 힘을 보여준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스키너는 비둘기를 실험 상자에 넣고 비둘기가 어떤 행동을 하든 상관없이 15초마다 먹이를 공급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8마리의 비둘기 중 6마리가 다음 먹이가 제시되기까지 먹이가 주어지기 직전에 했던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무작위로 강화를 주었을 때 직전에 수행한 행동이 무엇이든 그 행동이 강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 행동이 증가되는 것을 미신적 행동이라고 부르고, 스키너는 사람들의 미신행동 역시 비둘기가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발달된다는 것을 제안했다.
  • 2. 미신행동의 사례
    일반적으로 미신행동은 개인이 사건의 발생이나 결과를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흔히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미신행동들은 징크스라 불리며 구전되는데 대표적이며 일반적인 사례가 스포츠 경기에서의 미신행동이다. 잉글랜드 대표팀의 델레 알리 선수는 11세부터 사용해 온 무릎보호대를 10년이 넘도록 사용해오고 있으며, 전 국가대표 안정환 선수는 경기 전에는 머리를 감지 않는 것은 물론 수염, 손톱도 정리하지 않았다고 한다. 징크스는 비단 개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4년마다 열리는 월드컵은 개최될 때마다 기존 징크스를 깨기도, 새로운 징크스를 만들기도 한다.
  • 3. 나, 주변 사람들에게 볼 수 있는 미신행동
    나의 경우 옷차림으로 미신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중요한 날에는 특정한 옷을 입음으로써 좋은 결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 역시 과거에 겪은 우연히 얻은 보상 경험으로 형성된 미신행동이며 항상 원하는 결과를 얻었던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날에는 항상 같은 옷을 입게 되면서 행동이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라 생각한다. 나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도 이러한 미신행동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한 친구는 시험을 치르는 날에는 꼭 특정 브랜드의 초콜릿을 먹어야 하며, 요일별로 입는 속옷이 정해져 있는 사람도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Skinner의 미신실험
    Skinner의 미신실험은 동물행동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실험에서 Skinner는 비행기 새들이 특정 행동을 반복하면 먹이를 받는다고 믿게 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신적 행동과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시험 전 특정 행동을 반복하거나 행운의 물건을 가지고 다니는 등의 행동이 그렇습니다. 이러한 미신적 행동은 우리가 특정 행동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잘못 인식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Skinner의 실험은 이러한 미신적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 2. 미신행동의 사례
    미신행동의 사례는 매우 다양합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시험 전 특정 행동을 반복하거나, 행운의 물건을 가지고 다니는 것, 점성술이나 타로카드 등을 통해 미래를 점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우리가 특정 행동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잘못 인식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시험 전 특정 행동을 반복하면 시험 결과가 좋을 것이라고 믿는 것은 그 두 가지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믿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미신적 행동은 우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나, 주변 사람들에게 볼 수 있는 미신행동
    나와 주변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미신행동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먼저 나 자신의 경우, 시험 전 특정 행운의 물건을 가지고 다니거나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시험 결과와 그러한 행동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믿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주변 사람들 중에는 점성술이나 타로카드 등을 통해 미래를 점치려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역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믿음이 과학적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믿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미신적 행동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