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환자실습 케이스스터디 심정지 환자 Cardiac Arrest case study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본 내용은
"
중환자실습 케이스스터디 심정지 환자 Cardiac Arrest case study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6
문서 내 토픽
-
1. 저산소성 뇌손상저산소성 뇌손상은 혈중 산소량이 적고 혈류의 감소나 중단으로 인해 뇌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입는 것을 말한다. 대상자는 차량 단독 TA로 arrest 상태로 CPR을 하며 내원하였으며 Traumatic shock 진단을 받고 hypoxic brain injury 진단을 받았다. 대상자의 GCS는 E(1), V(E1), M(1)이며 의식상태는 coma상태이고, EEG 검사를 통해 Brain death 판정을 받았다.
-
2.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내적 또는 외적인 여러 이유로 뇌의 신경조직에 이상이 생겨 행동 또는 기능상에 이상이 오는 상태를 말한다. 대상자는 차량 단독 TA로 인해 cardiac arrest가 발생했으며 그로 인해 EEG상 Brain death 판정을 받았다.
-
3. 비효과적 기도청결대상자는 E-tube insertion, ventilator A/C mode 적용중이며 suction 시 small amount white color&pink color 객담이 배출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기도청결이 비효과적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
4.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대상자는 Rt flank scratch wound, facial·abdomen·Lt hip burn wound, Lt knee abrasion 등 전신으로 abrasion 및 burn site가 관찰되어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또한 골격근이완제와 진정제 사용으로 인한 부동 상태도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요인이 된다.
-
5. 자기돌봄결핍대상자는 의식상태가 coma이고 GCS가 E(1), V(E1), M(1)로 매우 저하된 상태이며, 골격근이완제와 진정제 사용으로 인해 부동 상태이다. 이로 인해 목욕, 옷 입기, 음식 섭취, 용변 등의 자기돌봄이 결핍된 상태이다.
-
6. 비효과적 체온조절대상자는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으로 인해 체온이 저체온과 고체온으로 변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체온 관리를 위해 TTM(Target Temperature Management) normothermia(36.0) 적용중이며, 체온이 낮을 때는 warmer, 높을 때는 ice bag을 적용하고 있다.
-
7.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대상자는 Traumatic shock 진단을 받았으며 ROSC가 2회 있었다. TTM(Target Temperature Management) normothermia(36.0) 적용중이며 IPC 적용중이지만 의식상태가 coma이고 GCS가 E(1), V(E1), M(1)로 매우 저하된 상태여서 말초조직 관류가 비효과적일 수 있다.
-
8. 감염의 위험대상자는 Rt flank scratch wound, facial·abdomen·Lt hip burn wound, Lt knee abrasion 등 전신으로 abrasion 및 burn site가 관찰되어 감염의 위험이 있다. 항생제(ceftriaxone, fullgram) 사용 중이며 상처부위 dressing 적용중이다.
-
9. 출혈의 위험대상자는 Rt flank scratch wound, facial·abdomen·Lt hip burn wound, Lt knee abrasion 등 전신으로 abrasion 및 burn site가 관찰되며, 혈액응고검사 결과 PT(sec)15.9▲, PT(INR)1.36▲, aPTT37.0▲로 지연되어 출혈의 위험이 있다. PRC 400ml 2U, FFP 400ml 4U가 T/F되었다.
-
10. 각막 손상의 위험대상자는 진단명이 Traumatic shock ; hypoxic brain injury이며 facial burn wound 있고 edema로 인해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아 각막 손상의 위험이 있다. 안연고(tarivid)가 적용중이다.
-
1. 저산소성 뇌손상저산소성 뇌손상은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입니다. 이는 호흡 부전, 심장 마비, 익수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산소성 뇌손상 환자는 의식 저하, 운동 기능 장애, 인지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신속한 응급 처치와 집중 치료가 필요하며,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안전한 생활 환경 조성과 응급 상황 대처 능력 향상이 중요합니다.
-
2.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은 교통사고, 낙상, 폭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개골 골절, 뇌출혈, 뇌부종 등의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의식 저하, 운동 기능 장애, 인지 기능 저하, 감각 장애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신속한 응급 처치와 수술적 치료, 집중 치료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재활 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안전한 생활 환경 조성과 사고 예방 교육이 중요합니다.
-
3. 비효과적 기도청결비효과적 기도청결은 환자의 기도 내 분비물 제거가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호흡 곤란, 무기폐, 폐렴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도청결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객담 배출이 어려워지고 호흡기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도 흡인, 체위 변경, 호흡 운동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기저 질환, 의식 수준, 기도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
4.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은 피부 손상, 욕창, 피부 감염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활동 제한, 영양 불량, 습기, 압박 등의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피부통합성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사정, 압박 부위 관리, 영양 공급, 활동 증진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개별화된 피부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5. 자기돌봄결핍자기돌봄결핍은 환자가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질병, 장애, 노령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기돌봄결핍 환자는 개인위생, 식사, 배설, 이동 등의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에 의존적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능력과 요구를 사정하여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 및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의 자립성을 증진시키고, 자기돌봄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6. 비효과적 체온조절비효과적 체온조절은 체온 조절 기전의 문제로 발생하는 것으로, 고체온 또는 저체온 상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염, 약물 부작용, 신경학적 손상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효과적 체온조절 환자는 발열, 오한, 피부 온도 변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온 모니터링, 체온 조절 중재, 원인 질환 관리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체온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7.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는 말초 혈관의 문제로 인해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저혈압, 심부전, 혈관 질환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 환자는 피부 색 변화, 냉감,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압 및 혈액 순환 모니터링, 체위 변경, 온열 요법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원인 질환 관리와 함께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중요합니다.
-
8. 감염의 위험감염의 위험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 발생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면역력 저하, 침습적 처치, 불량한 위생 상태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 위험 환자는 발열, 오한, 피부 발적, 농성 분비물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 관리, 적절한 항생제 사용, 면역력 증진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예방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9. 출혈의 위험출혈의 위험은 혈액 손실로 인한 생명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외상, 응고 장애, 항응고제 사용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혈 위험 환자는 피부 및 점막의 출혈, 혈압 저하, 빈맥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혈 징후 모니터링, 지혈 처치, 혈액 검사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출혈 예방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10. 각막 손상의 위험각막 손상의 위험은 눈 표면의 상피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이는 안구 건조증, 안구 외상, 약물 부작용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막 손상 위험 환자는 눈 통증, 광과민성,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구 윤활, 안약 투여, 안대 착용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각막 관리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심정지 CASE STUDY 간호과정 2개(비효율적 호흡양상, 신체 기동성 장애)1. 심정지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갑자기 중단되어 효과적인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의식을 잃고 호흡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으로 약해진다. 재빠르게 응급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빠른 응급조치와 더불어 후유증이 남지 않을 빠른 상태 회복이 중요하다. ...2025.01.27 · 의학/약학
-
ICH 성인 케이스 스터디,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수행 5개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ICH(Cerebellar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에서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과 기타 뇌혈관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으로 전체 사망의 20.8%에 이르고, 심각한 장기적 장애(disability)를 유발하여 질병으로 인한 ...2025.04.26 · 의학/약학
-
난소난관절제술 케이스1. Benign neoplasm of ovary 난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크게 암에 해당하는 악성 종양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즉, 난소의 양성 종양이란 암이 아닌 형태의 종양을 의미하며 난소의 표면이나 난소 내 직경 2.5cm 이상의 액체를 함유한 1개 이상의 신생물이 10일 이상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난...2025.05.01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