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사례보고서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의 간호사정-
본 내용은
"
기본간호학 사례보고서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의 간호사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6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충수돌기염의 정의 및 원인
    충수염은 진료 현장에서 수술이 필요한 우하복부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그 중에서도 신속한 수술적 개복술을 요하는 질환이다. 매년 우리나라에서 10만명 이상이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는다. 급성 충수염의 임상 양상은 천공 여부에 따라 다르며, 기본적으로 충수 내부가 막히면서 시작한다. 충수가 막히게 되면 충수로부터 대장으로 향하는 정상적인 장의 연동운동이 제한되고, 고인 물이 썩듯이 저류가 일어난 상태에서 장내 세균이 증식하고 독성 물질을 분비하게 된다. 이 독성 물질들에 의해 충수 내부 점막은 궤양을 형성하게 되고, 이후 충수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 충수로 가는 동맥혈의 흐름이 저하되고 충수 벽이 괴사되어 천공으로 진행된다.
  • 2. 급성 충수돌기염의 원인
    폐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충수 주위의 임파 조직이 과다 증식 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다음으로 딱딱한 변이 충수로 흘러들어가서 입구를 막는 경우, 그 외에 이물질, 염증성 협착 등이 원인이 된다. 성인에서는 작은 대변 덩어리가 입구를 막아 염증이 생기기도 하며 드물게 이물질, 기생충, 종양으로 인해 충수가 막혀 급성 충수염이 되는 경우도 있다. 급성 충수염은 10~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하며, 20대 초반에 가장 흔하다. 10세 이전이나 50세 이후의 충수염 환자는 전체 충수염 환자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 발현 후에 12~18시간 안에 의료 기관을 찾는다.
  • 3. 간호과정 적용 사례
    52세 김아무개씨는 2일 전 식당에서 친구들과 함께 저녁 8시에 밥을 먹은 후 새벽 2시 경 배가 아파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고막체온 38.1℃로 약간 높았고 심박동수는 90회/분으로 정상범위지만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호흡수는 20회/분이었다. 또한 우측 하복부에 반동압통이 있었으며, CT 검사 결과 급성 충수돌기염을 진단받았다. 이튿날 김씨는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는 수술 후 회복 중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 충수돌기염의 정의 및 원인
    급성 충수돌기염은 충수돌기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가장 흔한 외과적 응급 질환 중 하나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충수돌기 내강의 폐쇄, 세균 감염, 외상 등이 있습니다. 충수돌기 내강이 폐쇄되면 충수돌기 내압이 상승하고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점막 손상과 세균 침입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충수돌기 벽의 염증과 부종, 궤양,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수돌기 주변 조직으로 염증이 확산되어 복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충수돌기염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급성 충수돌기염의 원인
    급성 충수돌기염의 주요 원인은 충수돌기 내강의 폐쇄, 세균 감염, 외상 등입니다. 충수돌기 내강이 폐쇄되면 내압이 상승하고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점막 손상과 세균 침입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충수돌기 벽의 염증과 부종, 궤양,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수돌기 주변 조직으로 염증이 확산되어 복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균 감염의 경우 대장균, 연쇄구균, 클로스트리듐 등이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상의 경우 복부 외상이나 수술 후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충수돌기염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3. 간호과정 적용 사례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간호사는 환자의 주증상, 병력, 신체검진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을 진단합니다. 그 다음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을 수립하는데, 일반적으로 통증, 감염 위험, 활동 및 휴식 장애, 수술 후 회복 지연 등이 포함됩니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 관리, 감염 예방, 활동 증진, 수술 후 관리 등을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 과정, 치료 계획, 주의사항 등을 교육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습니다. 마지막으로 간호사는 환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간호계획을 수정 및 보완합니다. 이와 같이 간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