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재산학 디자인 보호법
본 내용은
"
지식재산학 디자인 보호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5
문서 내 토픽
-
1. 관련디자인 제도디자인권자 또는 디자인등록출원인은 자기의 등록디자인 또는 디자인등록출원한 디자인(이하 '기본디자인'이라 한다)과만 유사한 디자인(이하 '관련디자인'이라 한다)에 대하여는 그 기본디자인의 디자인등록출원일부터 1년 이내에 디자인등록출원된 경우에 한하여 관련디자인으로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등록 디자인의 보호 범위를 확대하고 침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
2. 비밀디자인 제도디자인등록출원인은 디자인권의 설정등록일부터 3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디자인을 비밀로 할 것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의 사업화 준비 기간 동안 제3자의 모방 및 침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밀 기간 동안 제3자의 침해 행위에 대해 권리 행사에 일정한 제한이 있습니다.
-
3. 출원 공개 제도디자인등록출원인은 자기의 디자인등록출원에 대한 공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출원 계속 중 디자인의 내용을 조기에 공개하여 침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보상금청구권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거절결정에 따른 출원공개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디자인에 관한 동일자 출원의 협의 불능 또는 협의 불성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4. 디자인 등록 표시 제도디자인권자, 전용실시권자 또는 통상실시권자는 등록디자인에 관한 물품 또는 그 물품의 용기나 포장 등에 디자인등록의 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3자에게 등록된 디자인임을 표시함으로써, 침해 의욕을 제거 또는 저하시켜 디자인권의 침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
1. 관련디자인 제도관련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보호 범위를 확대하여 디자인 권리를 강화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유사한 디자인에 대한 보호가 가능해지며, 디자인 권리자의 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방 행위를 방지하고, 디자인 혁신을 장려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련디자인 제도의 적용 범위와 기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비밀디자인 제도비밀디자인 제도는 출원인의 요청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디자인 정보를 비공개로 유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기술 및 디자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경쟁사의 모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제품 출시 전 디자인 정보를 비공개로 유지함으로써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비밀디자인 제도의 남용을 방지하고, 공공의 이익을 고려한 적절한 공개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출원 공개 제도출원 공개 제도는 디자인 출원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출원 내용을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고, 디자인 권리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원 공개를 통해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기술 및 디자인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출원인의 권리 보호와 공공의 이익 간 균형을 고려한 공개 시기 및 범위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디자인 등록 표시 제도디자인 등록 표시 제도는 등록된 디자인에 대한 표시를 의무화하여 디자인 권리를 공시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 권리자의 권리 행사를 용이하게 하고, 모방 행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에게 등록된 디자인 제품임을 알려 구매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표시 방법, 표시 위치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특허청 학점은행제 지식재산학 디자인보호법 과제 3페이지
특허청 지식재산학 디자인보호법 과제디자인은 모방이 매우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 모방행위를 막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두고 있는데, 관련 규정을 제시하여 이를 설명하시오.1. 부분디자인1) 규정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1. “디자인”이란 물품[물품의 부분(제42조는 제외한다) 및 글자체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형상ㆍ모양ㆍ색채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으로서 시각을 통하여 미감(美感)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2) 목적물품의 일부분은 독립되어 디자인으로 등록받을 수 없었으나...2021.12.06· 3페이지 -
특허청 학점은행제 지식재산학 디자인보호법 토론 2페이지
건축물의 외형 및 내부 인테리어의 경우 시각성과 심미성을 일으키지만, 물품성이 없어 디자인보호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디자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와 달리 공중전화박스, 이동판매대, 조립가옥 등과 같이 구체적인 유체동산은 독립성이 있는 물품으로 인정되어 디자인이 디자인보호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 즉, 물품성의 유무는 건축물의 외형 및 내부 인테리어가 디자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핵심적인 요건이 된다. 디자인이 물품성을 갖기 위해서는 디자인보호법의 고전적 해석을 바탕으로 독립성, 유체성, 동산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는데, 건...2021.12.06· 2페이지 -
특허청 학점은행제 지식재산학 특허법 과제 3페이지
특허청 지식재산학 특허법 과제동일한 발명에 대한 선출원과 후출원이 있는 경우, 선출원에 의해 후출원에 대해 적용 가능한 특허요건에 대해 설명하시오.1. 선출원주의1) 정의하나의 발명에 대해서 하나의 특허권을 부여한다는 1발명 1특허의 원칙(특허법 제45조)을 구현하고자,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2 이상의 특허출원이 경합하는 경우 먼저 특허출원을 한 사람에게 발명에 대한 특허권을 부여(특허법 제36조 제1항)하는 특허법상의 원칙을 선출원주의라고 한다. 이때, 특허출원된 발명과 실용신안등록 출원된 고안이 동일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2021.12.06· 3페이지 -
특허청 학점은행제 지식재산학 디자인경영과브랜드전략 과제 3페이지
특허청 지식재산학 디자인경영과브랜드전략 과제상표와 그 인접개념인 상호, 지리적표시를 비교하여 설명하세요.1. 상표1) 개념상표(brand, trade mark)란 개인, 단체, 법인에 의해 쓰이는 종류나 표시로서, 나의 상품을 타인의 상품과 구별하여 고객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상표법(제2조제1항제1호)에서는 ‘자기의 상품(지리적 표시가 사용되는 상품의 경우를 제외하고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관련된 물건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標章)을 말한다.’으로 정의한다. 이때 ...2021.12.06· 3페이지 -
A+ 상표와 그 인접개념인 상호, 지리적표시를 비교하여 설명하세요 3페이지
과목디자인경영과브랜드전략학기이름IDI. 서 론1. 상표의 개념1) 상표법상 상표의 개념은, 자기의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標章)을 말하며(제2조제1항제1호), 표장이란 ‘기호, 문자, 도형, 소리, 냄새, 입체적 형상, 홀로그램·동작 또는 색채 등으로서 그 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상관없이 상품의 출처(出處)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표시’를 말한다(제2조제1항제2호).상표법상의 상품에는 지리적 표시가 사용되는 상품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관련된 물건을 포함한다. 이는 2016...2020.01.05·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