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산소요법 종류와 간호중재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산소요법 종류와 간호중재 보고서,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8
문서 내 토픽
  • 1. 산소요법의 목적
    저산소증을 개선하여 생리적 이상 증상을 회복하기 위함이다. 호흡곤란이 있을 경우나 기관흡인 전후 마취 후, 심폐정지 시 적용한다. 증상으로 비익 호흡, 흉골 함몰, 무호흡, 청색증, 얼룩이 나타나며 차가움, 심잡음, 과도경직, 진전, 기면이 나타난다.
  • 2. 산소요법의 효과
    흡입 산소농도를 21%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폐포 내 산소 분압이 증가하므로 저산소혈증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저산소혈증이나 저산소증시 동맥혈 산소함량 감소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심박출량이 증가하는데, 폐포 내 산소분압이 증가하면 심박출량의 증가가 없어도 적절한 동맥혈 산소화를 유지할 수 있다.
  • 3. 산소요법의 주의사항
    공급하는 산소농도는 아동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산소를 투여하는데 위험이 있으므로 산소는 필요할 때만 투여해야 한다. 관이나 탱크를 통한 산소투여는 탈수를 일으키므로, 환아에게 투여하기 전에 습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동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주의 깊게 감시해야 한다.
  • 4. 비강캐뉼라
    24~40%의 Fio2를 대략적으로 줄 수 있으며, 1~6L/min의 유량을 줄 수 있다. 소아는 3~4L/min까지 적용하고, 신생아는 0.5~1L/min, 2L/min이상 적용을 금지한다. 비강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비강 캐뉼라의 크기, 배치 및 유지 관리가 중요하다.
  • 5. 산소 후드, 산소 텐트
    영아에서는 플라스틱 후드를 이용하여 주로 산소를 제공하는데, 산소 농도를 유지하면서 호기 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적어도 4~5L/min이 필요하다. 습화된 산소가 영아 얼굴에 직접 닿지 않아야 한다.
  • 6. 산소마스크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비강 캐뉼라보다 높은 산소 농도를 주입할 수 있다.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밀착이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입을 사용할 때에는 마스크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얼굴피부를 건조하게 만든다.
  • 7. 부분 재호흡 마스크
    일반 마스크와 동일하고 단지 산소 주머니가 달려있다. 산소 유량을 8-12L/min으로 했을 때 FiO2는 0.4-0.7 이다. 저장백의 산소농도가 유지되고 이산화탄소가 재호흡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산소의 유량은 저장백이 완전히 허탈되지 않도록 일정속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 8. 비재호흡 마스크
    자발호흡이 있는 대상자에게 고동노의 산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산소유량이 6~15L/min로 흡입산소농도를 80~100%까지 전달할 수 있다. 마스크에는 두 개의 밸브가 있는데 하나의 밸브는 호기 구멍에 부착되어 호기가스가 나가도록 하며 흡기동안 대기가 마스크 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 9. 벤튜리 마스크
    가장 정확한 산소를 전달하고, 4~12L/min로 흡입산소농도를 24~60%를 전달할 수 있다. 슬리브를 돌리거나 적절한 어댑터로 교체하여 편리하게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농도조절 구멍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하고, 구멍이 환아의 시트나 옷에 의해 막히는 지 확인한다.
  • 10. High flow nasal cannula(고유량 비강캐뉼라)
    체온과 비슷한 33~35도의 온도로 가온가습이 가능하고, 모니터를 통해 정확한 Fio2를 공급할 수 있다. 차고 마른 공기를 고속으로 공급하였을 때 기관지 수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미리 기계를 켜놓고 가온하여 적응하도록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산소요법의 효과
    산소요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첫째, 저산소증을 개선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킵니다. 이를 통해 조직 손상을 예방하고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둘째, 호흡 곤란, 피로감, 두통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셋째, 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심혈관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넷째, 감염 위험을 낮추고 회복 과정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산소요법은 다양한 측면에서 환자의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비강캐뉼라
    비강캐뉼라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소 공급 장치 중 하나입니다. 이 장치는 코 안쪽에 삽입되는 얇은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강캐뉼라는 사용이 간편하고 환자의 활동성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저유량의 산소 공급이 가능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나 저산소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코 자극,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비강캐뉼라는 편리성과 효과성 면에서 산소요법에 널리 활용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산소마스크
    산소마스크는 환자의 코와 입을 완전히 덮는 형태의 산소 공급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중증 저산소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환자의 활동성이 제한되고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 사용 시 피부 자극, 호흡 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마스크는 중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며,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주제8: 비재호흡 마스크
    비재호흡 마스크는 환자의 호기 가스가 마스크 밖으로 배출되어 재호흡되지 않는 형태의 산소 공급 장치입니다. 이 마스크는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중증 저산소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 축적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불편감,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활동성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비재호흡 마스크는 중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며,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5. 주제10: High flow nasal cannula(고유량 비강캐뉼라)
    High flow nasal cannula(고유량 비강캐뉼라)는 기존의 비강캐뉼라와 달리 고유량의 가습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분당 최대 60L의 유량으로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 중증 저산소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습 기능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고유량 공급으로 인한 압박감, 비강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고유량 비강캐뉼라는 중증 환자의 상태 개선에 효과적인 산소 공급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