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해질불균형
본 내용은
"
전해질불균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6
문서 내 토픽
-
1. 저나트륨혈증저나트륨혈증(<135mEq/L)의 원인으로는 Na 배설 증가(loop diuredics, aldosterone▼, 고지혈증, 신장질환), Na 섭취 부족(금식, 저염식이), 혈청 Na 희석(저장성용액, 신부전, 고혈당, 울혈성 심부전, SIADH), Na 배설 저하(aldosterone▲, 신부전, 쿠싱신드롬)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신경계(ICP상승, 두통, 불안, 환각, 혼돈, 행동변화, 경련, 근허약감), 심혈관계(저혈량성 저혈압, 약한 맥박, 빈맥, Hct증가, shock), 호흡계(빈호흡, 호흡곤란, 기좌호흡, 신경학적 과호흡, 악설음, 수포음), 위장관계(오심, 구토, 장음항진, 복부경련, 설사), 비뇨기계(핍뇨, 무뇨) 등이 있다.
-
2. 고나트륨혈증고나트륨혈증(>145mEq/L)의 원인으로는 Na 섭취 증가, 수분 불균형(수분 섭취 감소 또는 소실 증가)이 있다. 증상으로는 신경계(LOC 변화, 근긴장도 증가, DTR이상, 대사성 산독증, 섬망, 경련), 심혈관계(심근수축력 저하, 보상성 빈맥, 체위성 저혈압, 고혈압, 부종), 호흡계(폐수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수포음, 흉막삼출), 갈증, 발열, 체온상승 등이 있다.
-
3. 저칼슘혈증저칼슘혈증(<4.5mEq/L)의 원인으로는 부갑상선 기능저하로 인한 PTH 저하, vit D 결핍, 부갑상선 기능항진으로 인한 PTH 과다 분비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손가락, 입 주위의 감각 이상, 근육 경련, 반사항진, 복부경련, 장음증가, 설사, 강직, 테타니(Trousseau sign(+), Chvostek's sign(+)) 등이 있다.
-
4. 고칼슘혈증고칼슘혈증(>5.5mEq/L)의 원인으로는 부갑상선 기능항진으로 인한 PTH 과다 분비, 뼈의 재흡수 증가, 골다공증(장기적인 부동)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피로, 혼돈, 부정맥, 뼈통증, 골다공증, 오심, 구토, 쇠약, 의식수준 저하, 변비, 식욕부진, 복부팽만 등이 있다.
-
5. 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3.5mEq/L)의 원인으로는 K과다 소실(이뇨제, 강심제, 설사, 스테로이드 등), 금식, K과다섭취, K배설저하(신부전, 이뇨제, 부신기능부전)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신경(허약감, 심부건반사소실, 하지근육의 허약과 경련), 호흡기계(빠르고 얕아짐), 위장관(오심, 구토, 복부팽만, 장운동감소, 마비성장폐색), 심혈관계(저혈압, QT연장, PR길어짐, U파) 등이 있다.
-
6. 고칼륨혈증고칼륨혈증(>5.1mEq/L)의 원인으로는 K과다 섭취, K배설저하(신부전, 이뇨제, 부신기능부전)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위장관(오심, 장운동증가, 설사), 신경계(손발과 얼굴이 저리거나 무감각), 심혈관계(T파상승, QRS간격 넓어짐, 혈압하강, 심실조기수축 및 심실세동으로 심장마비) 등이 있다.
-
7. 전해질불균형 치료전해질불균형의 치료로는 근본적 원인 교정, 수액 투여(저나트륨혈증 시 0.2% 또는 0.4% 식염수, 고나트륨혈증 시 수분제한 및 mannitol 투여), 수분 섭취 증가 및 이뇨제 투여(저칼슘혈증 시), 고칼슘식이 및 칼슘제제 투여(고칼슘혈증 시), 고칼륨식이 제한 및 50% DW+RI IV, Kayexalate 관장(고칼륨혈증 시) 등이 있다.
-
1. 저나트륨혈증저나트륨혈증은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체내 수분 과다, 신장 기능 저하, 부신 기능 저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은 두통, 구토, 혼란,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뇌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나트륨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수분 섭취 제한, 나트륨 보충, 기저 질환 치료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2. 고나트륨혈증고나트륨혈증은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탈수, 신장 기능 저하, 부신 기능 저하, 과도한 나트륨 섭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나트륨혈증은 갈증, 두통, 혼란,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뇌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나트륨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수분 섭취 증가, 나트륨 제한, 기저 질환 치료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3. 저칼슘혈증저칼슘혈증은 혈액 내 칼슘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부갑상선 기능 저하, 비타민 D 결핍, 신장 기능 저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칼슘혈증은 근육 경련, 손발 저림, 혼란, 경련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심장 부정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칼슘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칼슘 보충, 비타민 D 투여, 기저 질환 치료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4. 고칼슘혈증고칼슘혈증은 혈액 내 칼슘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 암 전이, 비타민 D 과다 섭취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칼슘혈증은 구토, 식욕 감소, 근육 약화, 혼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신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칼슘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수분 섭취 증가, 칼슘 제한, 기저 질환 치료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5. 저칼륨혈증저칼륨혈증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설사, 구토, 신장 기능 저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칼륨혈증은 근육 약화, 피로감, 부정맥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심장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칼륨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칼륨 보충, 기저 질환 치료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6. 고칼륨혈증고칼륨혈증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신장 기능 저하, 약물 부작용, 조직 손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칼륨혈증은 근육 약화, 심장 부정맥, 심정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칼륨혈증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칼륨 제한, 이뇨제 투여, 신장 기능 개선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7. 전해질불균형 치료전해질 불균형은 혈액 내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주요 전해질의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해질 불균형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 원인 질환 치료, 전해질 보충 또는 제한, 수분 관리 등이 고려되며, 환자의 상태와 원인에 따라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전해질 불균형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아동의 수분 전해질 불균형1. 영유아의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이 깨지기 쉽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하루 수분섭취량은 가시적 수분소실량과 불감성 수분소실량의 합과 같아야 한다. 영아와 아동은 체중단위당 수분소실량이 높고, 호흡수가 높을수록 증발되는 수분소실량도 더 많아진다. 영아는 세포외액의 50%가 매일 교환되기 때문에, 수분섭취가 충분하지 ...2025.05.07 · 의학/약학
-
A+ 전해질불균형 피피티1. 전해질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이란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로, 주요 원인은 과도한 전해질 섭취, 전해질 제거의 감소, 전해질의 손실 또는 섭취 저하 등입니다. 전해질 중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인산염, 칼슘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불균형은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2025.04.30 · 의학/약학
-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1. 체액 체액은 체중의 50~70%를 차지하며, 세포 내액(ICF)은 40%, 세포 외액(ECF)은 20%를 차지한다. 세포 내액은 세포 내 화학 반응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세포 외액은 세포대사를 위한 용액,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체온 조절 등의 기능을 한다. 2. 수분의 기능 수분은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영양소의 용매작용과 체내대사 과정 참여, 체...2025.04.28 · 의학/약학
-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 문제 및 정답1. 고칼륨혈증 사례 1의 대상자는 혈당 수치가 높고, 혈압 하강, 빈맥, 빠른 호흡의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고칼륨혈증의 심장증상으로는 혈압하강, 심실빠른맥(빈맥), 심실조기수축과 심실잔떨림(세동)으로 인한 심장마비가 올 수 있고, 신경근육계 증상으로는 허약감, 손과 발, 얼굴이 저리거나 무감각이 있을 수 있고, 지각이상, 경련, 통증 등이 있다. 위장관...2025.01.21 · 의학/약학
-
전해질불균형 간호진단1. 전해질 불균형 대상자의 혈청 전해질 수치(iCa, Cl)와 Total bilirubin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섭취량, 배설량, 배변 양상을 관찰하여 전해질 불균형과 탈수 증상을 사정하고 필요시 수액 요법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과 탈수가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간호 중재 활력징후 측정, 혈청 전해질과 Total bilirubin...2025.05.01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구강암 Study case/간호진단3개(전해질불균형, 영양불균형, 만성통증)/간호과정1개(전해질불균형)1. 구강암 구강암은 입안의 혀, 혀밑바닥, 볼점막, 잇몸, 입천장, 후구치삼각, 입술, 턱뼈 등에 발생하며 이를 총칭하여 구강암이라고 한다. 구강암의 90% 이상은 입 안의 점막을 구성하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편평상피세포암이다. 구강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장 큰 원인은 음주와 흡연이며 기타 원인으로는 불량한 구강 위생, 의치나...2025.01.20 · 의학/약학
-
전해질불균형 17페이지
Ⅱ. 전해질 불균형1. 정의 : 전해질이란 세포외액이나 세포내액에서 볼 수 있는 전기를 띤 이온으로, 해리된??????????? 물질을 말한다.??- 양이온 : (+)전기를 띠고 있는 이온 ; Na, K, Ca, Mg, H etc.??- 음이온 : (-)전기를 띠고 있는 이온 ; CI, P, HCO, protein etc.??- ECF에 풍부한 이온 : Na, Ca, CI, HCO??- ICF에 풍부한 이온 : K, Mg, P, protein?2. 기능??- 전해질은?① 신체수분 조절?② 산, 염기 조절???③ 효소반응?④ 신경근 ...2021.03.23· 17페이지 -
수분, 전해질 불균형 37페이지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체액의 특성ㅡ체중의 50~60% 차지 수분과 전해질은 세포내, 세포외 및 세포 간질강에 위치 1.세포내액(ICF) - 체중의 40% 세포의 화학적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수성 매개물로 작용 소화기계내의 음식물을 가수분해 인체의 구조물을 구성함 2. 세포외액(ECF) - 체중의 20% 혈장액, 간질액, 체강액으로 구성 기능 : *세포에 영양분, 수분, 전해질 등을 전달하며 노폐물 을 운반. *혈장은 폐에서 모세혈관으로 산소를 운반하고, 이 산화탄소를 폐포로 되돌림.체액의 특성*간질액의 구성성분인 림프도 세포로부터 노...2021.05.01· 37페이지 -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13페이지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과 CRRT이해목차1.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가. 체액나. 수분의 기능다 세포내액과 세포외액라. 체액과 전해질의 내적 조절마. 전해질바.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1.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가. 체액- 체중의 50~70%- 세포 내액 (ICF: intracellular fluid) : 세포 내 화학 반응의 매개 40%- 세포 외액 (ECF : Extracellular fluid) : 세포대사를 위한 용액, 운반가능, 20%나. 수분의 기능-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영양소의 용매작용과 체내대사 과정에 참여- 체온 조절 작용...2023.02.01· 13페이지 -
전해질 불균형 7페이지
전해질 불균형1. 나트륨 불균형1)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혈청 내 나트륨 135mEq/L 이하인 상태(1) 원인저혈량 저나트륨혈증나트륨 손실 > 수분 손실정상 혈량 저나트륨혈증신체 내 총 수분량 약간 상승, 나트륨은 정상 수준고혈량 저나트륨혈증신체 내 총 나트륨량에 비해 총수분량이 훨씬 많이 증가 시재분포 저나트륨혈증총수분량과 총나트륨량에는 변화x, 세포내액과 세포외액 간에 수분 이동 시(2)병태생리- 세포왜액에 있는 나트륨 농도 감소 -> 세포외액 저삼투질 상태 -> 수분이 세포 내로 이동 -> 수분 이동으로 인한...2021.12.09· 7페이지 -
산염기, 전해질 불균형 간호 48페이지
산?염기와전해질 불균형목 차Ⅰ. 수분과 전해질1. 항상성 32. 신체의 수분함량 33. 전해질 54.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조절 기전 65. 모세혈관의 체액이동 86. 체액 공간 97. 수분 균형 조절 9Ⅱ. 체액과 전해질 불균형1. 세포외액 불균형 112. 나트륨 불균형 153. 칼륨 불균형 224. 칼슘 불균형 315. 인산염 불균형 376. 마그네슘 불균형 38Ⅲ. 산 ? 염기 불균형1. 산 ? 염기 균형 422. 산 ? 염기 균형의 변화 443. 동맥혈 가스분압 46Ⅳ. 참고문헌48Ⅰ. 수분과 전해질1. 항상성 (Homeost...2024.10.22· 4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