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계-근골격계 사정 방법
본 내용은
"
신경계-근골격계 사정 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8
문서 내 토픽
-
1. 의식 수준 평가의식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의식의 단계를 Alert, Drowsy, Stupor, Semicoma, Coma로 구분하고 Glasgow Coma Scale(GCS)을 사용하여 점수를 매기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GCS는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총점은 3~15점입니다.
-
2. 동공 반응 검사동공 반응 검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동공의 크기, 모양, 반응, 대칭성 등을 확인하고 이상 소견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동공 반응은 뇌줄기 기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
3. 근력 평가근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ROM(관절 가동 범위) 검사, 악력 측정, 저항에 대한 반응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근력을 등급화하고 있습니다.
-
4. 하지 직거상 검사(SLR)추간판 탈출증이나 신경근 압박 등을 확인하기 위한 하지 직거상 검사(SLR)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상 굴곡 범위는 80~90도이며, 통증이나 불편감이 발생하는 각도를 기록하여 건측과 비교합니다.
-
5. Patrick 검사고관절 운동(Hip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을 평가하는 Patrick 검사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관절 부착 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양성 소견으로, 이는 천장관절, 고관절, 장요근 등의 문제를 시사합니다.
-
1. 의식 수준 평가의식 수준 평가는 환자의 의식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의식 수준 평가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Glasgow 혼수 척도(GCS)가 널리 사용됩니다. GCS는 눈 개봉, 운동 반응, 언어 반응의 3가지 항목을 평가하여 환자의 의식 수준을 3점에서 15점 사이로 점수화합니다. 이 외에도 AVPU 척도, 브로마게 척도 등 다양한 평가 도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의식 수준 평가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2. 동공 반응 검사동공 반응 검사는 신경학적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동공의 크기, 모양, 대광 반사 등을 관찰하여 중추 신경계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공 반응 검사를 통해 뇌압 상승, 뇌 손상, 약물 중독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공의 크기와 대광 반사 여부는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동공 반응 검사는 신속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응급 상황이나 중증 환자 평가 시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근력 평가근력 평가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근력 평가를 통해 신경계 손상 여부와 손상 부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근력 평가는 도수근력검사(MMT)를 통해 이루어지며, 각 근육군의 수축력을 0-5점 척도로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근력 저하의 정도와 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력 평가는 단순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지만,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력 평가 시 검사자의 경험과 숙련도를 고려해야 하며, 필요 시 정량적인 근력 측정 장비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4. 하지 직거상 검사(SLR)하지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e, SLR)는 요추 및 하지의 신경학적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앙와위에서 환자의 한 다리를 천천히 들어올리면서 통증 발생 여부와 각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요추 디스크 탈출증, 신경근 압박 등 하지 방사통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SLR 검사는 간단하고 비침습적이며, 신경학적 증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검사 시 환자의 협조도와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SLR 검사 시 환자의 상태와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
5. Patrick 검사Patrick 검사는 고관절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신체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앙와위에서 환자의 한 다리를 굴곡, 외전, 외회전 시킨 후 통증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통증이 발생하면 고관절 질환, 특히 고관절 관절염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Patrick 검사는 간단하고 비침습적이며, 고관절 질환을 선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의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통증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요인, 예를 들어 요추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 등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atrick 검사 결과는 환자의 병력,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 다른 임상 정보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
신생아 분만 직후 간호 대본1. 신생아 활력징후 측정 신생아의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은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정상 수치는 혈압 85-65/55-50mmHg, 심박수 110-150회/분, 호흡수 30-60회/분, 체온 36.4-37.2°C입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신생아 신체계측 신생아의 신체계측은 성장 발달을 ...2025.01.24 · 의학/약학
-
노인간호학실습 선행시험1. 노화에 따른 신체 기관별 변화 노화에 따라 피부, 근골격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비뇨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감각계 등 다양한 신체 기관에서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나타난다. 피부는 주름, 백발, 손톱 변화 등이 발생하고 상처 치유 능력이 감소한다. 근골격계는 근육량 감소, 관절 변화 등으로 인해 외관상 변화가 나타나며 호흡기계는 폐기능 저하로 호...2025.05.11 · 의학/약학
-
간호진단 모음집/간호중재 모음집/계통별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모음/NANDA 간호진단 20231. 호흡기계 폐렴, 폐결핵, 폐농양, 폐암, 기흉,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관련된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간호진단으로는 과다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호흡근의 쇠약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폐포 손상으로 인한 가스교환장애, 환기 불균형과 관련...2025.05.14 · 의학/약학
-
재태기간 사정 보고서1. 재태기간 사정 신생아가 자궁 외 생활에 만족스럽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관찰이 필요하다. 분만 후 신체사정은 아프가 점수 체계를 포함한 초기사정, 반응기 동안의 이행기 사정, 재태기간 사정, 체계적 신체검진 등 4단계로 나뉜다. 재태기간의 사정은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준거가 된다. 2. 재태기간 임상적 사정 재태기간을...2025.04.28 · 의학/약학
-
통증 및 통증간호 간호학과 문헌1. 통증 사정 통증 사정을 위해 PQRSTU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의 연령, 발달 수준, 이해력, 표현능력,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통증의 부위, 시작 시간, 양상, 강도 등을 사정합니다. 대상자가 표현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어 통증을 사정합니다. 통증 사정 도구로는 NRS, FLACC, FPRS, CNPS 등이 있습니다. ...2025.01.02 · 의학/약학
-
낙상예방교육자료PPT1. 낙상의 정의 낙상이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갑자기 넘어져서 뼈와 근육, 즉 근골격계에 상처를 입히는 사고입니다. 낙상은 골절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의 하나이며, 특히 어르신의 경우 낙상에 의한 골절 시 장기간 치료를 요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생명까지 위협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낙상 평가도구 낙상 위험 평가도구로는 Morse Fall Scale...2025.05.14 · 보건
-
근골격계, 신경계 사전학습(주요질환, 수술, 시술, 검사, 기타학습) 35P 3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2사전 학습 – 근골격계 장애, 신경장애교수분반학번이름1.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가)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1) 뼈구조: 인간의 뼈는 총 206개이며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뼈세포의 간질은 콜라겐, 점액다당질 및 지질로 구성되며 탄산과 인산 등의 무기 칼슘염이 축적되어 뼈를 단단하게 한다. 뼈는 5가지 형태인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뼈, 종자뼈로 분류한다.회복과정: 뼈는 손상 후에도 흡수와 재생과정을 통해 스스로 회복된다. 뼈의 회복과정은 혈종형성, 뼈모세포(골아세포) 증식 (proliferation of o...2022.09.28· 36페이지 -
응급간호학 간호사정(근골격계 질환 간호사정) 2페이지
응급간호학 과제-근골격계 간호 사정간호진단 : 다발성 외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간호사정간호목표간호중재간호수행합리적근거평가주관적 data객관적 data-C3~C5손상이 보임-신음소리를 내며 의식을 상실함-숨 쉬기 힘들어함-청색증- 장기목표퇴원시 대상자의 호흡양상에 이상이 없다.- 단기목표24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청색증 증상이 사라진다.1. 대상자의 기도를 확보한다.1-1 대상자의 기도를 jaw thrust 시행으로 기도를 확보한다.하악견인법(Jaw-Thrust Maneuver) ·두부를 후굴시키지 않고 하악견인을 하는 방법은 경...2020.11.27· 2페이지 -
건강사정실습 전신 사정, 피부계, 신경계, 머리와 목, 눈, 귀, 코, 구강과 인후, 호흡기계, 심혈관계, 말초혈관계와 림프계, 위장관계와 신장계, 유방과 액와, 근골격계 전신 사정 방법 꼼꼼하게 서술, A+ 받음 21페이지
피부계 사정하기① 피부 구조의 명칭을 의학용어(뜻) 순으로 적으시오.항목의학용어뜻agair shaft털줄기bstratum corneum각질층cpapillary layer유두층dstratum germinativum종자층esebaceous gland피지샘fsweat gland땀샘gsweat gland땀샘hnerve신경isensory nerve fiber감각신경섬유jadipose tissue지방조직kepodermis표피ldermis진피msubcutaneous tissue피하조직nreticular layer그물층oarrector pili ...2023.02.04· 21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A+ (인증 O)] 신경계, 근골격계 선행학습 질문 및 정답 정리 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A+ (인증 O)]신경계, 근골격계 선행학습 질문 및 정답 정리- 신경계 2~5page- 근골격계 5~8page- 8페이지에 인증사진 (유)12 뇌신경의 기능과 검진방법에 대해 각각 기술하시오.뇌신경기능검진방법후신경(CNⅠ)냄새를 전달하는 감각신경.환자에게 눈을 감고 코를 한 쪽씩 막고 냄새를 맡아보게 한 후 어떤 냄새인지 말하게 한다.시신경(CNⅡ)망막에서 감지된 빛 정보(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신경.시력검사, 시야검사, 시신경유두 검사동안신경(CNⅢ)안구를 움직이고 눈꺼풀을 올리며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운동...2022.08.06· 8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사전학습보고서,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신경계 구조와 기능 20페이지
사전학습 보고서근골격계 , 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실습 기관 :실습 부서 :실습 기간 :제 출 자 :학 번 :제 출 일 :담당 교수 :OOO보건대학교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1]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1. Bone (뼈)1) 뼈의 구조① long bone (긴뼈, 장골)- long bone은 humerus, femur와 같이 근육의 지렛대 역할을 하고 중력을 지탱하며 사지 뼈대를 이루게 된다.② short bone (짧은뼈, 단골)- 손목과 발목을 구성하며 운동범위가 제한적이다.③ flat bone (납작뼈, 편평골)- 주요 기관을...2022.06.09·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