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 봉합사와 봉합침
본 내용은
"
수술실 봉합사와 봉합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2
문서 내 토픽
-
1. 봉합사봉합사는 혈관을 결찰하여 지혈효과를 가져오거나 손상 받은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봉합사의 종류에는 흡수성/비흡수성, 단선사/복선사, 천연사/합성사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사용 부위가 다르다. 좋은 봉합사는 신장 강도가 높고 굵기가 균일하며 기대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조직반응이 적으며 다루기 쉽고 매듭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
2. 봉합침봉합침의 종류에는 바늘 끝의 모양에 따라 round needle, cutting needle, reverse cutting, P needle, taper-pointing needle, spatula needle 등이 있다. 봉합할 조직의 특성과 위치에 따라 바늘의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바늘의 구조에 따라 eyed needle, french eye needle, eyeless needle 등이 있으며, 단일 바늘(single armed), 이중 바늘(double armed), 루프(loop) 형태로 구분된다.
-
3. 봉합 방법봉합 방법에는 interrupted suture, continuous suture, purse string suture, retention suture 등이 있다. 각각의 방법은 사용 목적과 부위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결찰(ligature or tie)은 혈관이나 내장 주위를 봉합사로 돌려 묶어 지혈과 내강의 이물질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
4. 수술실 기구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구에는 겸자(hemostate, occluding clamp, forceps), 절개 기구(blade, knife handle, scissors), 견인기(retractors), 기타 기구(osteotome, rongeur, elevator) 등이 있다. 각 기구의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며, 수술 목적과 부위에 따라 적절한 기구를 선택해야 한다.
-
1. 봉합사봉합사는 수술 후 상처를 봉합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의료 용품입니다. 봉합사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상처 치유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봉합사는 생체 적합성, 강도, 유연성, 조직 반응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생분해성 봉합사, 항균 봉합사 등 다양한 기능성 봉합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봉합사 선택 시 환자의 상태와 수술 부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봉합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봉합침봉합침은 봉합사를 이용하여 상처를 봉합하는 데 사용되는 의료 기구입니다. 봉합침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봉합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봉합침은 날카로움, 강도, 유연성, 조직 반응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미세 침, 곡선 침 등 다양한 형태의 봉합침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봉합침 선택 시 수술 부위, 조직 특성, 의사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봉합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봉합 방법봉합 방법은 수술 후 상처 치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봉합 방법에 따라 상처 치유 속도, 미용적 결과, 합병증 발생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봉합 방법에는 단순 봉합, 매듭 봉합, 연속 봉합, 피하 봉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최적의 봉합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봉합 기술 향상을 위한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
4. 수술실 기구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 기구는 수술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술실 기구는 절개, 박리, 지혈, 봉합 등 수술 전반에 걸쳐 사용되며, 기구의 성능과 안전성이 수술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첨단 기술이 적용된 수술 로봇, 내시경 등 다양한 수술 기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수술실 기구 선택 시 수술 부위, 환자 상태, 의사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기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실 기구의 관리와 멸균 과정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
수술실 핵심술기 과제 (마취, 수술, 회복 간호)1. 외과적 손위생 수술 의료인력은 수술 직전에 액체 소독제와 1회용 hand scrub용 브러쉬를 사용하여 외과적 손씻기를 한다. 이를 통해 오염균 제거뿐 아니라 상재균수를 줄일 수 있다. hand scrub용 브러쉬를 사용하여 손끝의 손톱 부위는 30회, 그 이외의 다른 부위는 20회의 솔질을 하면서 최소한 2~5분 정도를 할애한다. 최근에는 물과 브러...2025.01.17 · 의학/약학
-
부천 성모 수술실 성인과제 11. 마취의 종류 및 특징 전신마취는 약물에 의해 중추신경계를 억압하여 기억상실, 진통, 무의식을 동반하며, 흡입 또는 정맥용 마취주사, 혹은 병용하여 사용한다. 전신마취에는 4단계가 있으며, 각 단계별 특징과 간호중재가 있다. 흡입마취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마취방법으로, 폐를 통해 쉽게 투여하고 제거가 가능하다. 정맥마취는 강력한 흡입마취제...2025.05.10 · 의학/약학
-
성인간호실습, 마취, 수술, 회복간호1. 마취 마취는 전신 혹은 특정 부위를 의식, 감각, 운동 및 반사행동이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료 행위를 말한다. 전신마취와 부분마취의 종류, 특징 및 방법, 마취간호사의 역할, Intubation, 마취 심도 모니터링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수술실 간호 수술실 환경,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Time out, Scrub Nurse와 Cir...2025.04.30 · 의학/약학
-
수술실 사전학습1. 수술의 목적, 시행방법 및 필요한 수술 수술은 질병이나 외상에 대하여 피부나 점막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외과치료행위로, 질환, 손상 또는 변형을 치료하기 위해 조직을 손으로 절개하거나 봉합하는 과정이 포함된 절차(수술 절차라고 부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진단적 수술, 근치적 수술, 예방적 수술, 완화적 수술의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수술과 ...2025.04.30 · 의학/약학
-
A+맞은성인간호학 수술실 학습내용 정리1.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수술실은 감독실, 탈의실, 손소독실, 소독물품실, 오물 처리실, 마취실, 기계실, 창고, 회복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공간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2.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 수술실 간호사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로 구분되며, 수술 전, 중, 후 각각의 역할과 업무를 수행한다. 소독간호사는 외과적 손...2025.01.15 · 의학/약학
-
마취/수술/회복간호 보고서_성인간호실습 보고서1. 마취간호 마취의 종류와 특징, 방법(전신마취, 부위마취)에 대해 설명하고, 마취간호사의 역할, intubation, 마취 심도 모니터링 등을 다룹니다. 2. 수술실 간호 수술실 환경, 수술 환자 맞이하기, Time out, Scrub Nurse와 Circulating Nurse의 역할, 환자 positioning, 안전간호, Surgical count...2025.01.17 · 의학/약학
-
A+ 받은 봉합사 및 봉합침의 종류 등 (수술실 실습 자료) + 대본까지! 27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봉합사, 봉합침, 봉합법-과목담당 교수조원제출 일자1. 봉합사1) 봉합사의 정의와 역할2) 봉합사의 조건3) 봉합사의 선택 기준4) 봉합사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5) 봉합사의 분류6) 종류7) 봉합사 크기2. 봉합침1) 봉합침의 정의2) 봉합침의 조건3) 봉합침의 구성4) 봉합침의 종류5) Needle Holder 조작 및 전달 방법6) 봉합사 및 봉합침 관리3. 봉합법1) 일차봉합선(Primary Suture Line)2) 이차봉합선(Secondary Suture Line)4. 임상 사례와의 비교*참고문헌*대...2024.12.19· 27페이지 -
성인간호 수술실/OR 자료 봉합사와 봉합침/EBL COUNT 10페이지
마취심도 모니터링, 봉합사와 봉합침, EBL COUNT4. 마취(심도) 모니터링혈액순환을 통해 혈액 - 뇌장벽을 통과 하여 뇌조직에 도달한 마취제는 마취제 용량 및 환자 상태에 대뇌피질의 고위중추와 하위 중추, 시상, 척수를 순서대로 마취시켜 수술에 필요한 마취상태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때의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호흡정지와 순환부전을 예방하고 수술할 수 있는 적당한 대상자의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실시한다.제Ⅰ기(무통기)제Ⅱ기(흥분기)제Ⅲ기(수술기)제Ⅳ기(마비기)1상2상3상4상의식각성, 청각은 최후까지 있고, 통각은 둔함, 대뇌피...2021.06.11· 10페이지 -
수술기구 종류 및 용도, 봉합사 및 봉합침 종류, 봉합법 종류 (수술실 실습) 7페이지
수술기구 종류 및 용도봉합사 및 봉합침 종류봉합법 종류설명과 사진을 첨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수술기구수술기구용도HemostateKelly조직을 잡거나, 침을 끼우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됨.Mosquitokelly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크기가 작음.Vessel clamp조직이나 혈관을 잡고, 지지하며 눌러주기 위해 사용됨.ForcepsDressing치가 없어 상처나 수술부위 소독 시 거즈나 용품을 잡을 때 사용함.(끝이 굽음)Fine조직을 잡거나 압박하고 무균 거즈나 수술용품을 잡을 때 사용함.(끝이 일자로 뻗음)끝이 가늚....2021.04.05· 7페이지 -
수술실 간호- 무균술(내과적 무균술,외과적 무균술), 봉합사와 봉합침(종류 및 특성) 11페이지
수술실 간호1.무균술-내과적 무균술-외과적 무슌술2.봉합사,봉합침-봉합사 종류 및 특징-봉합침 종류 및 특징무균술병원감염을 줄이기 위한 병원 전체에서 수행해야하는 중요한 절차로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이 있다.-내과적 무균술은 일정지역에 있는 미생물의 수를 줄이는 것과 현재 있는 곳에서부터 다른곳으로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 것으로 개인 건강 및 위생, 손씻기, 환자 위생, 쓰레기처리와 격리 등이 포함된다.- 외과적 무균술은 병원균이나 아포를 포함한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수술실에서의 손씻기 멸균지역...2022.01.20· 11페이지 -
수술실 봉합사 정리 5페이지
봉합 (suture)- 봉합은 물품을 이용하여 혈관 같은 조직의 지혈을 위한 결찰, 조직을 잘라서 끝을 묶어주는 것, 조직을 이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은 봉합사의 조율와 형태, 적용범위등을 잘 알고 있어야한다.- 간호사는 각 수술케이스마다 집도의가 어떤 봉합사를 원하는지 알기위해 집도의 수술준비 카드를 검토해야한다. 이는 수술을 준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목차]1. 봉합사의 형태2. 봉합사의 종류1) 흡수성 봉합사2) 비흡수성 봉합사3. 봉합침의 분류1. 봉합사의 형태결찰사바늘과 함께 연결된 ...2022.01.02·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