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 사전학습
본 내용은
"
수술실 사전학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수술의 목적, 시행방법 및 필요한 수술수술은 질병이나 외상에 대하여 피부나 점막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외과치료행위로, 질환, 손상 또는 변형을 치료하기 위해 조직을 손으로 절개하거나 봉합하는 과정이 포함된 절차(수술 절차라고 부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진단적 수술, 근치적 수술, 예방적 수술, 완화적 수술의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수술과 소수술로 구분되며, 대수술은 주요 체강(복부, 흉부 및 두개골) 중 하나를 열어 수술하는 것이고, 소수술은 주요 체강을 열지 않습니다.
-
2. 수술체위의 종류와 적합한 수술명수술 시 사용되는 체위에는 앙와위, Trendelenburg 체위, 복와위, 측위, 쇄석위, Jackknife 체위 등이 있으며, 각 체위에 따라 적합한 수술명이 다릅니다. 체위 선택 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 그리고 수술 접근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3. 봉합사와 봉합침의 종류봉합사는 자연사(natural)와 합성사(synthetic)로 구분되며, 흡수성(absorbable)과 비흡수성(non-absorbable), 단선사(monofilament)와 복선사(multifilament)로 나뉩니다. 봉합침은 바늘 모양과 크기,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조직의 특성과 수술 부위에 따라 적절한 봉합침을 선택해야 합니다.
-
4.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소독간호사는 수술 동안 멸균 작업장을 보존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순환간호사는 수술 동안 물품을 보충하고 검사물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두 간호사는 수술 과정에 대한 이해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
5. 소독/멸균법의 비교소독은 무생물체 표면에 있는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 혹은 모든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는 과정이며, 멸균은 물리적 혹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야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완전히 죽이는 과정입니다. 고압증기멸균, EO가스멸균, 저온멸균 등의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
6. 수술실 환자확인 방법(time-out)수술 전 환자의 신분, 수술명, 수술부위 등을 확인하는 'time-out' 절차를 거치는데, 이는 정확한 수술부위 확인을 위한 병원평가기관 범용 프로토콜의 실행지침입니다. 마취의사, 수술의, 간호사가 함께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7. 전신마취의 단계전신마취는 마취유도기, 흥분기, 외과적 수술기, 위험기의 4단계로 진행됩니다.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간호중재가 다르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8. 전신마취 사용 약물의 종류, 투여경로, 장단점, 간호중재전신마취에는 흡입마취제, 정맥마취제, 근이완제 등이 사용됩니다. 각 약물의 작용 기전, 장단점, 부작용 등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9. 척수마취와 경막외마취의 비교척수마취는 척수와 척수막 사이의 공간에 마취제를 투여하여 척수신경을 마비시키는 방법이며, 경막외마취는 경막외강에 주사하여 마취를 유발하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장단점과 부작용이 다르므로 수술 목적과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1. 주제2: 수술체위의 종류와 적합한 수술명수술 체위는 수술 부위와 접근성,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대표적인 수술 체위로는 앙와위, 측와위, 복와위, 쇄석위, 무릎-가슴 위 등이 있습니다. 앙와위는 복부, 흉부, 혈관 수술에 적합하고, 측와위는 척추, 신장, 부신 수술에 적합합니다. 복와위는 척추, 직장 수술에 적합하며, 쇄석위는 부인과 수술에 적합합니다. 수술 체위는 환자의 안전과 수술 접근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체위 변경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주제4: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의 역할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는 수술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소독간호사는 무균술을 준수하며 멸균 물품을 관리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수술 중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술 보조를 합니다. 순환간호사는 수술실 환경을 관리하고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마취과 의사와 협력하여 마취 관리를 합니다. 이들은 수술 팀의 일원으로서 환자 안전과 수술 성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문성과 팀워크가 필요한 직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수술실 환자확인 방법(time-out)수술실에서 환자 확인은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Time-out은 수술 직전에 수술팀 전체가 함께 환자의 정보(이름, 생년월일, 수술명, 수술 부위 등)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수술 대상 환자와 수술 내용이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Time-out은 수술실 내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진행되며, 환자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확인 과정을 통해 수술 오류를 예방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전신마취 사용 약물의 종류, 투여경로, 장단점, 간호중재전신마취에 사용되는 약물에는 흡입마취제, 정맥마취제, 근이완제, 진통제 등이 있습니다.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해 투여되며, 정맥마취제는 정맥 주사로 투여됩니다. 근이완제는 근육 주사로, 진통제는 정맥 주사로 투여됩니다. 각 약물은 작용 시간, 부작용, 비용 등의 차이가 있어 환자 상태와 수술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간호사는 약물 투여 전후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부작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마취 회복 과정에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
수술실 사전학습 자료1. 외과적 손 씻기 외과적 손 씻기의 목적은 절개부위와 접촉하는 손가락을 포함한 손과 전박, 팔꿈치 까지를 가능하면 깨끗하게 하며 미생물 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5분간 손 소독을 한 후 잘 헹궈야 한다. 순서는 손과 팔의 장신구 제거, 흐르는 물에 손과 팔 적시기, 소독액으로 거품내어 팔꿈치 위 2inch까지 문지르기, 솔로 손톱 끝부터 손가락, ...2025.01.14 · 의학/약학
-
수술실 도구 사전학습1. 수술도구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수술도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Mosquito, Kelly, Right angle, Long forcep, Fine forcep, Adson tissue, Mayo, Metezenbaum, Cut, Knife, Knife handle, Deaver retractor, Self retractor, Instrume...2025.01.11 · 의학/약학
-
수술실(OR) 사전학습1. 수술 전 투약 수술 전 환자의 불안이나 흥분을 경감시키는 진정작용, 기도 분비물의 억제, 미주신경 반사 억제, 진통작용, 기초대사 저하 작용, 마취제의 용량 감소, 실제 수술 과정 동안 일어나는 일에 대해 잊게 하는 것이 수술 전 투약의 목적입니다. 진정제, 부교감 신경 억제제, 진통제, 정온제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2. 소독간호사의 역할 소독간호...2025.05.04 · 의학/약학
-
수술실 사전학습 24년도 작성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고,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며, 수술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하고, 수술 중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2. 외과적 무균술 수술실에서는 멸균 물품을 사용...2025.01.22 · 의학/약학
-
성인실습(수술실)_사전학습/양성 전립선 비대증/폐암/위암1. 양성 전립선 비대증 양성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하는 질환으로, 나이가 들수록 요도 옆의 이행대 부위가 집중적으로 비대해져 방광 하부로 소변이 나오는 길을 막아 요도를 통한 소변의 흐름이 감소하거나 막힐 수 있는 질병입니다. 원인은 정상 기능의 고환의 노화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증상으로는 빈뇨, 지연뇨, 복압배뇨, 세뇨, 단...2025.05.15 · 의학/약학
-
외과병동 사전학습(흉부외과, 정형외과)1. 기흉(pneumothorax) 기흉은 장측 혹은 벽측늑막의 손상으로 인하여 폐와 흉벽 사이의 늑막강 안에 공기가 축적되어 늑막내압이 상승하고 폐의 허탈 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기흉은 개방성, 폐쇄성, 긴장성으로 분류되며, 늑골 골절, 자상, 폐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날카롭고 갑작스러운 흉통, 호흡곤란, 안절...2025.01.10 · 의학/약학
-
수술실 사전학습 자료 12페이지
임상심화실습3-사전학습 과제-1. 이상의 자료를 건강력과 수술 전 간호중재⊙ 외과적 손 씻기? 목적: 절개부위와 접촉하는 손가락을 포함한 손과 전박, 팔꿈치 까지를 가능하면 깨끗하게 하며 미생물 수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5분간 손 소독을 한 후 잘 헹궈야한다.? 순서① 손과 팔의 장신구를 제거한다.② 흐르는 물에 양손과 팔을 적신다.③ 소독액으로 거품을 내어 팔꿈치 위 2inch 까지 문지른 후 헹구어낸다.④ 솔을 꺼내 소독액을 묻힌다.⑤ 양손의 손톱 끝을 세게 30회 문지른다.⑥ 각 손가락을 4면으로 나누어, 엄지부터 15회...2024.05.04· 12페이지 -
수술실 사전학습 24년도 작성 22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IV사전학습보고서수술실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수술실 간호▶ 외과적 무균술▶ 멸균(sterilization) 방법▶ 무균술의 기본원칙▶ 외과적 손씻기(surgical scrub)▶ 수술환자 체위마취회복실마취의 종류▶ 전신마취 general anesthesia▶국소혹은부위마취Localorregional anesthesia▶ 척수마취 Spinal anesthesia전신마취국소마취마취회복 간호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소독간호사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2024.09.17· 22페이지 -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 19페이지
임상선택실습수술실 사전학습과목명실습기관실습기간담당교수학년 / 조학번이름제출일자I. 수술실1) 수술실 환경비제한 구역준제한 구역제한 구역수술대상자 대기실이나 직원 탈의실 등으로 외부 복장이 허용됨물품 공급실과 복도 등, 수술실 복장을 하고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함수술방과 그 주변, 수술복을 착용- 수술실 온도는 20~24℃를 유지, 습도는 최소한 50%로 유지(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정전기 발생을 방지)- 수술실 내 공기를 여과시키고 환기와 냉난방시설을 완벽하게 하여 세균 감염의 우려를 감소시킴- 수술실의 가구는 청소하기 쉽고 움직이기...2022.12.09· 19페이지 -
수술실 도구 사전학습 5페이지
Mosquito: 기구의 끝이 작은 수술기구이다. 커브드(curved)와 스트레이트(straight)의 두 종류가 있는데, 보통 커브드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 유착되어있는 조직을 박리할 때 사용하며, 복강내에 내장과 복막이 붙어있어 미세한 조작을 해야하는 경우 사용한다.Kelly: 복강을 닫을 때 복막의 위, 아래, 옆을 잡는데 사용하며, 비교적 큰 혈관을 조이거나 질긴 조직을 지혈을 목적으로 혈관을 잡아주는데 사용한다. 수술 장비 고정, 유치도뇨관 삽입시에도 사용된다.Right angle: 90도로 각이 구부러진 기구이다. 주로 ...2024.03.05· 5페이지 -
화순전대병원 수술실 사전학습 7페이지
실습 장소실습 병동OR (수술실)실습 기간학교학번 / 이름[수술실 환경관리]1. 환경 유지온도20~24℃박테리아 성장 억제와 외과 환자의 대사율 감소에 도움을 준다.습도20~60%박테리아의 성장을 낮추고 정전기를 방지한다.천장과 벽구멍이 없는 매끈한 내화 재질로 되어 있어서 향균제로 쉽게 닦을 수 있다.바닥재미끄럼 및 마모 방지용을 이용함으로써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미닫이문수술실 내의 공기 오염을 막을 수 있어야 하며 화재 규제에 따라 문은 필요시에 활짝 열 수 있어야 한다.2. 환기관리- 수술방은 주위보다 높은 압력(양압)을 유지...2023.09.22·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