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출혈-식도정맥류 (Gastrointestinal bleeding - esophageal varix)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내과) CASE STUDY A+ 위장관출혈-식도정맥류 (Gastrointestinal bleeding - esophageal varix)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0
문서 내 토픽
  • 1.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gastrointestinal bleeding)은 식도・위・소장・대장 등 위장관의 점막 손상으로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이다. 위장관 출혈은 크게 식도・위・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위장관 출혈, 그리고 소장・대장에 문제가 되는 하부위장관 출혈로 구분한다. 위장관 출혈은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서 비교적 흔한 진단 및 합병증으로 적극적인 치료 및 간호가 요구되는 응급상황이다.
  • 2. 식도정맥류
    식도정맥류는 문맥압 증가에 의해 식도 정맥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간경변 등으로 인해 간문맥(장과 간 사이의 혈관으로 간에 영양을 공급하는 정맥계의 대혈관)에 혈액이 고여 문맥압이 높아질 경우 식도의 정맥 쪽으로 흐르는 혈류가 많아지면서 식도 정맥의 수가 많아지고 정맥이 확장되어 크기가 증가한다.
  • 3.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의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것은 소화성 궤양으로 약 50%에 달한다. Mallory Weiss 증후군은 5~15% 정도이고, 정맥류 출혈은 5~30%로 그 범위가 인구 분포에 따라 다양하다. 그 외 NSAIDs나 알콜 등에 의한 출혈성 위병변(hemorrhagic gastropathy)나 미란성 위염, 미란성 식도염 등이 원인이 된다.
  • 4. 소화성 궤양
    소화성 궤양(peptic ulcer)은 상부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약 50% 정도를 차지한다. 소화성 궤양은 병원균 Helicobacter pylori(이하 H. pylori)에 감염되거나 비스테로이드소염제(이하 NSAIDs) 복용자 또는 위산의 과다분비, 스트레스 과다 등으로 호발된다. 한국의 경우 위보다 십이지장의 H. pylori 감염률이 더 높다. 궤양 발생의 위험은 50세 이전에는 낮으나 60세 이상에서는 급속히 증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은 매우 심각한 의학적 문제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다양하며,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식도정맥류, 위염, 대장 게실 출혈 등이 있습니다. 출혈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내시경 검사, 약물 치료, 수술 등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됩니다. 특히 식도정맥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위장관 출혈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 2. 식도정맥류
    식도정맥류는 간경화 환자에게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출혈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식도정맥류의 주요 원인은 간경화로 인한 문맥압 상승입니다.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와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내시경 치료, 약물 치료,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간경화 환자의 경우 식도정맥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염, 식도정맥류, 위암, 위 용종 등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입니다. 이러한 궤양은 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간경화 환자의 경우 문맥압 상승으로 인해 식도정맥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원인 질환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4. 소화성 궤양
    소화성 궤양은 위나 십이지장에 생기는 염증성 병변으로, 주요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입니다. 소화성 궤양은 심한 복통, 구토, 토혈, 흑색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출혈, 천공, 협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해서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위산 억제제 투여, 금연, 금주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소화성 궤양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들은 의료진과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