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CABG 수술실 사례연구보고서
본 내용은
"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CABG 수술실 사례연구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1
문서 내 토픽
  • 1. Acute 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fibrous cap)이 생기는데, 이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된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1/3은 발병 1~4주 전에, 2/3은 1주 이내에 협심통을 경험하며 50%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행을 모르고 지내다가 갑자기 발생된다. 심장발작 환자는 혈관폐색이 일어나는 순간 갑작스런 흉통과 함께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빠지고 숨이 차며 흔히 오심·구토를 호소한다.
  • 2.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우회술(CABG)은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에 요골동맥, 복재정맥(saphenous vein)내 유선동맥 또는 위대망동맥을 이식하여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수술이다. 심폐기를 삽입하지 않고 심장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심장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문합술을 하는 Off-Pump CABG와 심폐기를 이용하여 심장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관상동맥 문합술을 시행하는 On-Pump CABG가 있다. Off-Pump CABG는 작은 혈관의 문합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관상동맥이 심근내에 묻혀 있거나 광범위한 동맥경화가 진행되고 석회화가 심한 경우 완전한 재혈관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수술 시 차단되는 혈류로 인해 오히려 심근허혈이 조장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3. 마취 과정
    CABG 수술을 위한 마취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마취 전 준비 단계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마취 유도 단계에서는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정맥 내 마취제를 투여하여 환자를 의식 소실 상태로 만든다. 마취 유지 단계에서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마취 깊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약물을 투여한다. 수술 종료 후에는 환자를 심장혈관중환자실로 이송하고 마취기 세팅을 준비한다.
  • 4. 수술 과정
    CABG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환자 체위를 취하고 수술 부위를 소독한다. 2) 정중선을 따라 절개하고 흉골을 절개한다. 3) 내흉동맥(IMA)을 박리하여 준비한다. 4) 심낭을 절개하고 Y자 그래프트를 만든다. 5) 관상동맥(LAD, DIAG)에 그래프트를 문합한다. 6) 배액관을 삽입하고 흉골과 피부를 봉합한다. 7) 수술 부위를 드레싱한다. 수술 중에는 출혈 관리, 무균술 준수, 물품 및 기구 점검 등의 간호 활동이 이루어진다.
  • 5. 수술 후 합병증
    CABG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급성 승모판 역류증, 급성 심실 중격 결손증 등의 기능부전 및 파열,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의 치명적인 부정맥, 신경학적 합병증 등이 있다. 고령 환자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약 2일간의 치료 및 경과 관찰이 매우 중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cute 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a serious medical condition that occurs when the blood supply to a part of the heart muscle is suddenly blocked, often due to a blood clot. This can lead to permanent damage to the heart muscle if not treated promptly. Prompt recognition of the symptoms and immediate medical intervention are crucial for improving outcomes and reduc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Treatment typically involves medications to dissolve the clot, procedures to restore blood flow, and long-term management to prevent future events. Understanding the risk factors, symptoms, and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is essential for healthcare providers to provide effective care for patients with AMI.
  • 2.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is a common and effective treatment for sever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rocedure involves using a blood vessel from another part of the body to bypass the blocked or narrowed coronary arteries, allowing blood to flow more freely to the heart muscle. CABG can significantly improve symptoms, such as chest pain and shortness of breath, and reduce the risk of heart attack and other complications. However, it is a complex and invasive procedure that carries risks, including infection, bleeding, and stroke. Careful patient selection,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nd comprehensive post-operative care are essential for achieving optimal outcomes. Healthcare providers must thoroughly evaluate the risks and benefits of CABG for each individual patient and ensure that the procedure is performed by experienced and skilled surgical teams.
  • 3. 마취 과정
    마취 과정은 수술 중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취과 의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수술 종류, 예상되는 위험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마취 방법을 선택하고, 수술 중 환자의 생체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 마취 깊이를 조절합니다. 마취 과정에서는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며, 마취 관련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와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마취과 의사의 전문성과 경험은 수술 성공과 환자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숙련된 마취과 의사의 참여가 매우 중요합니다.
  • 4. 수술 과정
    수술 과정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수술팀은 환자의 상태와 수술 계획을 면밀히 검토하고, 수술 전 준비부터 수술 중 모니터링, 수술 후 관리까지 모든 단계에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숙련된 외과의사의 정확한 수술 기술, 마취과 의사의 안전한 마취 관리, 수술실 간호사의 체계적인 지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과정에서의 세심한 주의와 전문성은 환자의 안전과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5. 수술 후 합병증
    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감염, 출혈, 혈전, 호흡기 문제, 신장 기능 저하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팀은 수술 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합병증 발생 징후를 신속히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후 관리와 합병증 예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수술 후 합병증 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