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 기구 조사 정리
본 내용은
"
수술실 기구 조사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7
문서 내 토픽
-
1. Incision & Cutting수술 시 조직을 절개하거나 절제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기구로는 knife, knife handle, electric cautery, scissors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특징과 용도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
2. Forcep & Clamps수술 시 조직이나 혈관을 잡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forcep과 clamp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기구로는 sponge forcep, adson forcep, smooth forcep, towel clamp, mosquito, kelly, allis, kocher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특징과 용도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
3. Retractors수술 부위의 노출을 위해 수술 창상 절개부 및 조직을 잡아당기는 데 사용되는 retractor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기구로는 weitlaner, lansen, skin hook, seen, richardson 등이 있으며, 각 기구의 특징과 용도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
1. Incision & CuttingIncision and cutting are fundamental surgical techniques that require great skill and precision. Surgeons must carefully consider the location, depth, and angle of incisions to minimize tissue damage and optimize healing. Proper incision technique is critical for accessing the surgical site while preserving surrounding structures. Cutting tools like scalpels, electrocautery, and lasers must be used judiciously to cleanly divide tissue planes. Attention to hemostasis and meticulous closure are also essential. Overall, incision and cutting are core competencie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many surgical procedures. Mastering these techniques takes extensive training and experience to ensure optimal patient outcomes.
-
2. Forcep & ClampsForceps and clamps are indispensable surgical instruments that allow surgeons to grasp, manipulate, and control tissues during procedures. A wide variety of forceps and clamps are available, each designed for specific purposes like grasping, dissecting, clamping blood vessels, or applying traction. Proper selection and use of these tools requires in-depth knowledge and skill. Surgeons must be adept at handling forceps and clamps with precision and delicacy to avoid tissue trauma. Careful application of appropriate clamping force is critical, as excessive force can cause ischemia or necrosis. Meticulous hemostasis and prevention of inadvertent tissue injury are key considerations when employing forceps and clamps. Mastery of these instruments is essential for safe and effective surgical practice.
-
3. RetractorsRetractors are essential surgical instruments used to expose, visualize, and provide access to the surgical site. A wide range of retractor types and designs are available, each optimized for specific anatomical regions and procedures. Proper retractor selection and application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surgical anatomy and the ability to apply the appropriate amount of retraction force. Excessive retraction can lead to tissue ischemia, nerve injury, and other complications, while inadequate retraction compromises surgical exposure. Skilled use of retractors is crucial for creating a clear operative field, allowing the surgeon to work efficiently and safely. Mastery of retractor techniques is a core competency for all surgeons, as these instruments are integral to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virtually every surgical procedure.
-
성인간호학실습 경요도방광종양절제술 case study1. 방광 해부생리 정상 비뇨기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방광은 성인의 경우 평균 용적이 약 400ml이며,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 장막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방광은 위로는 신장에서 내려오는 요관과 연결되어 있고, 아래로는 요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방광의 기능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것입니다. 2. 방광암 원인 방광암의 주요 원...2025.04.27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실습 간호과정1. 병동 특성 파악 병동 963은 주로 정형외과와 류마티스 내과 환자를 담당하고 있으며, 총 40병상 중 32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어 병상 가동률이 80%입니다. 환자 연령층은 주로 60대와 80대가 많으며, 병실 구성은 특실 1개, 1인실 1개, 2인실 2개, 4인실 4개, 6인실 3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진단명은 화농성 관절염, 대퇴골 골절, ...2025.05.16 · 의학/약학
-
간 이식 수술 및 간 기증자 검사1. 간의 정의 및 기능 간은 2개의 큰 엽과 2개의 작은 엽으로 구성된 인체 내의 가장 큰 내장기관으로 가로막 아래 우상복부에 위치한다. 간의 주요 기능은 쓸개즙 합성, 글리코겐 형성과 저장, 혈액응고인자 형성, 혈장단백질 합성, 요소 형성, 해독작용 등이다. 2. 간 이식 유형 간 이식의 유형은 크게 생체 부분 간이식과 뇌사자 전간이식으로 구분된다. 생...2025.01.04 · 의학/약학
-
A+간호관리학 간호과정(case study) 간호진단 3개 및 간호과정 3개1. 비효과적 자원관리 간호진단: 물품의 관리 부적합과 관련된 비효과적 자원관리 간호사정: - 격리병실에 있던 체온계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병실에서 발견됨 - 활력징후 측정 기계가 팀 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음 - 처치실 수납장 라벨에 적혀있는 물품이 제 위치에 있지 않음 - 환자의 열을 급하게 재야하는 상황에서 체온계가 제자리에 있지 않아 측정이 지...2025.05.1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A+ 신경외과 지주막하출혈(SAH) 케이스 스터디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지주막하출혈은 뇌혈관성 질환의 일종으로, 뇌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뇌동맥류, 뇌혈관 기형, 고혈압, 뇌혈관 색전 등이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구토, 의식장애 등이 나타나며, 수술적 치료와 약물 치료 등을 통해 관리한다. 간호...2025.05.04 · 의학/약학
-
간호학과 희망 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1. 방사광 가속기 물리학 시간에 배운 기본 입자에 대해 탐구하던 중 '방사광 가속기'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방사광의 파장 영역을 통해 단백질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해 타미플루 등의 치료제 개발을 학습했습니다. 또한 방사광을 사용해 관상동맥을 촬영하는 원리도 조사했습니다. 2. 야간 간호사의 건강 야간 간호사의 건강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 K-MOO...2025.05.11 · 의학/약학
-
수술실OR_유방암_유방보존수술_A+자료 32페이지
수술실사례보고서-유방보존수술-담당 교수님과목성인간호학 실습제출 일자학번이름목차Ⅰ. 수술환자 기본사항 3Ⅱ. 수술정보 41. 수술명과 수술 관련 정보 42. 수술 과정 103. 수술 기구 및 장비 174. 간호 23Ⅲ. 회복실 간호 261. 회복실 간호 262. 병동에서 수술 후 합병증 293. 병동에서 수술 후 나타날 증상 294. 간호중재 및 의학중재 30Ⅵ. 참고문헌 32Ⅰ. 수술환자 기본사항이름: 김OO성별: F연령: 64세진료과: 유방내분비외과진단명: Breast Cancer수술명: Breast-Conserving Surge...2023.11.30· 32페이지 -
분만실 도구 및 장비(+실제 배치),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 7페이지
분만실에서 사용되는 장비/물품을 조사하여 정리하세요.- 조직의 봉합 시에 사용되는 기구- 봉합 바늘을 끼워 조직을 꿰맬 때 사용 - Episiotomy Scissor : 회음절개에 사용- Cord Scissor : 탯줄을 자르는 데 사용- 톱니가 있어 매우 강하게 근막을 잡음- 양쪽 태반을 잡을 때, 탯줄을 잡을 때, 타월을 집어 놓을 때, 조직을 집어 놓을 때 사용- Cord를 잡을 때 사용- 소독된 기구나 거즈, 면봉 등을 잡을 때 사용- 조직을 잡고 고정하기 위해 사용- 아두의 시상 봉합이 골반 출구의 전후 경선과 일치되었을 ...2022.07.01· 7페이지 -
산부인과 분만&수술실 감염관리 규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6페이지
ㅇㅇㅇ병원 분만 수술실 감염관리 규정1분만 & 수술실 감염관리 규정제1조 목적분만 및 수술, 시술 등의 과정에서의 감염발생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분만 & 수술실 감염관리활동을수행한다.제2조 정의분만 & 수술실: 산과의 분만, 제왕절개 등의 수술, 부인과 질환의 주요 수술( 복강경, 개복술, 자궁경, 요실금수술 등) 이 이루어지는 분만실 및 수술실을 말한다.제3조 정책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의 권고사항에 기반을 둔 본원의 감염관리 규정을 준수한다.1. 경영진은 필요한 모든 자원을 지원한다.2. 분만 & 수술실은 표준화된 절차에 의거...2022.11.07· 6페이지 -
중앙공급실의 소독과 멸균물품 A+ 5페이지
1. 중앙공급실(Central Supply Room:CSR)이란?중앙공급실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와 실용성을 우선으로 한 지원체제를 유지하며 각종 의료 물품 및 기구로 인한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감염의 위험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멸균기를 이용하여 각종 물품 및 기구의 특수성에 따른 적합한 멸균 방법으로 멸균 및 관리를 하며 환자에게 적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1) 중앙공급실의 목표① 병원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품 공급 체계를 개발한다.② 적절한 진료재료 관리를 통하여 재고 관리 업무의 효율을 최대화한다.③ ...2023.05.28· 5페이지 -
직업간호_'관계자외 출입금지' 독후감+수술실 간호사 통계 4페이지
직업환경건강간호개인과제-간호업무현장 요약 정리-교수님반학번&성명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지역사회 간호영역 증 직업건강간호에 대해 이론과 실무를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간호학과 4학년 학생에게 예비간호사로서 임상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응을 돕고자 한다.2) 연구 방법책 ’관계자외 출입금지(수술실 간호사의 귓속말)‘를 통해 횡단적 연구를 실시한다.Ⅱ. 본론1) ’관계자외 출입금지‘에 나타난 수술실 간호사 업무 현장① 수술실 간호사 업무㈀ 소독 간호사(Scrub Nurse) : 수술상을 차리는 업무를 한다. 수술 과정에...2023.02.2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