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사 점수 보고와 해석 리포트(검사점수, 규준점수, 준거점수, 검사보고)
본 내용은
"
검사 점수 보고와 해석 리포트(검사점수, 규준점수, 준거점수, 검사보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3
문서 내 토픽
-
1. 검사점수검사점수는 피험자가 얻은 원점수를 의미합니다. 규준점수는 피험자의 원점수가 전체 피험자 집단에 비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상대적 점수입니다. 준거점수는 피험자가 학습목표인 준거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점수입니다.
-
2. 규준점수규준점수에는 퍼센타일, Z점수, T점수, 스테나인 등이 있습니다. 규준점수는 피험자의 상대적 서열을 알려주므로 상호비교에 용이하지만,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준거점수준거점수는 피험자가 학습목표인 준거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점수입니다. 준거설정 방법에는 규준적 준거설정방법과 절대적 준거설정방법(집단비교방법, 경계선 방법, Angoff 방법, Jaeger 방법, 북마크 방법 등)이 있습니다. 준거점수는 피험자가 어떤 영역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점수보고점수보고 시 원점수와 규준점수를 동시에 보고하거나, 원점수와 준거점수를 동시에 보고할 수 있습니다. 원점수와 규준점수를 보고하면 상대적 서열 및 학생의 점수 분포를 분석할 수 있고, 원점수와 준거점수를 보고하면 준거의 도달 여부와 학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검사점수검사점수는 개인의 능력이나 성취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점수만으로 개인의 전체적인 능력을 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검사점수는 특정 영역에서의 성과를 보여줄 뿐, 다른 능력이나 잠재력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점수를 해석할 때는 개인의 전반적인 특성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예를 들어 시험 준비 정도, 시험 당일의 컨디션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국 검사점수는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일 뿐이며, 이를 해석할 때는 균형 잡힌 관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규준점수규준점수는 개인의 성과를 동일한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능력이나 성취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규준점수에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집단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규준점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 대상이 되는 집단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 규준점수는 상대적인 평가이므로 개인의 절대적인 능력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준점수와 함께 다른 평가 방식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규준점수에 대한 해석 시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결국 규준점수는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며, 이를 해석할 때는 균형 잡힌 관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3. 준거점수준거점수는 개인의 성과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절대적인 능력이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준거점수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개인의 성과를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둘째, 개인의 절대적인 능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셋째, 개인의 성장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준거점수에도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기준 설정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둘째,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 준거점수와 함께 다른 평가 방식을 병행해야 합니다. 결국 준거점수는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며, 이를 해석할 때는 균형 잡힌 관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4. 점수보고점수보고는 개인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점수보고를 통해 개인의 능력이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피드백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점수보고에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점수보고 시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 점수보고 방식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셋째, 점수보고 결과를 활용할 때는 개인의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결국 점수보고는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며, 이를 해석할 때는 균형 잡힌 관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문항 분석과 점수 보고 9페이지
교육 평가 레포트[문항 분석과 점수보고]교육학과20161111홍길동목차Ⅰ. 문항분석- 질적평가와 양적평가- 고전 검사 이론Ⅱ. 검사점수 보고- 검사점수- 규준점수Ⅲ. 규준 점수와 규준 점수의 종류- 퍼센타일- 표준점수- 변환점수Ⅳ. 준거 점수와 준거 점수의 종류- 규준적 준거설정방법- 피험자 집단 특성평가에 의한 절대적 준거설정방법- 검사도구 내용분석평가에 의한 절대적 준거설정방법Ⅰ. 문항분석- 질적평가와 양적평가문항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1. 질적평가 : 문항이 측정의 목적에 부합되게 제작되었는지를 점검하...2017.11.12· 9페이지 -
교육평가 문항 분석과 점수보고 9페이지
교육 평가 레포트[문항 분석과 점수보고]교육학과20150000홍길동목차Ⅰ. 문항분석- 질적평가와 양적평가- 고전 검사 이론Ⅱ. 검사점수 보고- 검사점수- 규준점수Ⅲ. 규준 점수와 규준 점수의 종류- 퍼센타일- 표준점수- 변환점수Ⅳ. 준거 점수와 준거 점수의 종류- 규준적 준거설정방법- 피험자 집단 특성평가에 의한 절대적 준거설정방법- 검사도구 내용분석평가에 의한 절대적 준거설정방법Ⅰ. 문항분석- 질적평가와 양적평가문항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1. 질적평가 : 문항이 측정의 목적에 부합되게 제작되었는지를 점검하...2016.09.20· 9페이지 -
[아동 행동평가척도] Burk 행동평가척도(BBRS), 아동행동척도(CBCL), 한국판 아동행동척도(K-CBCL), 취학전 아동행동 목록표(PBCL), 코너스 평정척도(CRS) 9페이지
아동 행동평가척도[아동 행동평가척도] Burk 행동평가척도(BBRS), 아동행동척도(CBCL), 한국판 아동행동척도(K-CBCL), 취학전 아동행동 목록표(PBCL), 코너스 평정척도(CRS)목차아동 행동평가척도I. Burk 행동평가척도(BBRS)II. 아동행동척도(CBCL)III. 한국판 아동 행동척도(K-CBCL)IV. 취학전 아동행동 목록표(PBCL)V. 코너스 평정척도(CRS)1. 코너스 부모평정척도(CPRS)2. 코너스 교사평정척도(CTRS)3. 코너스 단축평정척도(SARS)아동 행동평가척도아동을 대상으로 한 행동평정척도의...2016.02.25· 9페이지 -
교육평가의 유형과 일반적 절차 17페이지
교육평가 REPORT-교육평가의 유형과 일반적 절차-- 목 차 -Ⅰ. 교육평가의 유형Ⅱ.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현장교사의 평가전문성 연구▷ 7차교육과정 평가방안(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Ⅲ. 토의주제Ⅳ. 참고문헌※ 첨부자료Ⅰ.교육평가의 유형1.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1) 임의 평가2) 상대평가3) 절대평가(준거지향 또는 목적지향평가)4) 수행평가 ┏①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②수행평가의 필요성┣③일반적 특징┣④포트폴리오와 수행평가┣⑤전통적 평가체제와 수행평가비교┣⑥수행평가 과제┗⑦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해결책1) 임의 평가①평가기준이 교사 ...2007.10.12· 17페이지 -
[영재] 영재교육의 정의 및 개념 4페이지
≒ 정의 및 개념▶ 갤리어(Gallagher, J. J)는 영재아의 정의와 용어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아카데미칼리 탤런티드(academical talented) 란 용어는, 지능지수가 116 또는 그 이상인 자에게 해당하며, 지역적인 차이는 있으나, 일반 학생인구 중 15~60%의 아동이 여기에 속하고, 기프터드(gifted)'란 용어는 지능지수가 132이상인 자를 말하며, 전체 학생인구 중 약 2~4%에 해당하며, 지니어스(genius)'란 용어는 고도의 천재적인 두뇌를 소유한 사람으로서 지능지수 148이상의 아동이 여기에...2003.10.1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