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히 정리해보는 보철
본 내용은
"
간단히 정리해보는 보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5
문서 내 토픽
-
1. Inlay 수복Inlay 수복은 치아에 형성된 와동에 구강 외에서 금, 도재, 복합레진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 후 시멘트를 이용해 합착하는 모든 수복물을 말합니다. 초기 충치가 지나 충치 부위가 더 넓고 깊어진 경우, 충치 부위가 직접 수복으로 치료하기 힘든 경우 충치 부위를 제거 후 제거된 부분을 보철물로 채워 충전해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금, 레진, 세렉(Cerec) 등의 재료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
2. OnlayOnlay는 inlay와 마찬가지로 치아 충치를 제거 후 본을 떠서 보철을 넣는 방식의 치료입니다. 차이점은 인레이보다 충치량이 많거나 광범위한 경우(교두 포함), 크라운 치료를 하기 아까운 경우에 시행합니다.
-
3. Crown 수복Crown 수복은 우식의 진행이나 외상 등에 의해 치질의 결손이 커서, 충전만으로 치료가 곤란한 치아에 대해, 심미성이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장착하는 금관 형태의 고정성 보철물입니다. 전부 금속관, 금속도재관, 전부도재관, 지르코니아 등의 재료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
1. Inlay 수복Inlay 수복은 치아의 부분적인 결손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의 인레이를 사용하여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치아의 건강한 부분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어 치아 삭제량이 적고, 심미성이 좋으며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편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치아의 부분적인 결손이 있는 경우 Inlay 수복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환자의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다른 수복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2. OnlayOnlay는 치아의 큰 결손 부위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의 보철물을 사용합니다. Inlay와 달리 Onlay는 치아의 교합면과 측면까지 덮는 형태이기 때문에 더 큰 결손 부위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며, 심미성도 좋습니다. 하지만 Inlay에 비해 치아 삭제량이 많고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치아의 큰 결손 부위가 있는 경우 Onlay 수복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환자의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다른 수복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3. Crown 수복Crown 수복은 치아의 전체 형태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의 보철물을 사용합니다. Crown 수복은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모두 회복할 수 있어 가장 완벽한 수복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치아의 상당 부분을 삭제해야 하므로 치아 건강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치아의 전체적인 결손이 있는 경우 Crown 수복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환자의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다른 수복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치위생사 임플란트 1차 수술 과정 ( PRF & CGF 활용한 임플란트 1차 OP ) 23페이지
GBR 활용한 임플란트 1 차 수술 MADE IN ※ 필독 ※ 디테일한 부분은 내려오시면 귀하게 모셔서 친절히 안내드리겠습니다 ( * 내용변경가능성 有 * )목차 OP 중요사항 OP KIT 세팅 1) OP KIT 2) 상악동 거상술 3. 수술과정 1) 수술전 2) 수술중 3) 수술후 4. 채혈 5. PRF 6. 퍼스트 및 세컨 역할1. ★ OP 중요사항 ★ Roading 기간 : 상악 4 M, 하악 3 M ( GBR 안할 시 : - 1M ) 상악동 거상술은 거의 crestal 로 진행 이완기 혈압 110 이하여야 OP 가능 * ...2025.04.30· 23페이지 -
[A+] 특수교육학개론 지체장애 레포트 과제 특수교육 특수교육학 특수교육론 교육학 교직 8페이지
지체장애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기능, 형태상의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몸통을 지탱하거나 팔다리의 움직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로 인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1. 지체장애 정의? 장애인 복지법: 1급~6급까지의 급수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특수교육법과 차이가 있음2. 지체장애 하위영역1) 뇌성마비- 출생 전, 출생 시, 출생 후 뇌 손상 ? 신체 여러 부위의 마비와 자세 및 운동능력 장애- 신생아 및 영아 시기의 뇌손상까지 포함. 주로 만 2세 이전 발병- 지체장애 아동 중 가장 비율↑. 인지 능력 손상 크...2020.02.24· 8페이지 -
[건축] SRC조기둥과 RC보의 접합방법 및 개선안 제안 10페이지
차 례1. 서론2. SRC조 기둥과 RC조 보의 접합부의 문제점3. 기존에 사용중인 접합방법3.1 인접하여 철근을 이음3.2 꺽어서 철근을 이음3.3 용접 정착3.4 철골 브래킷(bracket)으로 이음 대체3.5 COUPLER 설치방법4. 새로 고안해 본 접합방법4.1 KEY PLATE를 이용한 접합방법4.2 기둥철골 보강 후 철근관통5. 연구를 마치며...※ 참고 문헌 및 사이트1. 서론최근 국내 건축물들이 고층화, 대형화가 되어감에 따라 구조적으로 강함과 유연함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 도심지 건축이 많아 짐에 따라 시공시 인접...2004.11.17· 10페이지 -
마곡사(건축과 입장에서본 사찰건축) 10페이지
10월의 어느날 친구들과 함께 충청남도 공주시 무성산에 위치한 마곡사를 다녀왔다. 자가용을 타고 2시간 30분을 달려 도착한 마곡사 입구는 여느 절과 마찬가지로 맨 처음 유원지 풍경이 눈앞에 들어 왔다. 차를 주차하고 음식점들을 지나 마곡사로 향했다. 조선시대 절들이 다 그렇듯이 산 깊숙이 있을듯 하였지만 도로가 산 깊이 뚫려 있어서 그런지 5분정도 걸어가니 일주문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일주문의 구조는박공지붕, 다포형식, 겹처마구조이다일주문을 지나서 10분정도 걸어가면 매표소가 보인다. 월요일이라 매우 한가하였지만 주말이면 사람이...2008.07.04· 10페이지 -
재활스포츠의 발전과 미래 9페이지
재활스포츠의 과거?현재?미래Ⅰ. 재활스포츠 이론1. 재활스포츠(Rehabilitation Sports)의 정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재활스포츠에 대해서 명확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음- 따라서 장애인스포츠를 ‘재활스포츠’로 명명하고- 그것의 이론적 틀과 실천방안을 모색ㆍ정립해 나가야 할 것임- 최근 재활의 목적적 개념 및 방향은 두 가지로 정의되고 있음① 전인적 재활(Holistic rehabilitation): 신체적ㆍ정신적 재활은 물론 영적인 재활까지 포함하는 전인간적인 재활을 의미→ 장애인스포츠를 통해 전인재활의 방안을 모...2007.10.05·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