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과적 무균술의 이해와 수술중간호
본 내용은
"
외과적 무균술의 이해와 수술중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1
문서 내 토픽
-
1. 소독과 멸균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이해하고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멸균된 물품만 취급하고, 멸균성에 의심이 가는 경우 새로운 멸균 물품을 준비해야 합니다.
-
2.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칙멸균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고, 멸균 영역 바깥 2.5cm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멸균 테이블은 테이블 높이에서만 멸균 상태이며, 멸균 수술가운은 허리에서 어깨까지, 소매에서 팔꿈치까지만 멸균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3. 외과적 손 위생외과적 손 씻기는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손을 씻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술 전 손과 팔의 일과성 및 상주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액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과 팔을 씻습니다. 알코올제제나 클로르헥시딘 제제가 주로 사용됩니다.
-
4. 수술가운 및 장갑 착용수술가운과 멸균 장갑은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술가운은 멸균 영역과 미생물 오염원 사이의 방벽 역할을 하며, 장갑은 의료진의 손으로부터 환자에게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막습니다.
-
1. 소독과 멸균소독과 멸균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소독은 병원체를 제거하거나 죽이는 과정이며, 멸균은 모든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소독과 멸균 과정을 통해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의료 기기와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소독제 선택, 멸균 장비 사용, 표준 지침 준수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소독과 멸균은 의료 현장에서 감염 예방의 핵심이 되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칙외과적 무균술은 수술 과정에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원칙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술 전 환경 준비, 의료진의 개인위생 관리, 멸균 기구 사용, 무균 기술 준수 등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환경 준비에는 수술실 청소, 멸균 기구 준비, 무균 구역 설정 등이 포함됩니다. 의료진의 개인위생 관리에는 손 위생, 수술복 착용, 마스크 착용 등이 포함됩니다. 멸균 기구 사용과 무균 기술 준수는 수술 과정에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무균술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3. 외과적 손 위생외과적 손 위생은 수술 과정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의료진의 손은 수술 과정에서 가장 많이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철저한 손 위생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외과적 손 위생에는 수술 전 손 씻기, 소독제 사용, 멸균 장갑 착용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수술 전 손 씻기는 최소 2-5분 동안 실시해야 하며, 소독제를 사용하여 철저히 세척해야 합니다. 또한 멸균 장갑 착용은 수술 과정 내내 유지되어야 합니다. 외과적 손 위생 원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수술 부위 감염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철저한 실천이 필요합니다.
-
4. 수술가운 및 장갑 착용수술 과정에서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은 감염 예방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수술가운은 의료진의 피부와 의복을 수술 부위로부터 차단하여 감염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멸균 장갑 착용은 의료진의 손과 수술 부위 간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감염을 예방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와 재질의 수술가운과 장갑을 선택하고, 착용 및 탈의 과정에서 무균술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중 장갑이 파손되거나 오염되는 경우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은 수술 과정에서 감염 예방의 핵심이므로,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와 실천이 필요합니다.
-
부산대 본원, 양산 필기 복원 (2020-2023)1.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 보호대 사용 시 간호중재로는 적절한 것이 억제대는 최대한 꽉 끼게 적용하지 않고, 섬망 환자는 즉시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으며, 적용부위는 30분마다 감각 등을 사정하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적용해야 하며, 흥분한 환자는 퇴원 시까지 보호대를 적용하지 않는다. 2.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리지침 활동성 결핵환자의 격...2025.05.15 · 의학/약학
-
[특성보고서,약어,멸균법] 수술실 실습 부서 특징1. 수술실(OR) 부서 특성 수술실(OR) 부서는 다양한 진료과(정형외과, 일반외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 신경외과 등)의 수술을 담당하며, 각 진료과별로 주요 질환과 치료, 검사, 간호 등의 특징이 있다. 수술실에서는 고압증기 멸균법,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법, 건열 멸균법, 플라즈마 소독기 등 다양한 멸균 방법이 사용되며, 수술 전후 타임아웃 절...2025.01.23 · 의학/약학
-
총담관결석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1. 총담관결석증 총담관결석증은 대장균 효소에 의하여 결합성 빌리루빈이 불결합성 빌리루빈으로 변하고 이것이 다시 담도에서 분비된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빌리루빈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만들어진다. 대부분 담낭에서 형성되고 담낭관을 통해 담도로 이동한다. 콜레스테롤 담석이 가장 많은 형태이고, 간에서 담즙산의 합성은 감소하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이 증...2025.01.15 · 의학/약학
-
담낭절제술 케이스 (수술실 케이스)1. 담낭절제술 담낭절제술은 담낭에서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 담낭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보통 오른쪽 갈비뼈 밑을 절개하며, 담관, 담낭과 관련된 정맥과 동맥을 결찰한 후 간후엽에서 담낭을 떼어냅니다. 수술 전에는 담낭 X-선 검사, 흉부 X-선, 심전도, 간기능 검사 등을 하고 환자의 영양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2025.05.03 · 의학/약학
-
[여성간호실습, A+] 산부인과 병동 실습 체크리스트1. 유방관리 유방마사지는 기저부 마사지와 유두/유륜부 마사지로 나뉘는데, 이는 유방의 혈액 순환을 좋게 하여 울혈을 막고 유륜부가 부드럽게 되어 아기가 젖을 빨기 편한 형태가 된다. 출산 후에 기저부 마사지 3~5회, 유두/유륜부 마사지 2~3분 정도 꾸준히 해주면 좋고, 모유가 충분히 나오게 되면 기저부 마사지는 중단하고 유두/유륜부 마사지만 실시한다....2025.05.08 · 의학/약학
-
A+자료 여성건강간호학 CPD C-SEC Cephalopelvic disproportion CS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CASE STUDY(간호진단3개)(간호과정2개)1. 아두 골반 불균형 CPD(Cephalopelvic dispreportion) 아두 골반 불균형증(Cephalopelvic dispreportion)이란, 분만시에 아두가 너무 크거나 또는 모체 골반이 너무 작아서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중단되는 부위는 주로 골반 입구이며,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난다. 협골반(...2025.01.14 · 의학/약학
-
내과적, 외과적 무균술 레포트 7페이지
REPORT- 격리가운에 대하여 (목적, 외·내과적 무균술) -무균술⇒ 무균술은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이 없는 상태로,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미생물을전파시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균술을 적용하며,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무균술의 두 가지가 있다.표 1-1. 무균술의 비교내과적 무균술외과적 무균술개념· Clean technique· 병원균 감소 및 전파 방지· 기계적으로 깨끗하지만 멸균은 아님· 화학적, 물리적, 기계적인 수단으로 미생물의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킨 상태· Sterile(Aseptic) Technique· 수술...2024.11.25· 7페이지 -
수술환자간호 8페이지
1. 수술환자간호1) 수술과 간호과거에는 수술실 간호는 수술 전 단계, 수술 중 단계, 수술 후 단계에서의 즉각적인 환자 간호에만 국한하여 간호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수술 간호는 다양한 현장에서 실시되면 수술분야의 전문화로 다양한 수술환자와 수술 기구와 장비를 접하게 된다.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자체가 역동적이고 계속 변화하는 위급한 상황에서 간호가 수행되므로 급성 간호 전문가이다. 수술실에 도착한 순간부터 다른 건강 관리자에게 인계될 때까지 환자의 안위와 안전을 제공하며 개별적이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수술실 간호에 대한...2022.06.29· 8페이지 -
유방 절제술 전중후 간호 보고서 - A+ 받음 13페이지
유방 절제술 전중후 간호 보고서1.46세 여자 환자는 유방암 치료를 위해 오른쪽 유방절제술이 예정되어 있다. 이환자는 갑상성 기능 항진증을 앓고 있다. 알맞은 수술 전, 중, 후 간호 및 각각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시오.2.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 조사*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란?갑상선에서 과잉 생산된 갑상선호르몬이 혈액내에서 증가되어 갑상선의 생리적 작용이 과도 하게 나타나는 임상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원인① 스트레스 또는 자가면역의 장애② 그레이브스씨 병?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④ 인융모성선 자극 호르...2022.12.31· 13페이지 -
간호관리학 감염관리 사례보고서 (A+++++자료, 꼼꼼한 자료) 4페이지
주제 : 병원 내 주사 감염 사례교 과 목간호관리학 실습담 당 교 수학 년 / 반학 번이 름제 출 일영역평가내용잘함보통미흡지식이해력학습목표를 이해하고 주제를 정확하게 기술하였다(정확성).210체계성누락된 내용없이 자료가 체계적이고 읽기가 편하다(충실성).적용활용력자료의 도용이나 표절이 없고 참고문헌이 제시되어 있다.비판적사고내용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였다.태도성실성주어진 기일을 지킨다.- 사례? 2014~2019년 까지 지난 5년동안 주사 감염 피해자 110명병원 내 감염 사례는 지난 5년 동안 452건에 ...2024.03.19· 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A++_수술실실습 종합보고서(구체적임), 칭찬받음 2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Contents/section0.xml현장실습 종합보고서학과간호학과학년4학번-이름-현장실습 유형실습학기제(학기중 □, 계절학기 □, 학기제 ■)직무명간호실습기관명-현장지도 담당자(서명)실습기간2024년 11월 11일(월) ~ 2024년 11월 22일(금) / 2주간실습개요및목 표실습개요수술실 대상자의 자료를 통합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질환...2025.03.19·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