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_장애등급제 도입과 변경된 장애등급제 내용
본 내용은
"
장애인복지론_장애등급제 도입과 변경된 장애등급제 내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4
문서 내 토픽
  • 1. 장애등급제의 도입과 한계
    장애등급제는 장애인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급여 및 서비스 제공의 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성과를 냈지만, 장애 유형마다 등급이 없거나 장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신청이 거부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의료적 기준으로만 장애 등급을 결정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되었다.
  • 2. 장애등급제 변경 배경
    장애등급제 도입 이래 지속된 한계에 대한 지적과 장애인들의 불만이 계속되었고, 2007년 도입된 장애등급심사제도로 인한 문제가 기폭제가 되어 장애등급제 폐지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후 주요 대선 후보들이 장애등급제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면서 이슈화되었고, 2019년 문재인 정부에서 장애등급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 3. 신(新)장애등급제의 내용
    2019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개편된 제도에서는 '장애 등급'이라는 용어가 '장애 정도'로 바뀌었고, 장애 정도가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1~3급)'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4~6급)'의 두 가지 기준으로 단순화되었다. 또한 장애인 서비스지원 종합조사를 통해 개인의 욕구를 파악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장애등급제의 도입과 한계
    장애등급제는 장애인의 상태와 필요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는 장애인 개인의 특성과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등급에 따른 획일적인 지원으로 인해 실제 필요와 괴리가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어 왔습니다. 또한 등급 판정 과정에서의 불공정성과 차별 문제도 제기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장애등급제는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 2. 장애등급제 변경 배경
    장애등급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정부는 2019년 7월 1일부터 '신(新)장애등급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는 장애인의 실질적인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의 등급 중심 지원 체계에서 벗어나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장애등급 판정 기준을 개선하고, 장애인 개인의 기능 수준과 지원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3. 신(新)장애등급제의 내용
    신(新)장애등급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존의 1~6등급 체계를 폐지하고 장애 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으로 구분합니다. 둘째, 장애인의 기능 수준과 지원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셋째,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장애 판정 기준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실질적인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고,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 신(新)장애등급제의 핵심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