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의 생산공정(GMP,밸리데이션)
문서 내 토픽
-
1. GMP 개요GMP는 '좋은 약을 제조하기 위한 실행 규정'으로, 의약품 제조 공정 전반에 걸쳐 품질관리를 규정한 기준이다. GMP의 목적은 제조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오염을 줄여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이 높은 고품질 의약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GMP는 1961년 탈리도마이드 사건을 계기로 발전하였으며, 한국에서는 1977년 제정되어 단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
2. 의약품 제조소 시설 기준의약품 제조소는 의약품이 노출되는 작업실과 노출되지 않는 작업실로 구분된다. 작업실은 청정도에 따라 관리되며, 실험실, 보관소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제조소 내 시설은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어야 하며, 각 시설은 해당 작업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
3. 밸리데이션의 정의 및 개요밸리데이션은 특정 공정, 방법, 기계설비 또는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검증하고 문서화하는 것이다.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 공정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밸리데이션은 1970년대 이후 FDA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 WHO, FDA, EU 등에서 GMP 규정에 포함되어 있다.
-
4. 밸리데이션의 목적밸리데이션의 목적은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위적 오류를 최소화하고 오염을 방지하여 유효성, 안정성, 안전성이 높은 고품질의 의약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조에 필요한 재료, 기계, 인력, 시험방법 등이 적절하게 검증되어야 한다.
-
5. 밸리데이션의 원칙 및 종류밸리데이션의 원칙은 기대되는 결과, 검증, 문서화이다. 밸리데이션은 장비 밸리데이션과 공정 밸리데이션으로 구분된다. 공정 밸리데이션에는 예측적 밸리데이션, 동시적 밸리데이션, 회고적 밸리데이션, 재밸리데이션 등이 있다. 재밸리데이션은 공정 변경 시 또는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공정의 적절한 관리 상태를 확인한다.
-
1. GMP 개요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대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으로,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GMP는 의약품 제조 전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를 통해 의약품의 일관된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시설, 장비, 원료, 제조공정, 품질관리, 문서화 등 의약품 제조와 관련된 모든 부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GMP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의약품 제조업체는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의약품 제조소 시설 기준의약품 제조소 시설 기준은 GMP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오염 방지와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기준에는 제조소 건물의 구조, 공조 시설, 청정도 관리, 폐기물 처리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청정도 관리는 의약품 품질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며, 제조 공정별로 적절한 청정도 등급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자의 동선, 원료 및 제품의 동선 분리, 출입구 관리 등을 통해 교차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시설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의약품 제조소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3. 밸리데이션의 정의 및 개요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 공정이나 시스템이 의도된 용도에 부합하고 일관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과정입니다. 밸리데이션은 제조 공정, 장비, 청정도, 분석 방법 등 의약품 제조와 관련된 모든 부분에 적용됩니다. 밸리데이션을 통해 제조 공정의 재현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밸리데이션의 목적밸리데이션의 주요 목적은 의약품 제조 공정과 시스템이 일관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고, 제조 과정에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밸리데이션은 제조 공정의 재현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더 나아가 밸리데이션은 제조 공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정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5. 밸리데이션의 원칙 및 종류밸리데이션의 원칙은 크게 '적격성 확인', '공정 검증', '시스템 검증'으로 구분됩니다. 적격성 확인은 제조 시설, 장비, 공정 등이 의도된 용도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공정 검증은 제조 공정이 일관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시스템 검증은 제조 공정과 관련된 시스템(청정도 관리, 문서화 등)이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밸리데이션의 종류로는 프로세스 밸리데이션, 청정도 밸리데이션, 분석법 밸리데이션,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 등이 있습니다. 이들 각각의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 공정의 특성에 맞게 수행되며,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밸리데이션 활동을 통해 의약품 제조 공정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의약품의 생산공정(GMP,밸리데이션)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
바이오리액터를 통한 배양 실험 발표 자료, 발표 대본, GMP 설명, 배양 정제 하는 일 44페이지
QC VS QAQC : 검체채취, 시험, 판정, 출하승인을 하는 실무적인 활동을 하는 조직QA : 품질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소에 대해 체계적으로 활동하는 것권한과 책임QC① QC는 원료․반제품 및 제품의 검체채취, 시험 및 출하승인 등과 관련된 GMP 업무의 일부이다.② 원자재․반제품 및 제품을 시험하고 제조기록을 검토하여 적합판정 한 후 사용 또는 출하를 승인하는 일③ 시험절차를 점검하여 규정일탈을 기록하고 기록서를 작성하는 일④ 안정성시험을 실시하는 일⑤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일⑥ 시험법을 밸리데이션 하는 일⑦ 시험원을 교육․...2022.08.12· 44페이지 -
[GMP 교육 정리] 이것만 외워도 GMP 마스터했다고 할 수 있음 27페이지
QA/QC 스터디강의듣고 공부한 내용 Word로 정리 당일날 공유하면서 Q&A(직무면접대비)식으로 진행2장 제조소 시설 기준1)의약품 제조소의 시설 기준의약품 제조소는 작업소, 시험실, 보관소로 구성됩니다.2)작업소의 시설기준작업소는 내용고형제, 연고제 등의 일반제제와주사제, 점안제 등의 무균제제와페니실린제나 생물학적 제제(ex.백신)와 같은 특수제제에 따라 작업소가 나뉩니다.이때 작업소는 별도의 공기조화시스템까지 필요합니다. 또한 일반제제 작업소는 서로 다른 제형에 대해서 구획되어 있기만 하면 되지만, 무균제제 및 특수제제는 작업...2022.02.16· 27페이지 -
바이오의약품 38페이지
바이오의약품문서의 제목 1. 바이오의약품의 개요 2. 바이오의약품의 허가 및 심사 3. 단백질의약 품 4. 바이오시밀러 Contents1. 바이오의약품의 개요 * 바이오의약품의 정의 바이오의약품 / 생물의약품 : 생물체에서 유래한 의약품 Biologics : 생물학적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의약품 Biopharmaceuticals : 현대적 생물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치료 단백질 등 Biotechnology medicines : 생물체에서 유래 또는 생물공학기술로 만들어진 의약품 , 치료 / 진단 목적으로 사용* 국내 생물의약...2020.12.30· 38페이지 -
GMP요점정리 4페이지
Good Manufacturing Practices좋은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실행규정▼ GMP 4대기준서제품표준서,품질관리기준서,제조관리기준서,제조위생관리기준서▼ 문서시스템의 목적?모든 활동의 정립,관리,모니터,기록을 하기 위해서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최신의 것으로 되도록 할 것변경 시에는 모든 서명, 변경 날짜 기재변경 전 내용 지우지 말기 필요한 경우 변경 이유도 기재GMP 준수 관리,기록에 사용하는 문서유형? 지시서(지시사항,요건)기록서/보고서? 모든 원료의 규격, 제조 및 품질관리의 방법을 규정? 제조에 관한 모든 종업원들에게...2018.12.10· 4페이지 -
GMP 자료조사. 15페이지
KGMP (한국우수제조관리기준), CGMP (현행우수제조관리기준), BGMP (원료의약품 품질관리기준), HACCP, 할랄인증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라KGMP (한국우수제조관리기준) : 한국우수의약품 제조기준으로서 제조장소의 설비를 비롯해 원료의 구입에서부터 보관 · 제조 · 포장 · 출하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 걸친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규정이다.CGMP (현행우수제조관리기준) : 의약품이나 생물학적 제품의 제조, 가공, 포장, 저장에 관해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의해 제정된 현행 실행 기준.의...2019.02.01·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