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의사소통방식
본 내용은
"
나의 의사소통방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3
문서 내 토픽
  • 1. 주장 의사소통 방식
    주장적인 의사소통은 지향해야 하는 것으로써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 여겨진다. 주장적인 것은 다른 사람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며 자신의 감정, 생각, 원하는 것에 대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상대와 자신의 권리를 동시에 존중하는 형태로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주장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사람은 자신의 권리와 다른 사람 권리에 대한 존중, 상대에 대한 인정, 다른 사람 요청 거절에 대한 자기 존중 등의 사고 형태를 나타낸다.
  • 2. 공격 의사소통 방식
    공격적인 의사소통 방식은 눈을 치켜뜨며 상대를 노려보는 것, 목소리가 크며 말의 속도가 빠른 것, 다른 사람의 말을 듣지 않으려 하고 자신의 말만 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공격적인 의사소통에는 자신만이 중요한 존재임, 상대에 대한 존중이나 수용의 결여, 상대에 대한 무관심, 권위주의적인 생각 등의 사고 형태가 나타난다.
  • 3. 수동 의사소통 방식
    수동 의사소통 방식은 목소리가 작고 웅얼거리거나 시선을 아래로 두거나 상대와 눈 맞춤을 피하는 것,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 등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수동적인 의사소통을 선택하는 사람은 자신이 말해봤자 소용이 없다, 자신은 아는 것도 없고 성취할 가치나 능력이 없다고 여기는 것, 자신감과 자존감의 결여 등의 사고 형태가 나타난다.
  • 4. 수동공격 의사소통방식
    수동공격적 의사소통 방식은 외부로는 수동적인 것처럼 보이나 내면으로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 상대를 화나거나 당황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선을 아래로 보고 눈 맞춤을 피하는 것, 다른 사람 지시에 반응하지 않는 것 등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수용 공격적 의사소통 방식을 선택하는 사람은 상대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의 차이점에 대해 각자 갈 길을 가자는 것, 상대에 대해 무시하며 자신에게 지시하는 것에 대한 불만 등의 사고 형태를 나타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장 의사소통 방식
    주장 의사소통 방식은 자신의 권리와 요구사항을 명확히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갈등 해결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주장만을 강요할 경우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장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할 때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2. 공격 의사소통 방식
    공격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모욕하는 등 공격적인 태도로 자신의 입장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을 강요하는 것은 건강한 의사소통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공격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상호 이해와 존중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3. 수동 의사소통 방식
    수동 의사소통 방식은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견에 순응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갈등을 피하고자 하는 태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견에 무조건 따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권리와 요구사항을 적절히 표현하지 않으면 결국 자신의 입장이 무시되고 상대방에게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 의사소통 방식은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주장 의사소통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수동공격 의사소통방식
    수동공격 의사소통 방식은 자신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이고 비난적인 방식으로 상대방에게 압박을 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갈등을 피하고자 하는 수동적인 태도와 상대방을 공격하고자 하는 공격적인 태도가 혼재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건강한 의사소통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상대방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동공격 의사소통 방식은 지양해야 하며,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표현하되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