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Kelley의 공변 원리에 따른 귀인에 대하여 기술하고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을 공변 원리에 따라 귀인한 사례 서술하기
본 내용은
"
[사회심리학] Kelley의 공변 원리에 따른 귀인에 대하여 기술하고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을 공변 원리에 따라 귀인한 사례 서술하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2
문서 내 토픽
  • 1. Kelley의 공변 원리에 따른 귀인
    켈리(Kelly, 1972)는 귀인 이론을 사람들이 어떻게 인과적 설명을 하고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는가에 관한 이론이라고 정의하였다. 하이더(Heider,1946)는 인간이 나름의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으로 상황 혹은 행위의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론한다고 밝히면서 원인의 추론과정을 능력, 동기와 같은 개인적 요소에 의한 내적 귀인과 상황적 특성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의한 외적 귀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사람들이 타인이나 자기 행동의 원인을 추론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외부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상황 등) 과 내부적 요인(개인의 성격, 능력 등)에 따라 행동의 원인을 판단하려는 경향을 분석한다.
  • 2.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을 공변 원리에 따라 귀인한 사례
    - 원인의 독특성(특이성) : 어떤 결과가 특정 원인이 있을 때만 발생하는가?- 시간적 및 상황적 일관성 : 시간 및 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특정 자극에 대해 항상 동일한 결과가 발생하는가?- 원인의 일치성(동의성) : 특정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를 다른 관찰자들도 동일하게 지각하는가? 이 세 가지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서 철수가 일과를 마친 후 술을 마시는 경우를 예로 살펴보자. 세 정보 중 하나인 일관성은 한 사람이 동일한 상황에서는 늘 동일한 방식으로 행동하는지의 문제이다. 위의 예에서 철수가 일과 후 늘 술을 마시는 것(높은 일관성)은 성향적인 귀인을 함축하는 반면, 일과 후 가끔 술을 마시는 것(낮은 일관성)은 상황적인 귀인을 함축한다.
  • 3. 전반적 자기 귀인과 특정적 자기 귀인
    전반적 자기 귀인에서의 초점은 개인의 행동에 두지 않고, 전체적인 자기에 둔다. 이렇게 전반적인 귀인을 하는 사람들은 아무 생각도 할 수가 없고, 혼란스러워지고, 말문이 막힌다. 그들의 초점은 행동에 있지 않고, 전반적인 자기 평가에 있다. 이런 경향 때문에 그들은 다른 행동을 할 수가 없고 상황으로부터 숨거나 사라지고자 한다. 전반적자기 귀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서는 수치심이다. 한편, 특정적 자기 귀인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시간에, 자기의 특정 행동에 초점을 두는 개인의 경향을 말한다. 즉, 그들의 자기-평가는 전반적이지 않고 특정적이다. 특정적 자기 귀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서는 죄책감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Kelley의 공변 원리에 따른 귀인
    Kelley의 공변 원리는 개인이 자신 또는 타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귀인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행동의 원인을 판단할 때 행동의 일관성, 행동의 특이성, 그리고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고려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행동의 원인을 내적 요인(성격, 능력 등)과 외적 요인(상황, 환경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개인의 귀인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2. 자신 혹은 타인의 행동을 공변 원리에 따라 귀인한 사례
    공변 원리에 따른 귀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에 합격한 경우 자신의 노력과 능력을 내적 요인으로 귀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시험에 불합격한 경우 시험 문제의 난이도나 시험 환경 등의 외적 요인을 고려하여 귀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할 때도 공변 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시험에 합격했다면 그 친구의 노력과 능력을 내적 요인으로 귀인할 수 있지만, 친구가 시험에 불합격했다면 시험 문제의 난이도나 시험 환경 등의 외적 요인을 고려하여 귀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공변 원리는 개인이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전반적 자기 귀인과 특정적 자기 귀인
    전반적 자기 귀인과 특정적 자기 귀인은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는 두 가지 방식입니다. 전반적 자기 귀인은 개인이 자신의 전반적인 특성이나 능력을 강조하여 행동을 설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성실한 사람이다'와 같이 자신의 전반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반면 특정적 자기 귀인은 개인이 특정 상황이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행동을 설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시험에서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받았다'와 같이 특정 상황이나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귀인 방식은 개인의 자아 개념과 행동 설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