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 환자의 경장영양과 장루 환자 간호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암 환자의 영양지원을 위해 경장영양을 시행하고 있다.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6
문서 내 토픽
-
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경장영양은 위장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구강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사용된다. 정맥영양과 달리 경장영양은 위장관 기능을 유지하고 면역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경장영양액의 보관과 오염 예방을 위해 표준화된 방법으로 라벨링하고 개봉 후 24시간 내 사용해야 한다.
-
2. 경장영양 주입 방법과 합병증경장영양 주입 방법에는 볼루스 주입, 간헐적 주입, 지속적 주입 등이 있다. 주입 방법에 따라 위장관 부작용 발생 위험이 다르다. 경장영양 관련 합병증으로는 설사, 메스꺼움/구토, 경장영양 공급관 막힘, 흡인 등이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
3. 장루 보유 환자의 신체적, 사회심리적 어려움장루 보유 환자는 배변 조절 불가, 피부 자극, 수면 장애 등의 신체적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부정적 신체상, 무기력감, 사회적 위축 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남성 장루 환자의 경우 자신감 저하와 남성성 저하를 경험한다.
-
4. 장루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장루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에는 장루 교환 방법, 피해야 할 음식, 장루 합병증 관리, 정서적 지지 등이 포함된다. 장루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실습 교육이 중요하며, 가족의 정서적 지지도 강조된다.
-
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경장영양은 위장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정맥영양과 달리 장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여 장관 기능을 유지하고 장내 세균총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정맥영양은 정맥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장관 기능이 저하되거나 장관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경장영양은 정맥영양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비용 효과적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장영양 시 장관 기능이 정상적이어야 하며, 장관 폐쇄나 장관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경장영양과 정맥영양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경장영양 주입 방법과 합병증경장영양 주입 방법에는 비위관 주입, 위루관 주입, 공장루 주입 등이 있습니다. 비위관 주입은 삽입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장기 사용 시 비강 자극, 역류,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루관 주입은 위 기능이 정상이고 장기 영양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 합병증으로는 위 출혈, 위 천공, 감염 등이 있습니다. 공장루 주입은 위 기능이 저하되거나 위 수술을 받은 경우에 사용되며, 장관 폐쇄, 설사,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장영양 주입 방법을 선택할 때는 환자의 상태, 영양 요구량, 합병증 발생 위험 등을 고려해야 하며,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장루 보유 환자의 신체적, 사회심리적 어려움장루 보유 환자는 신체적으로 장루 관리, 피부 관리, 배변 조절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심리적으로는 외모 변화, 사회적 활동 제한, 성생활 문제, 우울감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장루 보유 환자는 장루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며, 심리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 지원이 중요합니다. 가족과 의료진의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며, 장루 보유 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정보 제공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루 보유 환자의 자아 존중감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4. 장루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장루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장루 관리 교육으로 장루 세척, 장루 주머니 교환, 피부 관리 등의 실제적인 장루 관리 방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둘째, 영양 관리 교육으로 장루 유형에 따른 식이 요법, 수분 섭취, 영양 보충제 사용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셋째, 합병증 예방 및 대처 교육으로 장루 주변 피부 문제, 장폐색, 탈수 등의 합병증 예방과 대처 방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넷째, 심리사회적 지지 교육으로 장루 보유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사회적 활동 제한 등에 대한 대처 방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다섯째, 장루 관련 지역사회 자원 연계 교육으로 장루 관련 정보, 상담, 지원 서비스 등을 안내해야 합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장루 환자와 가족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암 환자의 영양지원을 위한 경장영양 및 장루 보유 환자의 간호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 경장영양은 위장관을 거쳐 소화기관을 통한 영양공급을 하는 경우이며, 정맥영양은 영양소를 직접 정맥을 통해 주입시키는 방식이다. 경장영양이 정맥영양보다 더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소화관의 활동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더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정맥영양을 공급하기도 한다. 2. 경장영양액의 보...2025.01.2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암 환자의 영양지원을 위해 경장영양을 시행하고 있다.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 경장영양은 위장관을 이용한 모든 유형의 영양지원을 말한다. 소화기관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만 구강을 통한 식사가 불가능할 때 관을 이용하여 위장관으로 직접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경장영양은 위장관에 직접 관을 연결하여 소화기관을 통한 영양흡수를 하도록 한다. 구강은 사용하지 못하지만 위와 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기...2025.01.24 · 의학/약학
-
암환자의 영양지원을 위한 경장영양 관리1. 경장영양의 정의와 정맥영양과의 차이 경장영양은 위장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소화기능은 정상이지만 입 또는 목의 이상으로 음식 섭취가 어려운 경우 튜브를 통해 영양을 공급한다. 정맥영양은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중증 영양 불량 환자에게 정맥에 영양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2. 경장영양액의 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 경장영양액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2025.01.25 · 의학/약학
-
transverse colon cancer case study1. 결장직장암 결장직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결장직장암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악성종양의 약 70%는 결장 원위부(구불창자, 직장)에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50세 이상의 연령과 저섬유소식이, 고지방음식 및 지나치게 정제된 음식과 가...2025.01.17 · 의학/약학
-
중환자 간호(완전비경구영양, 경장영양 핵심요약) 2페이지
< 중환자 간호 >● 완전비경구영양과 경장영양★★point : 비위관 삽입 방법과, 비경구영양에서 비위관영양 의튜브의 위치 확인, 위관영양 간호중재는 출제 가능성 높으니 정확이 알아두기!! 시험은 못치더라 도 국시는 꼭 붙잣!!!!● 완전 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이 포함된 고장성 용액을 내경정맥이나 쇄골하정맥 같은 중심정맥을 통해 주입하는 것.1. TPN을 해야 하는 대상자 ★? 중증 영양불량: 체중이 10% 이상 감소된 경우? 위장계 비정상: 폐색...2022.06.11· 2페이지 -
[A+받은자료] 간호관리학실습 브리핑자료 4페이지
간호관리학 (브리핑자료)간호 00팀 - 000 Unit(ooo)?간호00팀 Vision- 믿음 주는 영성 간호(Spiritual Nursing)?0000년도 목표 및 전략① 질환에 따른 개별적은 전문 간호 제공② 안전사고 없는 신뢰받는 간호를 제공③ 영성 간호 실천을 통한 차별화된 전인간호를 제공④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일하기 좋은 병동 형성▶000 Unit 세부 추진 전략⇒ 간호의 질 관리(낙상발생률, 투약오류발생률)⇒ 영성간호 확산⇒ 외부고객 만족도 제고⇒ 내, 외부 화합 및 소통⇒ 간호 표준화◈ 000 Unit 병동 개요(1) ...2023.06.06· 4페이지 -
가정간호사 자료조사 3페이지
1. 가정간호의 개념가정간호는 대상자가 살고 있는 가정에서 건강상의 문제나 그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때 필요한 도움이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이나 상해로부터 회복하기 위하여 개인과 가족들에게 제공되는 포괄적인 건강관리 서비스이다.2. 가정간호 목적가정간호의 목적은 대상자의 건강과 기능의 수준을 최적의 상태로 돌리는 것으로, 대상자와 가족의 돌봄 능력을 최대화시키고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도모하고 질병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수요자, 공급자, 정부 측면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수요자 측면: 가정간...2025.03.01· 3페이지 -
[성인간호학] A+ 받은 골절 케이스 (다리, 손목 골절) 20페이지
I. 간호과정1. 자료수집1) 간호력일반적정보000활력징후140/90-64-18-36.1-95%추정진단명Fracture of colles’s fracture, closed. Lt / Fx. distal radius, wrist, Rt키/몸무게000입원경로□ 외래 ■ 응급실입원방법□ 도보 □ 휠체어 ■ stretcher □ 기타정보제공자/동반자□ 배우자 ■ 자녀 □ 기타_________건강력주호소 : Rt. wristpain & Lt. ankle pain현재력 :임신여부 □예 □아니요 최종월경일 ■해당무과거력: ■고혈압 □당뇨 □심장...2025.01.07· 20페이지 -
외과병동 실습 전 사전학습(수술 전후 간호, 동의서, 드레싱 등) 6페이지
1. 수술 전. 후 환자간호(1) 수술 전 간호① 수술 전날 간호:ㆍ피부준비 : 피부에 있는 세균을 최소한 줄이고 세균이 조직 깊숙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청결과 삭모가 이루어진다. 수술 전날 저녁에는 수술 부위에 방부제 비누를 사용하여 5-10분간 부드럽게 닦는다.)ㆍ위와 장 준비 : 수술 7-10시간 전 금식 (구토 예방, 흡인으로 인한 흡인성 폐렴을 예방), 소장이나 대장 수술하기 전날 저녁에는 관장을 2-3번 시행하여 수술하는 동안 대변의 유출로 인한 복막강의 오염을 방지한다.ㆍ마취준비 : 마취 의사가 수술 전날 저녁...2021.06.21·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