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nsverse colon cancer case study
문서 내 토픽
-
1. 결장직장암결장직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결장직장암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악성종양의 약 70%는 결장 원위부(구불창자, 직장)에서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50세 이상의 연령과 저섬유소식이, 고지방음식 및 지나치게 정제된 음식과 가족적 성향 등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
2. 결장암 진단결장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항문관이나 하부 직장에 생기는 악성종양의 1/3은 직장지두검진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대변 guaic 검사는 위장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결장경검사는 오름결장 부분을 잘 볼 수 있고 생검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므로 결장직장암 진단의 표준검사로 인식되지만 고가이고 잘 훈련된 전문가가 수행해야 한다. 대장 X-선검사는 장구조의 결함 또는 장협착 등을 볼 수 있고, 고화질 이중조영 바륨관장은 결장경검사 만큼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저렴하여 대장의 선별검사로 유용하다. 복부와 골반부의 초음파와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해 결장암의 50%이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양의 크기와 전이여부, 장벽으로 침투한 깊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3. 결장암 치료결장암의 우선적인 치료는 수술이다. 수술의 종류는 종양의 위치와 크기, 진행 단계 및 환자의 전신적인 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개복술과 복강경 장절제술이 있는데 복강경장절제술은 개복술과 비숫한 수술결과를 보이면서도 절개창이 작아 절개부위 감염이 적고 장기능을 빨리 회복시킨다. 항암화학요법은 수술 시 림프절 침범이 있거나 전이가 있을 때 결장절제술 후의 보조적인 치료로 시행하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결장직장암의 일차적인 치료로 선택된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 전에 실시하여 악성 세포의 전이를 막고 종양의 크기를 줄여 외과적 절제를 용이하게 한다.
-
4. transverse colon cancer이 환자는 transverse colon cancer로 진단받고 2019년 9월 9일 transverse colectomy 수술을 받았다. 이후 colon cancer와 ovarian metastasis로 2020년 9월 9일 exploratory laparoscopy 수술을 받았다. 현재 항암치료 중이며 2020년 11월 13일 intestinal obstruction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입원치료 중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 오심 등이 있으며 전해질 불균형과 통증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다.
-
5. 간호중재이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은 수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통증, 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등이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는 통증 사정 및 진통제 투여,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 전해질 불균형 모니터링 및 교정, 항구토제 투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비약물적 중재로 휴식, 이미지 훈련, 음악 치료 등을 제공하고 환자 교육을 통해 자가 관리 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
1. 결장직장암결장직장암은 대장암의 한 유형으로, 대장의 하부 부분인 결장과 직장에 발생하는 암입니다. 이 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려운 편입니다. 그러나 정기적인 검진과 스크리닝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아집니다.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완화 치료도 중요합니다. 결장직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정기 검진, 가족력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
2. 결장암 진단결장암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대장내시경, 대장이중조영검사, CT 검사, MRI 검사 등이 있습니다. 대장내시경은 결장암 진단에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으로, 암 병변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조직 검사도 가능합니다. 대장이중조영검사는 방사선 검사로 암 병변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T와 MRI 검사는 암의 침윤 정도와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외에도 혈액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이 진단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3. 결장암 치료결장암 치료는 암의 병기, 위치,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기 결장암의 경우 수술적 절제가 주된 치료법이며, 병기가 높은 경우에는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수술 후에는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재발을 예방합니다. 전이성 결장암의 경우 항암화학요법과 표적 치료제 등을 사용하며, 증상 완화를 위한 완화 치료도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면역 항암제, 유전자 표적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어 결장암 치료 성과가 점차 향상되고 있습니다. 환자 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transverse colon cancerTransverse colon cancer refers to cancer that develops in the middle part of the colon, known as the transverse colon. This type of colorectal cancer can present unique challenges compared to cancers in other parts of the colon. Diagnosis of transverse colon cancer may be more difficult as the transverse colon is located deeper in the abdomen, making it harder to detect during physical exams or imaging tests. Symptoms can also be more vague, such as abdominal pain, bloating, or changes in bowel habits. Treatment for transverse colon cancer typically involves surgical removal of the affected portion of the colon, followed by chemotherapy in more advanced cases. The location of the tumor can impact the surgical approach and the potential for complications. Careful planning and a multidisciplinary team are important to optimize outcomes. Prognosis for transverse colon cancer can vary depending on the stage at diagnosis. Early-stage cancers have better survival rates, while more advanced tumors may be more challenging to treat effectively. Ongoing research aims to improve diagnostic technique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this specific subtype of colorectal cancer.
-
5. 간호중재결장암 환자의 간호중재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신체적 측면에서는 수술 전후 관리,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 부작용 관리, 영양 관리, 증상 완화 등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 장루 관리, 배변 기능 회복, 통증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심리적 측면에서는 암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겪는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을 관리하고 긍정적인 대처 방식을 지원해야 합니다. 가족 및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도 중요합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치료로 인한 일상생활 및 직장 복귀 지원, 재활 프로그램 연계,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다양한 간호중재를 통해 결장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합니다. 환자 개인의 특성과 요구를 세심하게 파악하고,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외과병동 transverse colon cancer case study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7
-
결장암 - colon cancer, Malignant neoplasm of colon, transverse case study 14페이지
결장암 - colon cancerMalignant neoplasm of colon, transversecase study담당교수님○○○ 교수님○○대학교 간호학과 ○학년학 번이 름실습병원○○병원 - ○○병동실습기간2000. 00. 00 ~ 2000. 00. 00목차Ⅰ. 문헌고찰1. 결장(colon)2. 결장암(colon cancer)Ⅱ. 간호사정1. 간호력2. Vital Sign3. 투약Ⅲ.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결장(colon)1) 결장의 해부생리- 대장은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맹장ㆍ결장ㆍ직장...2020.06.30· 14페이지 -
A+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5페이지
< case study >수술실 사례환자 보고서 발표11. 환자의 간호정보성명김**Unit No.70730552연령76세수술일2016.10.13입원경로외래성별남성입원방법도보진료과CRS? 주 증상 : 식욕부진, 권태감, 체중감소, hematochezia, 복부팽만감, 변이 가늘게 나옴? 결혼상태 : 기혼? 종교 : 무교? 직업 : 농부? 학력 : 고졸? 신장 : 173cm? 체중 : 75kg? 흡연 : 하루 한 갑? 음주 : 금주? vital sign체온맥박호흡혈압36.3 ℃56 회/min20 회/min120/60 mmHg(2) 병력...2022.07.27· 5페이지 -
간호학과 OR실습 케이스 스터디(췌장암 수술절차, 간호과정,진단포함) 8페이지
Case StudyPANCREAS CANCER(췌장암)2) Case study실습지실습기간학번이름A. 수술환자 기본사항이름: 노 ○ 성별: M 연령: 만 51세 진료과: GSDiagnosis:PANCREAS HEAD CANCERHistory:성명 : 노 ○성별 : M연령 : 만 51세직업프리랜서결혼유무 : 유경제상태 : 중종교 : 불교교육정도대학입원경로: ■외래(도보) □응급실(눕는 차)키 : 168.4cm체중 : 65 kg혈액형 : A+체온 : 36.3℃호흡 : 20회/분맥박 : 86회/분혈압 : 130/70mmHg일반 정보건강력...2023.12.04· 8페이지 -
[ OR 실습 ] Ascending colon cancer / Laparoscopic hemicolectomy, Rt / 상행결장암 / case study / 간호과정 / 연구의 필요성 / 문헌고찰 / 간호사정 / 간호진단 / 간호계획 / 간호수행 / 이론적 근거 / 간호평가 / 소감문 / 퇴원교육 [ A+ 과제 ] 20페이지
< Case Study - Ascending colon cancer >OP : Laparoscopic hemicolectomy, Rt분반 번호담당 교수학과학년학번성 명제출일실습 장소실습 기간차 례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11) 정의 12) 원인 13) 증상 및 징후 14) 진단적 검사 25) 치료 26) 간호 3Ⅱ. 본론 51. 간호사정 52. 진단검사 63. Medication 94. 간호진단 115. 간호과정 12Ⅲ. 결론 181. 소감문 182. 퇴원교육 18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결장암...2019.10.24· 20페이지 -
OP case-laparoscopy RHC(수술 케이스-복강경 우측 결장반절제술) 12페이지
실습병원 및 병동실습기간학교 및 이름OP case study ? Laparoscopy Right HemicolectomyⅠ. 해부Ⅱ. 생리Ⅲ. 병리Ⅳ. 수술과정Ⅰ. 해부▶ 대장(Large intestine)대장은 소장 다음에 이어지는 굵은 관 모양의 소환기관으로 길이 1.5m, 직경 6.5cm 정도를 이루고 있다. 대장에서는 전해질과 수분을 흡수할 뿐 소화의 기능은 거의 없으며 변을 저장,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장은 결장간막(mesocolon)에 의해 뒤배벽에 붙어 있다.▶ 대장의 부위대장은 맹장(cecum), 결장(colo...2019.11.30·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