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약물 PPT정리
문서 내 토픽
  • 1. 전형적 항정신병약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은 Dopamine antagonist로 Dopamine receptor 하나인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dopamine 과다로 야기되는 정신병적 증상 완화 정온작용(tranquilization)을 통해 양성증상 감소시킨다. Haloperidol(peridol)은 고역가 약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약물이었으나, 추체외로증상이 심하기 때문에 최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더 널리 쓰고 있다.
  • 2.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Dopamine과 5HT(5-hydorxytrytamine)의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dopamine과 serotonine의 수용을 막아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 및 심각한 EPS 없이 음성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Clozapine(clozaril)은 Polactin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추체외로 부작용이 거의 없다.
  • 3. 기분안정제
    기분안정제는 항조증효과와 항우울효과, 조증에서 우울증으로 또는 우울증에서 조증으로 전환을 방지하는 약물이다. Lithium(리튬)은 양극성장애와 조증 삽화와 우울증 삽화에 치료효과와 예방적 효과가 있다.
  • 4. 항경련제
    항경련제 중 Valproic acid(Depakote)는 여러가지 경련성 질환에 사용되는 항경련제로, 급성 조증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약물로 인정된다.
  • 5. 삼환계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는 신경전달 물질인 norepinephrine과 serotonine이 시냅스 전 신경말단으로 재흡수 되는 것을 차단하여 시냅스에서의 유용성을 증가시킨다. Amitriptyline(Etravil)은 우울증, 우울상태 야뇨증에 사용된다.
  • 6.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SRI는 시냅스 전 신경세포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막아 뇌에서 세로토닌의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킨다. Fluoxetine(Prozac)은 1987년 FDA에서 승인받은 이후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우울제이다.
  • 7. 새로운 항우울제
    Bupropion(Wellbutrine)은 우울증 치료와 금연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며, Mirtazapine(Remeron)은 진정작용이 강한 광범위 항우울제이다. Duloxetine(Cymbalta)은 위산에 의한 불활성화 및 위산 장애를 줄이기 위해 대부분 장용성 제형으로 처방된다.
  • 8.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범불안과 긴장을 감소시키고 진정을 일으킨다. Diazepam(valium)은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정신신체장애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 등에 사용된다.
  • 9. 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Buspirone(Buspar)은 남용위험이 적고 금단증상이나 인지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Zolpidem(stilnox, zolpid)은 불면증의 단기 치료에 사용된다.
  • 10. 정신자극제
    정신자극제는 전두엽에서 catecholamine 유리자극 또는 재흡수 차단한다. Methylphenidate(concerta)는 소아의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 기면증,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형적 항정신병약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정신병적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운동장애, 진정,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어 최근에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은 여전히 정신병적 증상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부작용 관리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2.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도파민 수용체 차단 정도가 낮아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작용으로 인해 우울증 증상 개선에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체중 증가, 대사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정신병적 증상 치료에 있어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약물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기분안정제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와 같은 기분 장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를 완화시켜 우울증과 조증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분안정제로는 리튬, 발프로산, 카르바마제핀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장기간 복용해야 하며,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 저하, 신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기분안정제는 양극성 장애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항경련제
    항경련제는 본래 간질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기분 장애, 신경병성 통증 등 다양한 질환에서 효과가 입증되어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항경련제로는 발프로산, 카르바마제핀, 가바펜틴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 기능 저하, 혈구 감소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항경련제는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되고 있지만, 부작용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삼환계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가장 오래된 약물군입니다. 이 약물들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하여 우울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삼환계 항우울제로는 아미트리프틸린, 이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약물들은 항콜린성 부작용, 심혈관계 부작용, 체중 증가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나 새로운 항우울제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여전히 우울증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부작용 관리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른 약물군과의 병용 치료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우울증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군입니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우울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SSRI로는 fluoxetine, paroxetine, sertraline 등이 있습니다. SSRI는 삼환계 항우울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아 우울증 치료의 1차 선택약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기능 장애, 불면증, 체중 변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SSRI는 우울증 치료에 매우 중요한 약물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새로운 항우울제
    새로운 항우울제는 기존 항우울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된 약물들입니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등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조절하여 우울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새로운 항우울제로는 venlafaxine, duloxetine, bupropion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기존 항우울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우울증 외에도 불안장애, 섬유근통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있어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지만,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 및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불안, 불면증, 경련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억제 효과를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로는 diazepam, alprazolam, clonazepam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빠른 작용 발현과 효과적인 증상 개선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의존성, 기억력 저하, 낙상 위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 사용 시 내성 및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점진적인 감량이 필요합니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불안, 불면증 등의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장기 사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약물들입니다. 이 약물들은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불안, 불면증 등을 치료할 수 있지만, 벤조디아제핀계 약물과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로는 zolpidem, eszopiclone, ramelteon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비해 의존성이 낮고 기억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장기 사용에 따른 안전성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입니다. 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불안, 불면증 치료에 있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0. 정신자극제
    정신자극제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나르콜렙시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들은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을 증가시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정신자극제로는 methylphenidate, amphetamine, modafinil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증상 개선 효과가 빠르고 효과적이지만, 불면증, 식욕 감소, 심혈관계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남용 및 의존성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신자극제는 ADHD, 나르콜렙시 등의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장기 사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신과약물 PPT정리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9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