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문제행동 - 영화 '인사이트아웃'에서 라일리의 사회과정이론 적용
본 내용은
"
청소년문제 - 영화 인사이트아웃에서 라일리의 청소년 문제행동을 교재에 제시된 모든 사회과정이론을 각각 적용하여 서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4
문서 내 토픽
-
1. 사회학습이론라일리의 문제행동을 사회학습이론에 적용하기 어려움. 라일리의 부모님이 극 중에서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라일리가 그러한 행동을 학습할 수 없었음. 차별강화이론 또한 적용하기 어려운데, 라일리의 문제행동이 긍정적으로 종결되었기 때문에 물질적, 사회적 보상이 없었음.
-
2. 사회유대이론라일리가 새로운 환경에 놓여 학교와 지역사회 내 유대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해 문제행동을 보였다고 볼 수 있음. 라일리는 부모와의 긍정적 관계를 보였지만, 새로운 학교와 하키팀에서의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서 사회적 유대가 약화되어 문제행동이 발생했음.
-
3. 낙인이론라일리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님의 반응이 부정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낙인이론을 적용하기 어려움. 부모님이 라일리를 지지하고 수용하는 반응을 보였기 때문에 라일리가 자기낙인을 하지 않고 문제행동을 반복하지 않았음.
-
1. 사회학습이론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의 행동이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형성된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상과 처벌로 인식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하게 됩니다. 이 이론은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발달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범죄 예방 및 교정 프로그램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개인의 내적 동기와 인지적 과정을 간과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2. 사회유대이론사회유대이론은 개인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정도에 따라 범죄 행동을 하게 된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이 가족, 학교, 직장 등 사회적 기관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다면 범죄 행동을 하지 않게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범죄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이론은 범죄 예방을 위해 개인의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이 이론은 범죄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내적 특성이 아닌 사회적 관계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개인의 다양한 동기와 상황적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3. 낙인이론낙인이론은 개인이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낙인을 받게 되면 그에 따른 자아 정체성의 변화와 행동 변화가 일어난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이 범죄자, 정신병자 등의 낙인을 받게 되면 자신을 그러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고, 결국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 이론은 범죄 예방을 위해 개인에게 부여된 부정적인 낙인을 제거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이 이론은 범죄 행동의 원인을 개인의 내적 특성이 아닌 사회적 낙인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개인의 다양한 동기와 상황적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