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T No. 관리규정(표준)
본 내용은
"
05-360-Q, LOT No. 관리규정(표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3
문서 내 토픽
-
1. LOT No. 관리본 규정은 입고되는 원자재부터 제품 출하에 이르기까지 식별 및 추적성을 체계화하고 필요 시 고객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여 품질보증체계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원자재, 부품, 공정, 완제품의 LOT No. 관리 및 식별 절차, 책임과 권한, 기록관리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2. 식별 및 추적성제품의 식별 및 추적성 확보를 위해 원자재, 부품, 공정, 완제품 각 단계에서의 LOT No. 관리 및 식별 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라벨, 마킹, 스티커 등을 통해 제품 식별을 하고, 부품별 또는 로트별 식별표시를 기록 유지하여 이력, 적용상태 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3. 책임과 권한생산부서장, 생산관리부서장, 관리부서장, 품질부서장 등 각 부서의 LOT No. 관리 및 식별, 추적성 확인 등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4. 로트 구성원자재는 구입단위를 1로트로 하고, 동일 생산로트가 증명되는 경우 동일 납품로트로 관리합니다. 사내 제조 부품은 1일 생산량을 1로트로 하거나, 생산방법에 따라 일정 수량이 한번에 생산되는 경우 그 생산량을 1로트로 관리합니다.
-
5. LOT No. 관리 요령원자재, 공정, 완제품 각 단계에서의 LOT No. 부여, 식별, 관리 방법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자재입고 시 LOT No. 부여, 공정 진행 시 부적합품 격리, 완제품 검사 및 LOT No. 관리 등의 절차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6. LOT No. 설정 기준제품별 LOT No. 표시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LOT No.는 년/월/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7. LOT No. 관리 실태 점검품질부서장은 내부심사 시 사외 부적합이 발생된 제품 중 LOT No. 관리가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해 LOT No.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필요 시 시정조치를 요청하며 그 유효성을 확인합니다.
-
1. LOT No. 관리LOT No. 관리는 제품의 품질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LOT No.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LOT No.의 체계적인 부여, 관리, 기록 등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세스와 책임 체계가 명확히 정의되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개선을 통해 LOT No.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식별 및 추적성제품의 식별 및 추적성 확보는 품질 관리와 리콜 대응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식별 정보와 이력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품 식별 정보의 체계적인 부여, 관리, 기록 등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세스와 책임 체계가 명확히 정의되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점검과 개선을 통해 식별 및 추적성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책임과 권한제품 품질 관리에 있어 책임과 권한의 명확한 정의는 매우 중요합니다. 각 부서와 담당자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권한이 부여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품질 관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책임과 권한에 대한 정기적인 검토와 개선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로트 구성제품의 로트 구성은 품질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로트 구성 기준은 제품의 특성, 생산 공정, 유통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로트 구성 기준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품질 관리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
5. LOT No. 관리 요령LOT No. 관리 요령은 제품의 품질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LOT No.의 체계적인 부여, 관리, 기록 등이 필요하며, 관련 프로세스와 책임 체계가 명확히 정의되어야 합니다. 또한 LOT No. 관리 요령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품질 관리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
6. LOT No. 설정 기준LOT No. 설정 기준은 제품의 품질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LOT No. 설정 기준은 제품의 특성, 생산 공정, 유통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LOT No. 설정 기준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품질 관리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
7. LOT No. 관리 실태 점검LOT No. 관리 실태 점검은 제품의 품질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LOT No. 관리 체계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LOT No.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습니다. 또한 LOT No. 관리 실태 점검 결과는 경영진에 보고되어 경영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저장 및 출하관리규정(표준) 5페이지
표준 문서: 저장 및 출하관리 규정 (표준)목차적용범위목적용어의 정의책임과 권한업무절차기록관리문서이력차수제,개정일개정내용작성검토승인적용범위본 규정은 당사에서 생산하고 외주에서 구매하는 제품의 포장에서 입고, 저장, 보존, 창고의 적재와 고객으로부터 주문 접수된 자재, 제품의 출하, 인도의 업무에 적용한다.목적본 규정은 자재와 제품의 손상 또는 손실을 방지하고 품질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올바른 취급, 저장, 보존 및 인도에 대한 규정을 수립하고 유지하기 위함이다.용어의 정의3.1 자재: 생산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재화를 말한다.3.2...2022.01.14· 5페이지 -
05-353-Q, 제품안전관리 프로세스(자동차산업,표준) 4페이지
표준 문서: 제품안전관리 프로세스(표준)목차적용범위 및 목적용어의 정의책임과 권한업무절차기록관리문서이력차수제, 개정일개정내용작성검토승인1. 적용범위 및 목적본 프로세스는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법 규제와 고객 요구사항에 대하여 제품을 안전하게 설계 및 개발, 생산, 판매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2. 용어의 정의2.1 설계요구사양도협력업체에서 DETAIL DESIGN을 하고 부품도면을 준비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객의 설계팀에서 요구하는 SPEC을 나타내는 도면.2.2 설계구상서설계목표를 구체화시킨 것으로서, ...2024.09.19· 4페이지 -
05-376-Q, 간판생산관리지침(표준,자동차산업) 4페이지
표준 문서: 간판생산관리지침(표준)목차목적적용범위용어의 정의책임과 권한업무지침기록관리문서이력차수제, 개정일개정내용작성검토승인1. 목적본 지침은 생산업무규정의 보조규정으로 생산체계를 개선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2. 적용범위본 지침은 당사에서 LINE개념으로 흐름생산이 이뤄지는 LINE에 국한하여 적용한다.3. 용어의 정의3.1 간판생산작업지시, 현물관리 및 개선의 도구로 이용되며 생산과 운반을 지시하고 제품의 흐름을 관리하며 눈으로 보는 관리를 할 수 있는 개선의 도구.3.2 카드 (CARD)(1) 간판방식...2024.12.18· 4페이지 -
05-318-Q, 외주원가관리지침(표준,자동차산업) 6페이지
표준 문서: 외주원가관리지침목차적용범위 및 목적용어의 정의업무절차기록관리문서이력차수제, 개정일개정내용작성검토승인적용범위 및 목적본 지침은 당사의 제품생산에 필요한 부품의 외주원가 계산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제반 원가 요소 및 그 적용 기준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용어의 정의재료비:고객사 지정 사급단가 및 스크랩가를 기준으로 하며, 주재료비와 부재료비(표면처리, 열처리, 후처리재료 등)로 구성된다.노무비:부품생산에 직간접적으로 소요된 노동력에 대하여 지불되는 임금, 급료, 상여금 등의 가치임율:부품생산을 위해 투입된 시간당 평균 ...2023.09.14· 6페이지 -
고품분석 지침(표준,자동차산업) 5페이지
표준 문서: 고품분석 지침 (표준)목차적용범위 및 목적용어의 정의책임과 권한업무절차기록관리문서이력차수제, 개정일개정내용작성검토승인적용범위 및 목적본 지침은 당사에서 생산된 제품이 고객불만으로 각 지역 (국내/외) A/S 및 정비소에서 클레임으로 접수 처리된 고품을 정확하게 현상과 원인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품질개선 활동을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의 향상과 궁극적인 고객만족을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용어의 정의2.1 CS100만/RS 100만완성차 판매 월 기준 최초 3개월(CS)/ 판매 9~12개월(RS) 이후 100만대당 발생하는...2022.03.10·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