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급성위장염 AGE(acute gastroenteritis) case
본 내용은
"
아동 급성위장염 AGE(acute gastroenteritis) cas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6
문서 내 토픽
  • 1. 급성위장염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은 호흡기감염 다음으로 아동에게 흔한 질병이며 3세 이하의 대부분의 소아가 1∼3회의 심한 급성위장염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급성위장염은 사회 경제적 발전과 함께 발생률이나 사망률은 감소하였으나 아직도 중요한 질환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영·유아들은 체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분을 필요로 하며,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감염에 취약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더욱 문제가 됩니다.
  • 2. 급성위장염의 정의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AGE)은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설사를 일으키는 장관플루(intestinal flu), 여행으로 인한 설사, 바이러스성 장염, 식중독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저개발국에서는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급성 위장염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오는 위장관계 증상으로, 어린 아동의 경우 5번째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기도 합니다. 심한 탈수와 전해질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입니다.
  • 3. 환아의 증상 및 검사 결과
    4개월된 진철이는 1주일 전부터 설사와 발열로 개인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으나 설사와 발열이 지속되어 대학병원에 2일전에 입원하였습니다. 오늘 낮동안 묽은 설사를 5회하였고 체온은 38도로 측정되었습니다. 검사결과 소변에 WBC가 30-49개 나왔고 대변검사 결과 Gram(-) 와 Gram(+) bacilli가 'many'로 나왔으며 WBC는 0-5개 였습니다. ABGA 상 ph 7.35, PaO2 75mmHg, PaCO2 42.2mmHg, HCO3- 22.7meq/L 혈액검사에서 Rota virus Ag negative, WBC 12,100/uL, Na+ 134meq/L. K 3.2meq/L 이었습니다.
  • 4. 치료
    치료로 5% D/W 500ml에 Na 7cc, K 5cc를 mix 하여 4gtt로 정맥주입하고 Tobramycin, cefotaxime를 투여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위장염
    급성위장염은 위장관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주로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대부분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심한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영유아나 노인의 경우 증상이 심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급성위장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음식물 섭취 시 주의,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합니다.
  • 2. 급성위장염의 정의
    급성위장염은 위장관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 치유되지만, 심한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영유아나 노인의 경우 증상이 더 심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급성위장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음식물 섭취 시 주의,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합니다.
  • 3. 환아의 증상 및 검사 결과
    급성위장염 환아의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복통 등이 있습니다. 구토는 위장관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설사는 장관 감염으로 인한 것입니다. 복통은 위장관 염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 외에도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로는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전해질 불균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변 검사에서 병원체 검출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임상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며, 검사 결과는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4. 치료
    급성위장염의 치료는 주로 증상 관리와 수분 및 전해질 보충이 중요합니다. 구토와 설사로 인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경구 수분 섭취를 권장하며, 심한 경우 정맥 수액 공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토제와 지사제 등의 약물 치료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나 노인의 경우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음식물 섭취 시 주의,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